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사료에 대한 재조명과 연구 영역의 확장 - 위진남북조·수당사연구의 현황과 과제 = In-depth Analysis of Historical Materials and Exploring New Themes -A Review of Chinese Medieval History in Korea, 2016~2017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89443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recent years, Korean scholarship in medieval Chinese history has produced abundant scholarly achievement.
      The research trends of our academia can be largely summarized into two major fields in the last two years. First, it is notable that various historical materials including the ancient documents and monuments are actively explored and deeply analyzed. Among them, there is a remarkable increase in research on the whole 'document administration system' including document writing style, contents, and transmission process. The use of inscription materials has also increased. Especially, through the analysis of tombstones, the academia could possibly develop a new research theme or do more in-depth analysis to the topics covered so far.
      The second is the change of research area. While the study of socio-economic history has decreased, the interest of researchers on various topics of social and cultural history that includes religion, ritual, city and daily life history is increasing. Some scholars have pioneered new areas of research by transforming diverse analytical work into a study of women and daily life history from a traditional legal approach.
      번역하기

      In recent years, Korean scholarship in medieval Chinese history has produced abundant scholarly achievement. The research trends of our academia can be largely summarized into two major fields in the last two years. First, it is notable that various ...

      In recent years, Korean scholarship in medieval Chinese history has produced abundant scholarly achievement.
      The research trends of our academia can be largely summarized into two major fields in the last two years. First, it is notable that various historical materials including the ancient documents and monuments are actively explored and deeply analyzed. Among them, there is a remarkable increase in research on the whole 'document administration system' including document writing style, contents, and transmission process. The use of inscription materials has also increased. Especially, through the analysis of tombstones, the academia could possibly develop a new research theme or do more in-depth analysis to the topics covered so far.
      The second is the change of research area. While the study of socio-economic history has decreased, the interest of researchers on various topics of social and cultural history that includes religion, ritual, city and daily life history is increasing. Some scholars have pioneered new areas of research by transforming diverse analytical work into a study of women and daily life history from a traditional legal approach.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병준, "陸贄의 「論緣邊守備事宜狀」에 대한 검토" 중국고중세사학회 (41) : 255-291, 2016

      2 김석우, "六朝 시기 해상 교역과 상업, 국가 재정" 동북아시아문화학회 1 (1): 235-270, 2016

      3 홍승현, "洛遷 이전 墓誌를 통해 본 北魏 墓誌의 展開-<馮熙墓誌> 前史-" 중국사학회 (110) : 265-316, 2017

      4 최진열, "후연(後燕) ‘용성시대(龍城時代)’의 정치적·경제적 자멸(自滅) –광개토대왕(廣開土大王) 후연 공략의 대외적 배경–" 동북아역사재단 (52) : 75-128, 2016

      5 최진열, "효문제의 ‘한화’ 정책과 낙양 호인사회-북위 후기 호속 유지 현상과 그 배경" 한울아카데미 2016

      6 임사영, "황제들의 당제국사" 푸른역사 2016

      7 마크에드워드 루이스, "하버드중국사 당-열린 세계 제국" 너머북스 2017

      8 마크에드워드 루이스, "하버드중국사 남북조-분열기의 중국" 너머북스 2016

      9 주진학, "체국경야의 도-중국행정구역의 연혁" 영남대학교 출판부 2017

      10 류준형, "중국역사지리와 周振鶴의 『體國經野之道』" 역사교육학회 (62) : 159-200, 2017

      1 정병준, "陸贄의 「論緣邊守備事宜狀」에 대한 검토" 중국고중세사학회 (41) : 255-291, 2016

      2 김석우, "六朝 시기 해상 교역과 상업, 국가 재정" 동북아시아문화학회 1 (1): 235-270, 2016

      3 홍승현, "洛遷 이전 墓誌를 통해 본 北魏 墓誌의 展開-<馮熙墓誌> 前史-" 중국사학회 (110) : 265-316, 2017

      4 최진열, "후연(後燕) ‘용성시대(龍城時代)’의 정치적·경제적 자멸(自滅) –광개토대왕(廣開土大王) 후연 공략의 대외적 배경–" 동북아역사재단 (52) : 75-128, 2016

