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사회적 약자에 대한 국내외 언론윤리강령 비교 연구 = A Comparative Study on Domestic and Foreign Journalism Code of Ethics for the Socially Underprivilege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57345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compares domestic and foreign cases on how the media prepares guidelines for the socially disadvantaged in the Code of Ethics for Journalism in order to protect the socially underprivileged and not discriminate against them.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I would like to suggest supplementary points to the Korean press ethics code. First, to prevent discrimination against the socially underprivileged, it is necessary to present specific cases that can be applied immediately in the field of coverage and reporting. Second, the Journalists Association needs to introduce an educational program for reporters who cannot afford long hours, and reporters can learn how to cover the socially underprivileged. Third, in order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the ethics code of journalism, it is necessary to specify the standards for illegal acts in reporting on the socially underprivileged. Fourth,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the US's ‘Journalist's Toolbox’ system where reporters can find a list of recent trends, related organizations, and suitable sources when covering issues that are unfamiliar to reporters, such as the socially underprivileged. Fifth, it is necessary for the Journalists Association of Korea to collectively collect and post the code of ethics for each domestic media company so that anyone can check it. This can also stimulate the recognition of incumbent journalists for compliance with the Code of Journalism Ethics. The media still plays a large role in improving people's awareness of human rights and spreading a culture of human rights. It is hop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help to check and reorganize the code of ethics for journalism so that the media can treat the socially underprivileged equally.
      번역하기

      This study compares domestic and foreign cases on how the media prepares guidelines for the socially disadvantaged in the Code of Ethics for Journalism in order to protect the socially underprivileged and not discriminate against them. Based on the an...

      This study compares domestic and foreign cases on how the media prepares guidelines for the socially disadvantaged in the Code of Ethics for Journalism in order to protect the socially underprivileged and not discriminate against them.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I would like to suggest supplementary points to the Korean press ethics code. First, to prevent discrimination against the socially underprivileged, it is necessary to present specific cases that can be applied immediately in the field of coverage and reporting. Second, the Journalists Association needs to introduce an educational program for reporters who cannot afford long hours, and reporters can learn how to cover the socially underprivileged. Third, in order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the ethics code of journalism, it is necessary to specify the standards for illegal acts in reporting on the socially underprivileged. Fourth,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the US's ‘Journalist's Toolbox’ system where reporters can find a list of recent trends, related organizations, and suitable sources when covering issues that are unfamiliar to reporters, such as the socially underprivileged. Fifth, it is necessary for the Journalists Association of Korea to collectively collect and post the code of ethics for each domestic media company so that anyone can check it. This can also stimulate the recognition of incumbent journalists for compliance with the Code of Journalism Ethics. The media still plays a large role in improving people's awareness of human rights and spreading a culture of human rights. It is hop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help to check and reorganize the code of ethics for journalism so that the media can treat the socially underprivileged equall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언론이 사회적 약자를 보호하고 차별을 하지 않기 위하여, 언론윤리강령에 사회적 약자 관련 지침을 어떻게 마련하고 있는지 국내외 사례를 비교하여 특징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의 언론윤리강령에 보완이 필요한 점들을 제시하면, 첫째 사회적 약자에 대한 차별이 발생하지 않도록 취재보도 현장에서 곧바로 적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사례 제시가 필요하다. 둘째, 기자협회 등을 중심으로 긴 시간을 내기 힘든 기자들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이 도입될 필요가 있으며, 이를 통해 사회적 약자와 관련한 취재 및 보도 방식을 배울 기회도 늘어날 것이다. 셋째, 언론윤리강령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사회적 약자를 취재보도하는 데 있어 법적으로 위법한 행위의 기준을 명시해줄 필요가 있다. 넷째, 기자가 평소 친숙하지 못한 이슈(예를 들어, 사회적 약자)를 취재할 때, 근래의 동향과 관련 기관 및 적합한 취재원 리스트를 찾아볼 수 있는 미국의 ‘언론인 도구상자(Journalist’s Toolbox)’와 유사한 시스템을 국내에도 도입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한국기자협회나 한국언론진흥재단 등에서 국내 언론사별 윤리강령을 일괄적으로 취합, 게시하여 누구든지 확인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는 현직 기자들의 언론윤리강령 준수 인식에도 자극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국민의 인권 의식 향상과 인권문화 확산에 언론이 차지하는 비중은 여전히 크다. 본 연구의 결과가 언론이 동등한 인권을 가진 사회적 약자를 사회적 통합 차원에서 조명할 수 있도록 언론윤리강령을 점검하고 재정비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언론이 사회적 약자를 보호하고 차별을 하지 않기 위하여, 언론윤리강령에 사회적 약자 관련 지침을 어떻게 마련하고 있는지 국내외 사례를 비교하여 특징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

