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서정주 번역 석전 박한영 한시집(2006)에 대하여 = On the new translated book of Midang Seo Cheong-Ju - Focusing Seokjeon Park Han-Young Han Si Jip(2006)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52940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nalyzes the collection of Chinese poems written by Seokjeon Park Han-Young titled as [Seokjeon Park Han-Young Han Si Jip]. It is a posthumous book of Midang Seo Cheong-Ju, who had finished translating Seokjeon’s poems called [Seokjeon Si Cho (Seokjeon’s collected poems)] during his life. Seokjeon Park Han-Young had given a great influence on Midang as a master of him, mostly in developing Midang’s Buddhist point of view which is dissolved in his poetic writings. The translated book is not only important as taking back its living breath by his student but also meaningful as a meeting point between a great figure of Chinese poetry and a great Korean poet. This paper shows that Midang’s rhythm and his using of Korean suffixes enhances his translation. This is a result of his having preserved Korean poetic tradition. Moreover, he has given his poetic characteristics of emphasizing ‘sound’ in his translation. When comparing his translation work with The translated Chinese poetry by Manhae Han Yong-Un, it would be possible to shed a light on Midang’s contribution to this field.
      번역하기

      This paper analyzes the collection of Chinese poems written by Seokjeon Park Han-Young titled as [Seokjeon Park Han-Young Han Si Jip]. It is a posthumous book of Midang Seo Cheong-Ju, who had finished translating Seokjeon’s poems called [Seokjeon Si...

      This paper analyzes the collection of Chinese poems written by Seokjeon Park Han-Young titled as [Seokjeon Park Han-Young Han Si Jip]. It is a posthumous book of Midang Seo Cheong-Ju, who had finished translating Seokjeon’s poems called [Seokjeon Si Cho (Seokjeon’s collected poems)] during his life. Seokjeon Park Han-Young had given a great influence on Midang as a master of him, mostly in developing Midang’s Buddhist point of view which is dissolved in his poetic writings. The translated book is not only important as taking back its living breath by his student but also meaningful as a meeting point between a great figure of Chinese poetry and a great Korean poet. This paper shows that Midang’s rhythm and his using of Korean suffixes enhances his translation. This is a result of his having preserved Korean poetic tradition. Moreover, he has given his poetic characteristics of emphasizing ‘sound’ in his translation. When comparing his translation work with The translated Chinese poetry by Manhae Han Yong-Un, it would be possible to shed a light on Midang’s contribution to this fiel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서정주의 번역 텍스트에 대한 분석이다. 그의 사후 유고를 정리하여 출간한 석전 박한영 한시집 石顚 朴漢永 漢詩集(2006)이 그 대상이다. 석전 박한영은 한국 근대불교계의 최고 지도자였으며 박람강기의 대석학으로서 미당에게 많은 영향을 미쳤다. 준엄한 자기 절제, 끊임없는 탐구, 시선일여(詩禪一如)를 체현하는 문화적 교양 등은 ‘도애(道愛)’의 형식을 통해 평생토록 미당에게 스며든다. 이 글의 의의는 두 사람의 이런 관계를 본격적으로 조망한다는 데에 있다. 그 본격적 조망을 가능하게 한 것이 바로 미당의 석전시초 石顚詩抄 번역이다. 석전의 대표적 저술 중의 하나인 석전시초가 서정주에 의해 번역된 것은 ‘스승 기리는 전통’의 아름다움을 복원시켰다는 점에서도 중요하지만, 한시의 대가와 한글시의 명장이 만난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크다.미당의 한시 번역은 이 텍스트가 처음은 아니다. 만해 한용운 한시선역 卍海 韓龍雲 漢詩選譯(1983)이 이미 출간된 바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당의 번역시에 대한 연구는 아직도 없는 형편이다. 이 글은 그간 미당의 번역 텍스트(한시 번역)에 대한 연구가 전무한 상황에서 이루어지는 첫 시도라는 점에서 일정 부분 의의가 있을 터이다.석전 박한영 한시집 石顚 朴漢永 漢詩集에서 보이는 미당의 번역은 한글시의 음보율과 어미처리 등에서 특히 돋보인다. 이는 한국 시문학의 전통과 관습을 잘 활용하고 있는 징후이며 또한 ‘소리’를 중시하는 자신의 작시 특성을 자연스럽게 반영한 듯하다. 창의적인 의역도 번역시에 새로운 가능성을 부여하는 것으로 평가할 만하다. 이 새로운 번역 텍스트를 만해 한용운 한시선역 卍海 韓龍雲 漢詩選譯(1983)과 함께 검토하는 것은 앞으로의 과제이다. 그렇게 할 때, 미당의 한시 번역 성과와 의의를 전반적으로 조명하는 일이 가능해진다.
      번역하기

      이 글은 서정주의 번역 텍스트에 대한 분석이다. 그의 사후 유고를 정리하여 출간한 석전 박한영 한시집 石顚 朴漢永 漢詩集(2006)이 그 대상이다. 석전 박한영은 한국 근대불교계의 최고 지...