      5 최진열, "효문제의 ‘한화’ 정책과 낙양 호인사회-북위 후기 호속 유지 현상과 그 배경" 한울아카데미 2016

      6 임사영, "황제들의 당제국사" 푸른역사 2016

      7 마크에드워드 루이스, "하버드중국사 당-열린 세계 제국" 너머북스 2017

      8 마크에드워드 루이스, "하버드중국사 남북조-분열기의 중국" 너머북스 2016

      9 주진학, "체국경야의 도-중국행정구역의 연혁" 영남대학교 출판부 2017

      10 류준형, "중국역사지리와 周振鶴의 『體國經野之道』" 역사교육학회 (62) : 159-200, 2017

      11 이유진, "입당구법순례행기역주(2):<839.7.19~8.3>"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7 : 2017

      12 정병준, "입당구법순례행기역주(1):<838.6.13~7.18>"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6 : 2017

      13 정재훈, "유목제국사 552~745: 아사나 권력의 형성과 발전, 그리고 소멸" 사계절 2016

      14 이계명, "위진북조의 문벌사족 연구" 전남대학교출판문화원 2016

      15 이춘호, "위진남북조 시기 ‘풍수(風水)’에 대한 민·관의 인식태도" 한국생태환경사학회 3 : 2017

      16 이재성, "아프라시아브 궁전지 벽화의 ‘조우관사절(鳥羽冠使節)’이 사마르칸트[康國]로 간 원인, 과정 및 시기에 대한 고찰" 동북아역사재단 (52) : 129-187, 2016

      17 김정식, "시신을 정결하게 하는 禮" 중국고중세사학회 (40) : 41-66, 2016

      18 이계명, "서위 북주 수당의 관료적 문벌사족연구" 전남대학교출판문화원 2017

      19 주경미, "백제 위덕왕의 불교적 치세관 형성과 6세기 중국의 정세 변화"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7) : 179-214, 2017

      20 김성희, "동아시아 古中世 石刻資料 解題 및 譯註 Ⅳ" 중국사학회 (107) : 169-209, 2017

      21 돈황학대사전편집위원회, "돈황학대사전" 소명출판 2016

      22 양진성, "남북조시대 남북 간의 교섭과 남북관계― 대외교섭에 사용된 문서의 수수사례를 중심으로 ―" 중국고중세사학회 (46) : 259-310, 2017

      23 김호, "궁성에 갇히고, 틀에 가두어진 궁인들 - 墓誌銘을 통해 본 唐代의 宮人 -" 중국고중세사학회 (42) : 459-492, 2016

      24 최재영, "고등학교 세계사 교과서의 중국고중세사 서술 - 역사 용어를 중심으로 -" 역사교육연구회 (142) : 1-21, 2017

      25 여호규, "고구려와 중국왕조의 만주지역에 대한 공간인식" 한국고대사학회 (88) : 165-208, 2017

      26 정순모, "魏晉隋唐史 연구의 회고와 전망: 다양한 연구 방식의 모색과 연구 기반의 확충" 역사학회 (231) : 157-180, 2016

      27 홍승현, "魏晉南北朝 買地券 譯註 및 解題" 중국고중세사학회 (39) : 259-306, 2016

      28 이성제, "高句麗와 北朝의 경계-고구려의 遼西 동부지역 확보와 그 시기-" 고구려발해학회 54 : 37-57, 2016

      29 이성제, "高句麗 遺民의 遼西지역 世居와 존재양상― <高英淑墓誌>의 譯註와 분석 ―" 중국고중세사학회 (46) : 343-386, 2017

      30 여호규, "高句麗 遺民 <李他仁墓誌銘>의 재판독 및 주요 쟁점 검토" 한국고대사학회 (85) : 365-413, 2017

      31 최재영, "隋唐長安城 東宮의 구조와 성격 - 魏晉南北朝 都城의 東宮과 연관하여" 효원사학회 51 : 65-96, 2017

      32 阿部 幸信, "長沙呉簡에 보이는 ‘市布’에 대해서" 한국목간학회 (19) : 187-205, 2017

      33 이성제, "遺民 墓誌를 통해 본 高句麗의 中裏小兄 - 중리소형의 역임자와 직임을 중심으로 -" 중국고중세사학회 (42) : 431-458, 2016

