본고는 EU 주요국의 파산제도를, 첫째, 비효율적인 기업의 청산 및 자금난에 빠진 유망기업의 구제, 둘째, 중소기업의 이용용이성이란 측면에서 비교분석한다. EU 국가들은 80년대 이래로 기...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EU 주요국의 파산제도를, 첫째, 비효율적인 기업의 청산 및 자금난에 빠진 유망기업의 구제, 둘째, 중소기업의 이용용이성이란 측면에서 비교분석한다. EU 국가들은 80년대 이래로 기...
본고는 EU 주요국의 파산제도를, 첫째, 비효율적인 기업의 청산 및 자금난에 빠진 유망기업의 구제, 둘째, 중소기업의 이용용이성이란 측면에서 비교분석한다. EU 국가들은 80년대 이래로 기업회생의 기회를 강화하고 중소기업에 대한 특별 고려를 하는 방향으로 수차례에 걸쳐 파산제도를 개정하여 왔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국의 11장에 비해 EU 국가의 파산제도는 기업회생에 매우 까다로운 편인 것으로 나타난다. EU 국가중에서는 최근까지 독일이 특히 기업회생에 가장 어려운 제도를 가지고 있었던 것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1999년의 새로운 법안에 담보채권에 대한 자동유예제가 도입된 이후 독일의 파산제도도 기업회생에 약간 관대해 졌다. 영국은 담보권자가 언제든지 기업을 청산할 수 있다는 점에서 1980년대 중반의 파산법개정에도 불구하고 상대적으로 채권자에 제일 유리한 제도를 가지고 있는 국가로 보인다. 한편 프랑스는 독일과 영국에 비해 기업회생에 매우 유리한 파산제도를 갖고 있다. 특히 프랑스는 중소기업을 위한 간이파산절차를 갖고 있다. 그러나 고용유지에 대한 지나친 강조가 조속한 구조조정을 어렵게 만듦으로써 실질적으로 회생되는 기업은 극소수에 불과하다. 이러한 결과를 우리 나라에 적용할 때 대기업에 대해서는 상당히 관대한 회생절차가 마련되어 있는 데 반해 중소기업의 회생을 위한 제도는 크게 미흡한 것으로 보인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examines European bankruptcy codes and provides a comparison to US law and between them on the basis of two criteria. The first criterion is the existence of a framework permitting viable but financially distressed firms to reorganize and c...
This paper examines European bankruptcy codes and provides a comparison to US law and between them on the basis of two criteria. The first criterion is the existence of a framework permitting viable but financially distressed firms to reorganize and continue doing business while nonviable firms can be liquidated, The second one is the practical possibility for small and medium sized firms to resort to a formal bankruptcy process. Since the 1980s, many European countries have been reforming their bankruptcy procedures to provide more incentives for saving financially distressed but viable firms. Nevertheless, compared to the Chapter 11, which allows the most flexibility for firms, European bankruptcy laws remain unsuccessful in these efforts. Of the European countries, German law was the least effective in re-organizing firms because of its over-emphasis on the protection of creditors' rights. However, new German law introduces a three-month automatic stay and thereby enhances efficiency in the reorganization process. The UK, despite its reform of bankruptcy laws in 1985, has the most difficult law for saving distressed firms because the individualistic behavior of the secured creditors can lead economically viable firms into premature liquidation. Compared to Germany and the UK, France has gone the furtherest toward providing a framework for resuscitating distressed firms. Moreover, it has a simple bankruptcy procedure for small and medium sized firms. However, by forcing firms to maintain employment and creditor contracts, French law can prevents firms from becoming viable. It can be inferred from this comparative analysis that Korean bankruptcy law allows too much room for large corporations to be saved while forcing small and medium sized firms to be liquidated.
목차 (Table of Contents)
일본의 이에(家:イ エ)의 실체에 관한 이론과 일본사회의 이에적(家的) 구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