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밀도함수승간격 추정법은 Baus 등 (1998)에 의해 처음 소개된 이후 많은 관심의 대상이 되었다. 최소밀도함수승간격 추정량은 우수한 로버스트 성질을 갖고 효율성도 최우추정량에 필적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171827
박노진 (단국대학교) ; Pak, Ro Jin
2014
Korean
KCI등재,ESCI
학술저널
397-406(10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최소밀도함수승간격 추정법은 Baus 등 (1998)에 의해 처음 소개된 이후 많은 관심의 대상이 되었다. 최소밀도함수승간격 추정량은 우수한 로버스트 성질을 갖고 효율성도 최우추정량에 필적한...
최소밀도함수승간격 추정법은 Baus 등 (1998)에 의해 처음 소개된 이후 많은 관심의 대상이 되었다. 최소밀도함수승간격 추정량은 우수한 로버스트 성질을 갖고 효율성도 최우추정량에 필적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논문에서는 생물정보학에서 사용되는 노말-지수 분포에 근거한 추정량을 최소밀도함수승간격 추정법을 사용하여 구하는 방법을 다루고자 한다. 그런데 그 과정에서 간격을 적분을 통해 구하는 것이 매우 어려움으로 인해 직접적인 적분 대신 라플라스 근사를 시도할 것을 제안한다. 그 결과 추정량이 다소 효율성이 줄어들지만 로버스트 성질을 갖고 있음을 수학적 방법과 모의실험을 통하여 보였다.
참고문헌 (Reference)
1 Basu, A., "Robust and efficient estimation by minimizing a density power divergence" 85 : 549-559, 1998
2 Hampel, F. R., "Robust Statistics: The Approach Based on In uence Functions" John Wiley & Sons 1986
3 McGee, M., "Parameter estimation for the exponential-normal convolution model for background correction of Affymetrix GeneChip data" 5 : 24-, 2006
4 Silver, J., "Microarray background correction: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for the normal-exponential convolution model" 10 : 352-363, 2009
5 Bolstad, B. M., "Low Level Analysis of High-density Oligonucleotide Array Data: Background, Nor-malization and Summariz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Berkeley 2004
6 Irizarry, R. A., "Exploration, normalization and summaries of high density oligonucleotide array probe level data" 4 : 249-264, 2003
7 MacKay, D. J. C., "Choice of basis for Laplace approximation" 33 : 77-86, 1998
8 Byrd, R. H., "A limited memory algorithm for bound constrained optimization" 16 : 1190-1208, 1995
9 Ritchie, M. E., "A comparison of background correction methods for two-colour microarrays" 23 : 2700-2707, 2007
1 Basu, A., "Robust and efficient estimation by minimizing a density power divergence" 85 : 549-559, 1998
2 Hampel, F. R., "Robust Statistics: The Approach Based on In uence Functions" John Wiley & Sons 1986
3 McGee, M., "Parameter estimation for the exponential-normal convolution model for background correction of Affymetrix GeneChip data" 5 : 24-, 2006
4 Silver, J., "Microarray background correction: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for the normal-exponential convolution model" 10 : 352-363, 2009
5 Bolstad, B. M., "Low Level Analysis of High-density Oligonucleotide Array Data: Background, Nor-malization and Summariz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Berkeley 2004
6 Irizarry, R. A., "Exploration, normalization and summaries of high density oligonucleotide array probe level data" 4 : 249-264, 2003
7 MacKay, D. J. C., "Choice of basis for Laplace approximation" 33 : 77-86, 1998
8 Byrd, R. H., "A limited memory algorithm for bound constrained optimization" 16 : 1190-1208, 1995
9 Ritchie, M. E., "A comparison of background correction methods for two-colour microarrays" 23 : 2700-2707, 2007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2-07-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8 | 0.38 | 0.3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5 | 0.34 | 0.565 | 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