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메밀노래의 내용 층위와 갈래적 성격 = The contents layer and genre character of the buckwheat so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61297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에서는 메밀노래의 사설 구성 중심으로 유형을 나누고, 이 노래의 갈래적 특징을 담배노래와의 비교를 통해 살펴보았다. 메밀노래 1유형은 메밀노래 중 가장 기본적인 형태로, 파종, 메밀 성장, 수확, 탈곡, 음식 조리 등의 공정이 순차적으로 묘사된다. 가창자들은 이 유형을 부름으로써 메밀노래 관련 내용을 포함한 집안일을 잘 하고 있다는 자기 암시를 받았고, 이러한 자부심은 이 노래가 전국적으로 구연되는 원동력으로 작용하였다.
      두 번째 유형은 메밀 농사와 음식 마련, 그리고 식사 권유로 이루어진 형태로, 음식 마련 대목이 댓구, 과장, 묘사, 의인법 등을 통해 표현된 것이 특징이다. 이 유형의 마지막에 노래되는 식사 권유 및 거절 관련 내용은 유희성 강화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었다. 그럼에도, 1유형과 2유형 작중 화자는 부지런한 농사꾼으로서의 면모를 유지하고 있다.
      세 번째 유형은 메밀 농사, 음식 장만, 식사 권유에 이어 유흥(遊興), 혹은 한탄(恨歎)이 결합된 형태이다. 이 유형은 식사 권유 이후의 내용이 차지하는 비중이 확대되면서 가창자의 현실 인식이 노래에 영향을 미쳤다. 특히, 한탄을 노래한 자료들의 경우 노래 전반부에 노래되는 메밀 농사 및 음식 마련 내용이 전체 노래의 비극성을 우회적으로 강화하는 역할을 하였다.
      농사 과정은 메밀노래의 기본 골격에 해당한다. 메밀의 현실 생활에서의 위상이 높은 상황에서 농사 순서는 지역 및 개인에 따라 큰 차이가 없다. 그런 이유로 유형이 바뀌어도 농사 및 식사 권유로 이어지는 노래의 기본 구조는 유지되는 경우가 많다. 기본 구조 유지 및 점층적 사설 확장, 그리고 구연 원동력으로서의 자부심은 이 노래만의 특징이다.
      번역하기

      본고에서는 메밀노래의 사설 구성 중심으로 유형을 나누고, 이 노래의 갈래적 특징을 담배노래와의 비교를 통해 살펴보았다. 메밀노래 1유형은 메밀노래 중 가장 기본적인 형태로, 파종, 메...

      본고에서는 메밀노래의 사설 구성 중심으로 유형을 나누고, 이 노래의 갈래적 특징을 담배노래와의 비교를 통해 살펴보았다. 메밀노래 1유형은 메밀노래 중 가장 기본적인 형태로, 파종, 메밀 성장, 수확, 탈곡, 음식 조리 등의 공정이 순차적으로 묘사된다. 가창자들은 이 유형을 부름으로써 메밀노래 관련 내용을 포함한 집안일을 잘 하고 있다는 자기 암시를 받았고, 이러한 자부심은 이 노래가 전국적으로 구연되는 원동력으로 작용하였다.
      두 번째 유형은 메밀 농사와 음식 마련, 그리고 식사 권유로 이루어진 형태로, 음식 마련 대목이 댓구, 과장, 묘사, 의인법 등을 통해 표현된 것이 특징이다. 이 유형의 마지막에 노래되는 식사 권유 및 거절 관련 내용은 유희성 강화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었다. 그럼에도, 1유형과 2유형 작중 화자는 부지런한 농사꾼으로서의 면모를 유지하고 있다.
      세 번째 유형은 메밀 농사, 음식 장만, 식사 권유에 이어 유흥(遊興), 혹은 한탄(恨歎)이 결합된 형태이다. 이 유형은 식사 권유 이후의 내용이 차지하는 비중이 확대되면서 가창자의 현실 인식이 노래에 영향을 미쳤다. 특히, 한탄을 노래한 자료들의 경우 노래 전반부에 노래되는 메밀 농사 및 음식 마련 내용이 전체 노래의 비극성을 우회적으로 강화하는 역할을 하였다.
      농사 과정은 메밀노래의 기본 골격에 해당한다. 메밀의 현실 생활에서의 위상이 높은 상황에서 농사 순서는 지역 및 개인에 따라 큰 차이가 없다. 그런 이유로 유형이 바뀌어도 농사 및 식사 권유로 이어지는 노래의 기본 구조는 유지되는 경우가 많다. 기본 구조 유지 및 점층적 사설 확장, 그리고 구연 원동력으로서의 자부심은 이 노래만의 특징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소라, "한국의 농요 2~5집" 민속원 1993

      2 임동권, "한국민요집 Ⅱ~Ⅳ" 집문당 1980

      3 문화방송, "한국민요대전" 문화방송 1995

      4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어문연구실, "한국구비문학대계" 동화출판공사 1992

      5 이소라, "파주민요론" 파주문화원 1997

      6 임동철, "충북의 노동요" 전국문화원연합회 충청북도지회 1997

      7 고정옥, "조선민요연구" 동문선 1998

      8 울산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울산울주지방민요자료집" 울산대학교출판부 1990

      9 조희웅, "영남지역 구전민요자료집 1" 월인 2005

      10 김기현, "영남의 소리" 태학사 1998

      1 이소라, "한국의 농요 2~5집" 민속원 1993

      2 임동권, "한국민요집 Ⅱ~Ⅳ" 집문당 1980

      3 문화방송, "한국민요대전" 문화방송 1995

      4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어문연구실, "한국구비문학대계" 동화출판공사 1992

      5 이소라, "파주민요론" 파주문화원 1997

      6 임동철, "충북의 노동요" 전국문화원연합회 충청북도지회 1997

      7 고정옥, "조선민요연구" 동문선 1998

      8 울산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울산울주지방민요자료집" 울산대학교출판부 1990

      9 조희웅, "영남지역 구전민요자료집 1" 월인 2005

      10 김기현, "영남의 소리" 태학사 1998

      11 이소라, "양산의 민요" 양산군 1992

      12 이소라, "상주의 민요" 상주군 1993

      13 이소라, "보성의 민요" 보성문화원 2002

      14 김형주, "민초들의 옛노래" 부안문화원 2004

      15 김태갑, "민요집성" 한국문화사 1996

      16 김영희, "메밀노래" 국립민속박물관 2013

      17 최자운, "동물노래의 형상화 방법과 여성민요적 의의" 한국민요학회 29 : 437-466, 2010

      18 이소라, "대전민요집" 대전중구문화원 1998

      19 장덕순, "구비문학개설" 일지사 2006

      20 거창군, "거창의 민요" 문창사 1997

      21 한림대 인문학연구소, "강원의 민요 Ⅰ" 강원도 2001

      22 길태숙, "<담배노래>의 노랫말 구성 양상과 의미 -대상에 대한 경험, 의미망의 확장과 관련하여" 국제어문학회 (32) : 63-89,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6-07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27 학술지등록 한글명 : 민속학연구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Folk Studies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 0.5 0.4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4 0.39 1.048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