      본 연구는 언론이 사회적 약자를 보호하고 차별을 하지 않기 위하여, 언론윤리강령에 사회적 약자 관련 지침을 어떻게 마련하고 있는지 국내외 사례를 비교하여 특징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의 언론윤리강령에 보완이 필요한 점들을 제시하면, 첫째 사회적 약자에 대한 차별이 발생하지 않도록 취재보도 현장에서 곧바로 적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사례 제시가 필요하다. 둘째, 기자협회 등을 중심으로 긴 시간을 내기 힘든 기자들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이 도입될 필요가 있으며, 이를 통해 사회적 약자와 관련한 취재 및 보도 방식을 배울 기회도 늘어날 것이다. 셋째, 언론윤리강령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사회적 약자를 취재보도하는 데 있어 법적으로 위법한 행위의 기준을 명시해줄 필요가 있다. 넷째, 기자가 평소 친숙하지 못한 이슈(예를 들어, 사회적 약자)를 취재할 때, 근래의 동향과 관련 기관 및 적합한 취재원 리스트를 찾아볼 수 있는 미국의 ‘언론인 도구상자(Journalist’s Toolbox)’와 유사한 시스템을 국내에도 도입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한국기자협회나 한국언론진흥재단 등에서 국내 언론사별 윤리강령을 일괄적으로 취합, 게시하여 누구든지 확인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는 현직 기자들의 언론윤리강령 준수 인식에도 자극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국민의 인권 의식 향상과 인권문화 확산에 언론이 차지하는 비중은 여전히 크다. 본 연구의 결과가 언론이 동등한 인권을 가진 사회적 약자를 사회적 통합 차원에서 조명할 수 있도록 언론윤리강령을 점검하고 재정비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건수, ""타자 만들기": 한국사회와 이주노동자의 재현" 비교문화연구소 9 (9): 157-193, 2003

      2 정의철 ; 이창호, "혼혈인에 대한 미디어 보도 분석: 하인스 워드의 성공 전후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1 (51): 84-110, 2007

      3 윤성옥, "해외 언론 자율규제 현황 및 개선방안" 한국언론진흥재단 2017

      4 김예란, "한국의 사회적 약자 관련 보도 현실: 언론인들의 자기 성찰적 평가를 중심으로" 63-103, 2005

      5 김지혜, "한국언론의 중국동포(조선족) 담론 분석- 조선, 동아, 경향, 한겨레신문의 프레임 분석을 중심으로 -" 아시아여성연구원 11 (11): 37-73, 2018

      6 "한국신문윤리위원회 홈페이지"

      7 임양준, "한국거주 이주노동자에 대한 신문의 보도 경향과 인식연구 : 조선일보, 한겨례, 경인일보, 부산일보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언론학회 12 (12): 419-456, 2012

      8 이샘물, "한국 언론은 다문화 이주민을 어떻게 보나?" (125) : 67-73, 2012

      9 박영흠, "한국 디지털 저널리즘의 사회적 형성: 디지털 뉴스의 상품화 과정에 대한 역사적 연구"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6 (26): 153-181, 2018

      10 김위근, "포털 뉴스서비스와 온라인 저널리즘의 지형: 뉴스 유통의 구조 변동 혹은 권력 변화" 한국언론정보학회 66 (66): 5-27, 2014

      1 한건수, ""타자 만들기": 한국사회와 이주노동자의 재현" 비교문화연구소 9 (9): 157-193, 2003

      2 정의철 ; 이창호, "혼혈인에 대한 미디어 보도 분석: 하인스 워드의 성공 전후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1 (51): 84-110, 2007

      3 윤성옥, "해외 언론 자율규제 현황 및 개선방안" 한국언론진흥재단 2017

      4 김예란, "한국의 사회적 약자 관련 보도 현실: 언론인들의 자기 성찰적 평가를 중심으로" 63-103, 2005

      5 김지혜, "한국언론의 중국동포(조선족) 담론 분석- 조선, 동아, 경향, 한겨레신문의 프레임 분석을 중심으로 -" 아시아여성연구원 11 (11): 37-73, 2018

      6 "한국신문윤리위원회 홈페이지"