      이 글은 서정주의 번역 텍스트에 대한 분석이다. 그의 사후 유고를 정리하여 출간한 석전 박한영 한시집 石顚 朴漢永 漢詩集(2006)이 그 대상이다. 석전 박한영은 한국 근대불교계의 최고 지도자였으며 박람강기의 대석학으로서 미당에게 많은 영향을 미쳤다. 준엄한 자기 절제, 끊임없는 탐구, 시선일여(詩禪一如)를 체현하는 문화적 교양 등은 ‘도애(道愛)’의 형식을 통해 평생토록 미당에게 스며든다. 이 글의 의의는 두 사람의 이런 관계를 본격적으로 조망한다는 데에 있다. 그 본격적 조망을 가능하게 한 것이 바로 미당의 석전시초 石顚詩抄 번역이다. 석전의 대표적 저술 중의 하나인 석전시초가 서정주에 의해 번역된 것은 ‘스승 기리는 전통’의 아름다움을 복원시켰다는 점에서도 중요하지만, 한시의 대가와 한글시의 명장이 만난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크다.미당의 한시 번역은 이 텍스트가 처음은 아니다. 만해 한용운 한시선역 卍海 韓龍雲 漢詩選譯(1983)이 이미 출간된 바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당의 번역시에 대한 연구는 아직도 없는 형편이다. 이 글은 그간 미당의 번역 텍스트(한시 번역)에 대한 연구가 전무한 상황에서 이루어지는 첫 시도라는 점에서 일정 부분 의의가 있을 터이다.석전 박한영 한시집 石顚 朴漢永 漢詩集에서 보이는 미당의 번역은 한글시의 음보율과 어미처리 등에서 특히 돋보인다. 이는 한국 시문학의 전통과 관습을 잘 활용하고 있는 징후이며 또한 ‘소리’를 중시하는 자신의 작시 특성을 자연스럽게 반영한 듯하다. 창의적인 의역도 번역시에 새로운 가능성을 부여하는 것으로 평가할 만하다. 이 새로운 번역 텍스트를 만해 한용운 한시선역 卍海 韓龍雲 漢詩選譯(1983)과 함께 검토하는 것은 앞으로의 과제이다. 그렇게 할 때, 미당의 한시 번역 성과와 의의를 전반적으로 조명하는 일이 가능해진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의 한시" 이우출판사 1985

      2 "팔할이 바람" 혜원출판사 1988

      3 "중국시와 시인 -- 송대편" 역락 2004

      4 "전라문화연구 제 3집" 1988

      5 "우리의 고전시가" 나무아래사람 2002

      6 "석전상인소전(石顚上人小傳) 석전시초"

      7 "석전 스님의 도애의 힘" 223-, 1993

      8 "석전 박한영의 불교 교육개혁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1998

      9 "석전 박한영 한시집" 동국역경원 2006

      10 "서, 석전시초"

      1 "한국의 한시" 이우출판사 1985

      2 "팔할이 바람" 혜원출판사 1988

      3 "중국시와 시인 -- 송대편" 역락 2004

      4 "전라문화연구 제 3집" 1988

      5 "우리의 고전시가" 나무아래사람 2002

      6 "석전상인소전(石顚上人小傳) 석전시초"

      7 "석전 스님의 도애의 힘" 223-, 1993

      8 "석전 박한영의 불교 교육개혁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1998

      9 "석전 박한영 한시집" 동국역경원 2006

      10 "서, 석전시초"

      11 "나의 대원강원 시절" 1981

      12 "故太古禪宗敎正映湖和尙行績" 1962

      13 "1910년대 불교계의 조동종 맹약과 임제종 운동" 민족사 53-92, 199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Studies in Korean Literature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 0.6 0.7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9 0.84 1.467 0.2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