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스트레스와 정신건강과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of clinical practice and mental health in nursing stu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59963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of clinical practice and mental health in nursing students. Method :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81 nursing students from one junior colleges located in Ulsan.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1 to 30, 2005 by a questionnaire survey method. The instruments for this study were the stress of clinical practice scale developed by Whang(2002), and the mental health scale modified by Choi et al(1994). The data were analyzed by SPSS program,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ANOVA, Scheffe's test. Result : The mean score for the level of stress of clinical practice was 191.6(potential range: 58-290). The mean score for the mental health was 85(potential range : 47-235).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of clinical practice and mental health revealed a negative significant correlation(r=.-230, p<.05). The relationship among subordinate factors of stress of clinical practice revealed a negative significant correlation. It factors are schedule for the school affairs(r=-.269, p<.05), psychological factors(r=-.259 p<.05), homework(r=-.244, p<.05), knowledge and skill factors(r=-.229, p<.05), sociological factors(r=-.193, p<.05). Conclusion : In conclusion,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level of stress of clinical practice was important factors influencing the mental health response of nursing students. Therefore, in consideration of mental health should be included in the development of a stress management program for nursing students.
      번역하기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of clinical practice and mental health in nursing students. Method :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81 nursing students from one junior colleges located in Ulsan. Th...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of clinical practice and mental health in nursing students. Method :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81 nursing students from one junior colleges located in Ulsan.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1 to 30, 2005 by a questionnaire survey method. The instruments for this study were the stress of clinical practice scale developed by Whang(2002), and the mental health scale modified by Choi et al(1994). The data were analyzed by SPSS program,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ANOVA, Scheffe's test. Result : The mean score for the level of stress of clinical practice was 191.6(potential range: 58-290). The mean score for the mental health was 85(potential range : 47-235).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of clinical practice and mental health revealed a negative significant correlation(r=.-230, p<.05). The relationship among subordinate factors of stress of clinical practice revealed a negative significant correlation. It factors are schedule for the school affairs(r=-.269, p<.05), psychological factors(r=-.259 p<.05), homework(r=-.244, p<.05), knowledge and skill factors(r=-.229, p<.05), sociological factors(r=-.193, p<.05). Conclusion : In conclusion,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level of stress of clinical practice was important factors influencing the mental health response of nursing students. Therefore, in consideration of mental health should be included in the development of a stress management program for nursing studen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스트레스 정도와 정신건강 수준을 알아보고 임상실습스트레스와 정신건강과의 관계를 파악하여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교육모형과 스트레스 완화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연구대상은 임상 실습을 시작하는 시기에 있는 간호 대학생 281명이며,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간호 대학생은 임상실습스트레스 정도가 높고 정신건강정도가 낮았으며, 임상실습스트레스 지각정도가 높을수록 정신건강은 나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임상실습스트레스 요인 중 실습환경과 실습상황, 개인의 심리적 요인, 학사일정, 과제물 등이 높은 스트레스 요인이었다. 그리고 학사일정, 개인의 심리적 요인, 과제물, 간호학에 대한 지식과 기술, 사회적 요인 등에 대해 스트레스를 많이 받을수록 정신건강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간호 대학의 임상실습 교육과정 중 학교 내에서 실습 현장을 미리 체험해볼 수 있는 시뮬레이션형 현장 재현형 실습교육모형을 개발하여 학생들로 하여금 실제 현장에 대한 사전 경험을 충분하게 하게 함으로써 실습 스트레스를 줄이고, 현장에서 보다 잘 적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더불어 학생들의 개인적인 심리적인 요인을 강화하고 간호학과 관련된 이론적 지식과 기초 간호기술, 인간관계 기술 등을 향상시켜 간호대학생들의 정신건강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질적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스트레스 정도와 정신건강 수준을 알아보고 임상실습스트레스와 정신건강과의 관계를 파악하여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교육모형과 스트레스 완화 프로그...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스트레스 정도와 정신건강 수준을 알아보고 임상실습스트레스와 정신건강과의 관계를 파악하여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교육모형과 스트레스 완화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연구대상은 임상 실습을 시작하는 시기에 있는 간호 대학생 281명이며,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간호 대학생은 임상실습스트레스 정도가 높고 정신건강정도가 낮았으며, 임상실습스트레스 지각정도가 높을수록 정신건강은 나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임상실습스트레스 요인 중 실습환경과 실습상황, 개인의 심리적 요인, 학사일정, 과제물 등이 높은 스트레스 요인이었다. 그리고 학사일정, 개인의 심리적 요인, 과제물, 간호학에 대한 지식과 기술, 사회적 요인 등에 대해 스트레스를 많이 받을수록 정신건강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간호 대학의 임상실습 교육과정 중 학교 내에서 실습 현장을 미리 체험해볼 수 있는 시뮬레이션형 현장 재현형 실습교육모형을 개발하여 학생들로 하여금 실제 현장에 대한 사전 경험을 충분하게 하게 함으로써 실습 스트레스를 줄이고, 현장에서 보다 잘 적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더불어 학생들의 개인적인 심리적인 요인을 강화하고 간호학과 관련된 이론적 지식과 기초 간호기술, 인간관계 기술 등을 향상시켜 간호대학생들의 정신건강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질적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가언, "청소년이 지각한 가족지지와 정신건강과의 관계" 1994

