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詩會와 唐代 社會文化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75202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1) 연구 내용 (가) 대표적 詩會 및 그 문학창작 분석: 본 연구를 위해서는 시회 자체에 대한 연구가 가장 기본적인 작업이다. 반복적으로 열린 詩會를 중심으로, 시회의 개최목적, 구성원들의...

      (1) 연구 내용
      (가) 대표적 詩會 및 그 문학창작 분석: 본 연구를 위해서는 시회 자체에 대한 연구가 가장 기본적인 작업이다. 반복적으로 열린 詩會를 중심으로, 시회의 개최목적, 구성원들의 특징, 시공간적 특징, 干謁이나 교류 양상, 詩會 창작의 특징 등을 연구한다.
      (나) 唐代 詩會문화와 科擧: 본 연구에서는 唐代 干謁문화는 어떠했으며, 干謁을 하려는 문인들에게 詩會는 어떤 의미였는가?, 聞喜宴⦁杏園宴⦁探花宴과 關宴 문화 속의 詩會文化를 연구한다. 또 과거시험장에서 지은 科擧詩와 干謁詩를 비교함으로써, 과거제도가 唐詩의 발전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고찰할 수 있을 것이다.
      (다) 唐代 詩會와 신라문인: 詩會는 동아시아 문화의 보편성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문화인데, 당대에 그 초기 양태가 보인다. 唐代 문인들과 신라 문인들의 교류 및 詩會 양상을 고찰하고자 한다.
      (라) 唐代 詩會의 문화 전파 기능: 당대 詩會의 문화 전파 기능 연구를 통해 詩會의 사회적 문화적 역할을 분석하고자 한다.
      (마) 唐代 詩會와 전통풍습: 唐代에 전통 명절이면, 조정 관료나 문인들은 詩會를 즐겼다. 중양절이나 中和節, 七夕日 등 전통 명절의 詩會를 연구한다.
      (바) 唐代 詩會와 문인 생활: 唐代의 詩會문화는 문인들에게 일상생활의 문학화와 창작 훈련화를 이끌었다. 좋은 시를 짓기 위한 문인들의 집착과 고심도 궁극적으로는 시회에서 타인들에게 인정받기 위함이었다. 또 신라 『殊異傳』의 「崔致遠傳」에 나오는 ‘雙女墳說話’에서 최치원과 처음 만난 두 여인은 시를 주고받으며 신세를 한탄한다. 이처럼 唐代 문인들의 삶에서 詩會가 어떤 의미였는가를 본 연구를 통해 고찰한다.
      (사) 唐代 문인들의 시대적 정서, 세계관 연구: 고대 문인들은 ‘以文會友’적인 교제를 즐겼는데, 詩會는 정서적 교감을 통해 집단 정서를 공유할 수 있는 살아있는 활동공간이었다. 詩會와 그 문학에 반영된 唐代 문인들의 시대적 정서와 세계관 등을 연구한다.
      (아) 唐代 詩會의 유희문화 연구: 詩會에서는 詩文창작과 함께 고급 취미의 향유, 酒令과 같은 유희, 다양한 풍류문화가 펼쳐졌고, 시가 창작 역시 回文詩나 雜體詩 등 유희적 창작을 하기도 했다. 詩會의 풍류적 유희문화도 연구대상이다.
      (2) 연구 방법
      (가) 唐代 詩會 관련 자료 수집 및 분석: 기 지원 선행연구에서 얻은 데이터에 기초해, 『全唐詩』나 주요 문인들의 문집을 중심으로 시가 수창활동과 관련 작품을 추가로 수집할 것이다.
      (나) 唐代 筆記小說 내 詩會 관련 자료 수집 및 분석: 기 지원 연구 과제를 수행하며, 『唐詩紀事』, 『唐才子傳』, 『唐摭言』, 『唐語林』, 『隋唐嘉話』, 『朝野僉載』, 『大唐新語』, 『全唐詩話』, 『唐人逸事彙編』, 『歷代詩話』, 『歷代詩話續篇』 등에 나타난 唐代의 詩會文化 관련 자료를 이미 수집 분석했다. 이밖에 『舊唐書』, 『新唐書』의 문인열전 등을 통해 唐代 문인들의 詩會활동과 관련된 자료를 추가로 수집, 분석할 것이다.
      (다) 唐代 詩序文 수집 및 분석: 唐代에는 시가의 序文이라고 할 수 있는 詩序文이 유행했다. 주로 시를 창작하게 된 경위나 詩會 분위기, 감상 등을 표현한 글이므로, 詩會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된다. 『全唐文』, 『全唐詩』에 있는 詩序文을 수집 분석한다.
      (라) 唐代 詩歌酬唱集 분석: 『新唐書⦁藝文志』에 수록된 唐代의 唱和詩集만 20여 종에 이르는 사실은 문인들의 詩會가 많았음을 설명한다. 기본적으로 이들 각 詩會의 시가수창 활동에 대한 연구 외에, 詩歌酬唱集 자체도 연구대상이다.
      (마) 唐 史書의 詩會 관련 자료 수집 및 분석: 唐代 역사 또는 과거제도와 관련해서는 『舊唐書』, 『新唐書』, 『資治通鑑』, 『冊府元龜』, 『登科記考』, 『唐摭言』, 『唐會要』 등의 자료를 참고하여 연구할 것이다.
      (바) 唐代 소설 속 詩會문화 관련 자료 수집 및 분석: 상술한 신라 『殊異傳』의 ‘雙女墳說話’처럼, 소설 속에서 詩會 관련 내용을 수집하여 보조 자료로 활용할 것이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