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에서는 3경간 연속 강도로교에 대한 실측 진동 파형과 이론 진동 파형을 비교하여 실측치에 가장 가까운 최대 동적 처짐을 계산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고, 이로부터 차량의 속도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1121121
1988
Korean
학술저널
123-133(11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3경간 연속 강도로교에 대한 실측 진동 파형과 이론 진동 파형을 비교하여 실측치에 가장 가까운 최대 동적 처짐을 계산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고, 이로부터 차량의 속도 ...
본 논문에서는 3경간 연속 강도로교에 대한 실측 진동 파형과 이론 진동 파형을 비교하여 실측치에 가장 가까운 최대 동적 처짐을 계산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고, 이로부터 차량의 속도 및 중량변화에 따른 단순교 및 3경간 연속교의 충격계수 값의 변화 양상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교량의 환산 휨강성을 사용하면 실측치에 가까운 최대 동적 처짐을 구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차량 속도 변화에 따른 충격계수 값은 속도가 증가할수록 대체로 커지나, 현행 우리나라 시방서상의 연속교의 충격계수에 대한 규정에는 불합리한 점이 있다고 판단되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 method to calculate maximum dynamic deflection, which is close to the measured deflection, was proposed by comparing the real deflection with the claculated one in three span continuous highway steel bridge. From this, the pattern of variation of im...
A method to calculate maximum dynamic deflection, which is close to the measured deflection, was proposed by comparing the real deflection with the claculated one in three span continuous highway steel bridge. From this, the pattern of variation of impact factors depending an vehicle speeds and weights was studied in simple and continuous bridges. From the numerical analysis, it was known that the maximum dynamic deflection which is close to the measured one could be obtained by using the transformed flexural rigidity of a bridge, and the factors are generally increased with increasing vehicle speed. However, it was thought that there are some problems in the code specification about the impact factors of the continuous bridges.
80년대 전산화의 추세와 구조설계용 CAE/CADD의 발전
제2계 2차모멘트/신뢰성조건 조합방법에 의한 부분안전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