      2 한경순, "임상간호사의 간호전문직 태도와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 27 (27): 364-376, 1997

      3 김광일, "의 한국판 표준화 연구" 17 : 449-90 458, 1978

      4 조태경, "양적 자료의 평균 중앙값 그리고 최빈값에 대한 위치 비교 연구" 8 (8): 607-614, 2006

      5 남기성, "사회과학에서 통계적 분석방법의 선택에 대한 연구" 6 (6): 1255-1266, 2004

      6 최영희, "발전과 전망" 대한간호협회 출판부 1986

      7 신경림, "간호대학생의 첫 학기 임상실습 체험연구" 한국성인간호학회지 8 (8): 156-168, 1996

      8 박현숙, "간호대학생의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대응방법 및 학업,취업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11 (11): 621-631, 2002

      9 김명애,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에 대한 인식유형 : Q방법론적 접근" 13 (13): 327-339, 2005

      10 황성자,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스트레스 측정도구 개발 및 도구검증" 14 (14): 35-54, 2002

      1 이가언, "청소년이 지각한 가족지지와 정신건강과의 관계" 1994

      2 한경순, "임상간호사의 간호전문직 태도와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 27 (27): 364-376, 1997

      3 김광일, "의 한국판 표준화 연구" 17 : 449-90 458, 1978

      4 조태경, "양적 자료의 평균 중앙값 그리고 최빈값에 대한 위치 비교 연구" 8 (8): 607-614, 2006

      5 남기성, "사회과학에서 통계적 분석방법의 선택에 대한 연구" 6 (6): 1255-1266, 2004

      6 최영희, "발전과 전망" 대한간호협회 출판부 1986

      7 신경림, "간호대학생의 첫 학기 임상실습 체험연구" 한국성인간호학회지 8 (8): 156-168, 1996

      8 박현숙, "간호대학생의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대응방법 및 학업,취업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11 (11): 621-631, 2002

      9 김명애,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에 대한 인식유형 : Q방법론적 접근" 13 (13): 327-339, 2005

      10 황성자,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스트레스 측정도구 개발 및 도구검증" 14 (14): 35-54, 2002

      11 박정원,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경험" 12 (12): 27-35, 2003

      12 황성자, "간호대학생의 임상스트레스 개념분석 및 개념적 기틀구성" 13 (13): 75-94, 1999

      13 이혜경,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와 대응방법에 관한 연구" 12 (12): 586-593, 2003

      14 하나선,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 지각, 대처유형, 스트레스 반응간의 관계" 28 (28): 358-368, 1998

      15 김희숙, "간호대학생의 성격유형 자아존중감 및 정신건강과의 관계" 12 (12): 385-393, 2003

      16 Sobel, "Self-actualization and the baccalaureate nursing student's response to stress" 238-244, 1978

      17 Beck, "Perceived level and sources of stress in baccalaureate nursing students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253-256, 1991

      18 Windsor, "Nursing students' perceptions of clinical experience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150-154, 1987[2006년11월접수2006년12월채택]

      19 Kleehammer, "Nursing student's perceptions of anxiety producing situations in the clinical setting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1990183-187

      20 Bell, "Caring between nursing students and physically and mentally handicapped children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222-226, 199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6 1.26 1.1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5 0.98 0.956 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