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일 대학 신입생들의 기분장애 유병률과 위험요인 =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Mood Disorders among One University Freshme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39367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Mood disorders such as depression and bipolar disorder are a major mental health problem in college students. We investigate the prevalence of depression and bipolar disorder and the relevance of risk factors for these mood disorders among on...

      Purpose: Mood disorders such as depression and bipolar disorder are a major mental health problem in college students. We investigate the prevalence of depression and bipolar disorder and the relevance of risk factors for these mood disorders among one college freshmen.
      Methods: The subjects were 2,865 college students who entered one university located in Seoul and Ansung in 2009. We used BDI (Beck Depression Inventory) for depression assessment and K-MDQ (Mood Disorder Questionnaire) for bipolar disorder assessment. Demographic and socioeconomic factors were measured by questionnaire. Height, weight, blood pressure, total cholesterol, complete blood cell count, and liver function test data were obtained by physical examination for freshmen. Chi-square test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were performed to analyze the possible risk factors for depression and bipolar disorder.
      Results: With different BDI cutoff value, 16 and 21, the prevalence of depression was 8.7% (male: 7.6%, female: 10.1%) and 2.4% (male: 2.5%, female: 2.3%), separately. 'Low economic status', 'urban birth place', and 'low grade at entrance'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depression. Using the original cutoff criterion, defined as clustering of 7 or more symptoms that caused moderate or severe problems, the prevalence of bipolar disorder was 1.3% (male: 1.4%, female: 1.1%). The risk factor of bipolar disorder was academic fields (art fields).
      Conclusion: Depression and bipolar disorder are common disease in college freshmen. Therefore, Campus-based mental health service program is needed to help with prevention of and early intervention of these mood disorder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전덕인, "한국형 기분장애 질문지의 타당화 연구" 대한신경정신의학회 44 (44): 583-590, 2005

      2 신민섭, "한국판 BECK 우울척도의 분할점과 분류 오류" 12 (12): 71-81, 1993

      3 이정균, "한국 정신장애의 역학적 조사 연구(XIV)" 33 (33): 18-31, 1994

      4 조성진, "한국 일 도시지역 청소년의 우울 증상 유병률과 관련요인에 대한 연구" 대한신경정신의학회 40 (40): 627-639, 2001

      5 송동호, "한국 및 러시아 한국계 청소년 우울증의 사회심리적 위험요인에 대한 횡문화 비교연구" 38 (38): 944-955, 1999

      6 라현진, "청소년들의 자살충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한가정의학회 27 (27): 988-997, 2006

      7 조맹제, "정신질환 실태 역학조사" 보건복지부 2007

      8 임종범, "일개대학 신입생에서 가족 기능도 지수와 우울증의 상관관계" 22 (22): 354-362, 2001

      9 조비룡, "우울증 평가의 실제" 20 (20): 1400-1408, 1999

      10 조유진, "암환아와 일반아의 사회적 지지 지각과불안, 우울 및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한국상담심리학회 14 (14): 2002

      1 전덕인, "한국형 기분장애 질문지의 타당화 연구" 대한신경정신의학회 44 (44): 583-590, 2005

      2 신민섭, "한국판 BECK 우울척도의 분할점과 분류 오류" 12 (12): 71-81, 1993

      3 이정균, "한국 정신장애의 역학적 조사 연구(XIV)" 33 (33): 18-31, 1994

      4 조성진, "한국 일 도시지역 청소년의 우울 증상 유병률과 관련요인에 대한 연구" 대한신경정신의학회 40 (40): 627-639, 2001

      5 송동호, "한국 및 러시아 한국계 청소년 우울증의 사회심리적 위험요인에 대한 횡문화 비교연구" 38 (38): 944-955, 1999

      6 라현진, "청소년들의 자살충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한가정의학회 27 (27): 988-997, 2006

      7 조맹제, "정신질환 실태 역학조사" 보건복지부 2007

      8 임종범, "일개대학 신입생에서 가족 기능도 지수와 우울증의 상관관계" 22 (22): 354-362, 2001

      9 조비룡, "우울증 평가의 실제" 20 (20): 1400-1408, 1999

      10 조유진, "암환아와 일반아의 사회적 지지 지각과불안, 우울 및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한국상담심리학회 14 (14): 2002

      11 노명선, "대학생들의 우울장애에 관현 연구 : 유병율, 위험요인, 자살행동 및 기능장애" 대한신경정신의학회 45 (45): 432-437, 2006

      12 Kawakami N., "Twelve-month prevalence, severity, and treatment of common mental disorders in communities in Japan: preliminary finding from the World Mental Health Japan Survey 2002-2003" 59 (59): 441-452, 2005

      13 Andrews B., "The relation of depression and anxiety to life-stress and achievement in students" 95 (95): 509-521, 2004

      14 Hysenbegasi A., "The impact of depression on the academic productivity of university students" 8 (8): 145-151, 2005

      15 Spendlove D.C., "Risk factors and the prevalence of depression in Mormon women" 18 (18): 491-495, 1984

      16 Crowell B.A. Jr., "Psychosocial risk factors and urban/rural differences in the prevalence of major depression" 149 : 307-314, 1986

      17 Demyttenaere K., "Prevalence, severity, and unmet need for treatment of mental disorders in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orld Mental Health Surveys" 291 (291): 2581-2590, 2004

      18 Kessler R.C., "Prevalence, severity, and comorbidity of 12-month DSM-IV disorders in the National Comorbidity Survey Replication" 62 (62): 617-627, 2005

      19 Medina-Mora M.E., "Prevalence, service use, and demographic correlates of 12-month DSM-IV psychiatric disorders in Mexico:results from the Mexican National Comorbidity Survey" 35 (35): 1773-1783, 2005

      20 Alonso J., "Prevalence of mental disorders in Europe: results from the European Study of the Epidemiology of Mental Disorders (ESEMeD) project" 420 : 21-27, 2004

      21 Karam E.G., "Prevalence and treatment of mental disorders in Lebanon: a national epidemiological survey" 367 (367): 1000-1006, 2006

      22 Kessler R.C., "Lifetime prevalence and age-of-onset distributions of DSM-IV disorders in the National Comorbidity Survey Replication" 62 (62): 593-602, 2005

      23 Gureje O., "Lifetime and 12-month prevalence of mental disorders in the Nigerian Survey of Mental Health and Well-Being" 188 : 465-471, 2006

      24 McGirr A., "Familial aggregation of suicide explained by cluster B traits: a three-group family study of suicide controlling for major depressive disorder" 166 (166): 1124-1134, 2009

      25 Bromet E.J., "Epidemiology of psychiatric and alcohol disorders in Ukraine: findings from the Ukraine World Mental Health survey" 40 (40): 681-690, 2005

      26 Heiligenstein E., "Depression and academic impairment in college students" 45 (45): 59-64, 1996

      27 Young A.H., "Bipolar disorder: diagnostic conundrums and associated comorbidities" 70 (70): e26-, 2009

      28 한홍무, "Beck depression inventory의 한국판표준화 연구" 25 (25): 487-500, 1986

      29 이영호, "BDI, SDS, MMPI-D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에 대한 연구" 10 (10): 98-113, 1991

      30 통계청, "2008년 사망원인통계 결과" 통계청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8 1.28 1.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2 1.07 1.536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