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김정은 시대 화장품 기업 생산관리 변화에 관한 연구: 신의주화장품공장과 평양화장품공장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anges in Operations Management of Cosmetics Enterprises during the Kim Jong Un Era: Focusing on the Sinuiju Cosmetics Factory and the Pyongyang Cosmetics Facto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78610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2018년 9월 평양에서 개최하는 남북정상회담을 앞두고, 북한은 외신에 이례적으로 평양화장품공장을 처음으로 공개했다. 이는 다른 산업들을 제쳐두고 화장품공장을 공개할 정도로 화장품산업에 대한 충분한 준비와 자신감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해서 그동안 북한 화장품에 관한 연구는 주로 제품에 대한 평가와 문화적인 측면에서 연구가 이루어졌고, 이를 통해서만 북한 화장품산업의 성장을 엿볼 수 있었다. 즉, 화장품이 어떤 과정으로 생산되어 이러한 성장을 이룬지에 대한 연구는 부재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북한 화장품산업의 변화에 대해 생산 측면에서 살펴보고자 하며, 다음 제기되는 세 가지 질문에 답해보고자 한다. 첫째, 화장품 기업의 생산관리는 과거에 비해 어떻게 변화했는가? 이에 대해 ① ‘설비관리’, ② ‘공정관리’, ③ ‘품질관리’라는 세 가지 측면에서 분석할 것이다. 둘째, 김정은 시대 들어 공장·기업소의 생산관리에서 ‘통합생산체계’가 부각이 되고 있는데, 이를 화장품산업에 어떻게 적용하고 있고 그 수준은 어느 정도인가? 이에 대해서 통합생산체계를 통한 화장품공장의 생산관리 변화를 살펴보고, 남한 기업의 공장자동화와 비교하여 그 수준을 파악하고자 한다. 셋째, 북한에서 화장품산업의 변화를 야기한 요인은 무엇인가? 이에 대해 화장품산업의 성장 요인을 살펴보고, 이에 따른 북한의 노력에 대해 평가하고자 한다.
      번역하기

      2018년 9월 평양에서 개최하는 남북정상회담을 앞두고, 북한은 외신에 이례적으로 평양화장품공장을 처음으로 공개했다. 이는 다른 산업들을 제쳐두고 화장품공장을 공개할 정도로 화장품산...

      2018년 9월 평양에서 개최하는 남북정상회담을 앞두고, 북한은 외신에 이례적으로 평양화장품공장을 처음으로 공개했다. 이는 다른 산업들을 제쳐두고 화장품공장을 공개할 정도로 화장품산업에 대한 충분한 준비와 자신감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해서 그동안 북한 화장품에 관한 연구는 주로 제품에 대한 평가와 문화적인 측면에서 연구가 이루어졌고, 이를 통해서만 북한 화장품산업의 성장을 엿볼 수 있었다. 즉, 화장품이 어떤 과정으로 생산되어 이러한 성장을 이룬지에 대한 연구는 부재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북한 화장품산업의 변화에 대해 생산 측면에서 살펴보고자 하며, 다음 제기되는 세 가지 질문에 답해보고자 한다. 첫째, 화장품 기업의 생산관리는 과거에 비해 어떻게 변화했는가? 이에 대해 ① ‘설비관리’, ② ‘공정관리’, ③ ‘품질관리’라는 세 가지 측면에서 분석할 것이다. 둘째, 김정은 시대 들어 공장·기업소의 생산관리에서 ‘통합생산체계’가 부각이 되고 있는데, 이를 화장품산업에 어떻게 적용하고 있고 그 수준은 어느 정도인가? 이에 대해서 통합생산체계를 통한 화장품공장의 생산관리 변화를 살펴보고, 남한 기업의 공장자동화와 비교하여 그 수준을 파악하고자 한다. 셋째, 북한에서 화장품산업의 변화를 야기한 요인은 무엇인가? 이에 대해 화장품산업의 성장 요인을 살펴보고, 이에 따른 북한의 노력에 대해 평가하고자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September 2018, ahead of the inter-Korean summit held in Pyongyang, North Korea made an unprecedented move by showcasing the Pyongyang Cosmetics Factory to foreign media for the first time. This suggests that North Korea was well-prepared and confident in its cosmetics industry, to the extent of prioritizing the disclosure of the cosmetics factory over other industries. In this regard, precedent studies on North Korean cosmetics have primarily focused on product evaluations and cultural aspects, and only through this has it been possible to see the growth of the North Korean cosmetics industry. In other words,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the processes through which cosmetics are produced and how such growth has been achieved.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hanges in North Korea’s cosmetics industry from a production perspective and seeks to find the answer to the following three questions.
      First, how has the operations management of cosmetics enterprises changed compared to the past? For this question, an analysis will be conducted on three aspects: (1) Equipment Management, (2) Process Management, and (3) Quality Control. Second, during the Kim Jong Un era, the “integrated production system” has emerged as a prominent feature in the operations management of factories and enterprises, and how is this being applied to the cosmetics industry and to what extent? Regarding this, our study intends to investigate changes in operations management at cosmetics factories through the integrated production system and then compare these with the factory automation practices of South Korean companies to assess their relative advancement. Third, what are the factors that have driven changes in North Korea’s cosmetics industry? For this question,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factors driving the growth of the cosmetics industry and to assess the corresponding efforts undertaken by North Korea.
      번역하기

      In September 2018, ahead of the inter-Korean summit held in Pyongyang, North Korea made an unprecedented move by showcasing the Pyongyang Cosmetics Factory to foreign media for the first time. This suggests that North Korea was well-prepared and confi...

      In September 2018, ahead of the inter-Korean summit held in Pyongyang, North Korea made an unprecedented move by showcasing the Pyongyang Cosmetics Factory to foreign media for the first time. This suggests that North Korea was well-prepared and confident in its cosmetics industry, to the extent of prioritizing the disclosure of the cosmetics factory over other industries. In this regard, precedent studies on North Korean cosmetics have primarily focused on product evaluations and cultural aspects, and only through this has it been possible to see the growth of the North Korean cosmetics industry. In other words,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the processes through which cosmetics are produced and how such growth has been achieved.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hanges in North Korea’s cosmetics industry from a production perspective and seeks to find the answer to the following three questions.
      First, how has the operations management of cosmetics enterprises changed compared to the past? For this question, an analysis will be conducted on three aspects: (1) Equipment Management, (2) Process Management, and (3) Quality Control. Second, during the Kim Jong Un era, the “integrated production system” has emerged as a prominent feature in the operations management of factories and enterprises, and how is this being applied to the cosmetics industry and to what extent? Regarding this, our study intends to investigate changes in operations management at cosmetics factories through the integrated production system and then compare these with the factory automation practices of South Korean companies to assess their relative advancement. Third, what are the factors that have driven changes in North Korea’s cosmetics industry? For this question,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factors driving the growth of the cosmetics industry and to assess the corresponding efforts undertaken by North Korea.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