      7 임양준, "한국거주 이주노동자에 대한 신문의 보도 경향과 인식연구 : 조선일보, 한겨례, 경인일보, 부산일보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언론학회 12 (12): 419-456, 2012

      8 이샘물, "한국 언론은 다문화 이주민을 어떻게 보나?" (125) : 67-73, 2012

      9 박영흠, "한국 디지털 저널리즘의 사회적 형성: 디지털 뉴스의 상품화 과정에 대한 역사적 연구"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6 (26): 153-181, 2018

      10 김위근, "포털 뉴스서비스와 온라인 저널리즘의 지형: 뉴스 유통의 구조 변동 혹은 권력 변화" 한국언론정보학회 66 (66): 5-27, 2014

      11 김현미, "판사 아빠, 의사 엄마도 자폐는 감당이 벅찼어요" 신동아

      12 통계청, "주요 연령계층별 추계인구 고령인구"

      13 정창권, "조선시대 장애인 예술가의 존재양상" 한국학연구소 (38) : 423-458, 2011

      14 Bill Kovach, "저널리즘의 기본 원칙" 한국언론진흥재단 2021

      15 이일호, "인터넷신문위원회, 인터넷신문윤리강령 개정 설명회 개최" 인사이트코리아

      16 "인터넷신문위원회 윤리강령"

      17 조소영, "인권조례 제정을 위한 제언(提言) - 부산광역시의 소수자ㆍ사회적 약자 관련 조례를 중심으로 -" 법학연구소 50 (50): 1-26, 2009

      18 김효실, "우영우가 떠났다, 우리 사회의 고민거리를 남기고" 한겨레

      19 설동훈, "외국인 노동자와 한국사회"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9

      20 윤태선, "외국인 노동자에 대한 텔레비전 뉴스 보도 성향에 관한 연구 : KBS1, MBC, SBS 주시청시간대 뉴스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2

      21 언론중재위원회, "외국신문평의회 사례-영국신문평의회소개" 언론중재

      22 "영국 독립언론표준기구 홈페이지"

      23 Herman, E., "여론조작: 매스미디어의 정치경제학" 에코리브르 2006

      24 김민하, "언론의 문제를 지적하는 시대" 한국기자협회

      25 진태원, "알튀세르 효과" 그린비 출판사 2011

      26 차진아, "사회적 약자의 인권에 관한 연구 - 사회적 약자의 유형에 따른 인권보장의 구체화방향을 중심으로 -" 한국비교공법학회 13 (13): 193-226, 2012

      27 최윤정, "사회적 약자의 뉴스 접근성 개선방안연구" 한국언론진흥재단 2021

      28 윤인진 ; 송영호, "사회적 약자와 소수자의 사회정의와 인권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 한국사회연구소 19 (19): 95-131, 2018

      29 김호연, "사회적 약자 보도를 위한 가이드라인: 장애인과 장애공동체 보도를 중심으로" 104-146, 2005

      30 나달숙, "사회적 약자 및 소수자의 인권보호와 인권교육 방향" 한국 법과인권교육학회 6 (6): 23-55, 2013

      31 이재진, "미디어 윤리"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32 김상만, "대치에만 초제 ‘인권’은 없었다" 미디어오늘

      33 행정안전부, "다문화가족 관련 연도별 통계"

      34 이여주 ; 송준아, "노인혐오에 대한 진화론적 개념분석" 한국노인간호학회 23 (23): 1-12, 2021

      35 이재진, "[인사이드 & 인사이트] 여당 언론법, 피해구제보다비판보도 재갈 채울 것" 동아일보

      36 이균성, "[이균성의 溫技] SNS 시대, 진중권씨는 강력한 B 급 언론이다" 지디넷코리아

      37 Mitra, A., "Voices of the marginalized on the Internet : Examples from the Website for women of South Asia" 54 : 492-510, 2004

      38 Hall, S., "Policing the crisis: Mugging, the state, and law and order" Macmillan Press 1978

      39 Treichler, P. A, "How to have theory in an epidemic: Cultural chronicales of AIDS" Duke University Press 1999

      40 Estes, R. J., "Encyclopedia of quality of life and well-being research" Springer 2014

      41 Steele, B, "Codes of ethics and beyond" Poynter

      42 심훈, "1995년 북한 기아에 대한 뉴욕 타임스와 워싱턴 포스트의 보도 분석: 허만과 촘스키의 프로파간다 모델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48 (48): 57-83, 2004

      43 국가인권위원회, "(언론인을 위한)장애인권 길라잡이"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