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자학 도입에 관한 연구는 한국에 처음으로 수용된 주자학의 성격과 진면목이 무엇이냐에 관한 물음으로서, ‘한국적 주자학’이라는 한국 주자학의 특색을 찾는 노력의 일환이기도 하다....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4917970
지준호 (성균관대학교)
2005
-
주자학 ; 고려후기 ; 유학 ; 불교 ; 신흥사대부 ; Chu Hsi Learning ; late period of Koryŏ ; Confucianism ; Buddhism ; new literati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249-272(24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주자학 도입에 관한 연구는 한국에 처음으로 수용된 주자학의 성격과 진면목이 무엇이냐에 관한 물음으로서, ‘한국적 주자학’이라는 한국 주자학의 특색을 찾는 노력의 일환이기도 하다....
주자학 도입에 관한 연구는 한국에 처음으로 수용된 주자학의 성격과 진면목이 무엇이냐에 관한 물음으로서, ‘한국적 주자학’이라는 한국 주자학의 특색을 찾는 노력의 일환이기도 하다. 따라서 주자학 도입에 관한 연구는 고려후기 ‘한국의 어떠한 학자들이 어떠한 경로로 주자학을 도입하여 학술체계를 세웠는가?’라는 형식적이고도 기초적인 물음을 출발점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그 궁극적인 물음은, 고려후기의 학술계에서 도입한 중국의 주자학은 무엇인가? 과연 원대 주자학의 연구성과가 반영되어 있는가? 만일 원대 주자학의 철학적 요소가 반영되었다면 그것은 무엇인가? 그렇다면 원대 주자학의 내용과 특징은 무엇인가? 원대 주자학에는 陸象山 心學의 요소는 과연 없는가? 중국 명대에는 王陽明의 심학이 발전하였는데, 조선에서는 왜 주자학 일색으로 학술이 발전하게 되었는가? 등등 구체적인 철학적 범주와 내용인 사상성을 요구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한국 주자학의 특색을 밝히기 위해서는 단지 중국 주자학과의 차이점만을 비교대상으로 삼을 것이 아니라, 韓中간의 전체적인 학술사의 관점에서 보다 심도 있는 연구가 요구된다. 우리는 한국의 ‘주자학 도입’에 관한 연구가 사상사 연구의 일환이라는 점을 환기하여야 한다. 주자학 도입에 관한 종합적이고도 체계적인 사상사적인 연구는 반드시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보다 광범위한 자료의 활용을 기초로 이와 관련한 제반 문제에 관하여 심도 있는 접근이 요청된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주자학이 한국철학 형성에 끼친 영향 유교사상연구" 1992
2 "주자철학의 수입" 43 : 1984
3 지부일, "조선초의 대명 문화교류와 「성리대전」의 수용" 3 : 1997
4 지두환, "조선초기 주자가례의 이해과정" 1982
5 "조선초 국내의 서적보급정책" 17/18 : 2000
6 "조선 초기 서적 수입?간행과 그 성격"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4
7 "원대 성리학" 포은사상연구원 1993
8 "원대 및 명초 주자학의 전개 양상" 22 : 2000
9 김승현, "원대 공자사상의 전개" 2 : 1996
10 "여말선초의 척불논쟁" 11 : 1999
1 "주자학이 한국철학 형성에 끼친 영향 유교사상연구" 1992
2 "주자철학의 수입" 43 : 1984
3 지부일, "조선초의 대명 문화교류와 「성리대전」의 수용" 3 : 1997
4 지두환, "조선초기 주자가례의 이해과정" 1982
5 "조선초 국내의 서적보급정책" 17/18 : 2000
6 "조선 초기 서적 수입?간행과 그 성격"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4
7 "원대 성리학" 포은사상연구원 1993
8 "원대 및 명초 주자학의 전개 양상" 22 : 2000
9 김승현, "원대 공자사상의 전개" 2 : 1996
10 "여말선초의 척불논쟁" 11 : 1999
11 "여말선초의 역사적 도전과 실천 성리학" 10 : 2001
12 "여말선초 성리학 왕정론의 전개" 14 : 2000
13 "여말선초 도학사상의 현대적 의의" 23 : 1993
14 "려말선초의 역사적 전환과 성리학적 대응에 관한 연구" 1996
15 조명제, "려말선초 선승들의 현실의식과 성리학에 대한 대응" 9 : 2000
16 "려말ㆍ선초의 도학사상 연구" 1999
17 "려말ㆍ선초에 있어서 성리학의 수용과 전개"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석사학위논문 1990
식민지에서의 ‘개인’, ‘사회’, ‘민족’의 관념과 자유주의:안창호의 정치적 민족주의와 이광수의 문화적 민족주의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6 | 0.46 | 0.5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7 | 0.46 | 1.189 | 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