      34 김석우, "賈ㆍ服注와 비교를 통해 본 杜預 『左傳』 주석의 특징" 중국고중세사학회 (43) : 113-166, 2017

      35 최진열, "胡太后의 臨朝稱制와 권력기반 ― 文・武 官僚集團과 측근집단의 분석을 중심으로" 대동문화연구원 (99) : 159-196, 2017

      36 소현숙, "燕岐地域 佛敎造像碑 연구 -石碑形의 形式과 癸酉銘像의 銘文을 中心으로"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6) : 117-152, 2017

      37 김정식, "漢朝부터 唐朝까지 국내 禮制 硏究의 주요 쟁점과 과제" 중국고중세사학회 (44) : 31-60, 2017

      38 소현숙, "泰安마애삼존상의 도상과 성격 - 竝立한 二佛의 존명 추정과 ‘정치적 서상’으로서 가능성 탐색 -" 백제문화연구소 1 (1): 45-70, 2016

      39 양진성, "梁代 奉勅撰墓誌를 통해 본 墓誌銘의 定型化 - 墓誌에 등장하는 王言文書 運營方式의 分析을 兼하여 -" 중국사학회 (105) : 13-51, 2016

      40 소현숙, "梁 武帝와 隋 文帝의 塔像儀禮와 佛敎的‘敎化’政治 - 懺悔와 受戒, 그리고 感應과 滅罪의 과정을 중심으로" 한국미술사학회 290291 (290291): 151-173, 2016

      41 정병준, "新羅 文武王 9년(669) 赦書에 보이는 ‘五逆’의 再檢討" 동국역사문화연구소 (62) : 125-166, 2017

      42 여호규, "新發見 <高乙德墓誌銘>을 통해 본 高句麗 末期의 中裏制와 中央官制" 백제문화연구소 1 (1): 249-284, 2016

      43 정병준, "文武王 9년(669) 赦書에 보이는 ‘五逆’의 系譜 -唐代 以前 赦書에 대한 검토를 중심으로-"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7) : 245-282, 2017

      44 조성우, "敦煌本 『佛說般泥洹後比丘十變經』 小考 ― 撰述 시기와 종교적 배경을 중심으로 ―" 중국고중세사학회 (43) : 167-203, 2017

      45 홍승현, "後漢 買地券의 분류와역사적·지역적 특징" 중국사학회 (101) : 1-44, 2016

      46 이영철, "安史의 亂 以後 內地藩鎭 設置와 幕職官 構成과 役割의 擴大" 중국사학회 (103) : 41-77, 2016

      47 김성희, "墓誌銘을 통해 본 北魏 여성에 대한 단상 - 자유와 굴레의 양면성 -" 중국고중세사학회 (42) : 339-364, 2016

      48 이완석, "唐朝의 外國 使節 管理 -中央에서의 管理를 중심으로-" 중국사학회 (108) : 21-67, 2017

      49 이완석, "唐朝의 外國 使節 管理" 동국역사문화연구소 (62) : 449-492, 2017

      50 김정식, "唐朝 官人 喪葬 연구의 현황과 과제" 효원사학회 51 : 97-122, 2017

      51 전영섭, "唐宋元・高麗의 律典에 具顯된 謀反罪의 構成要件과 刑罰體系 - 『唐律疏議』, 「名例律」「十惡條」・「賊盜律」「謀反大逆條」의 規定內容을 중심으로" 효원사학회 51 : 123-152, 2017

      52 김한신, "唐代 중후반기 洪州宗의 발전과 사회 역사적 배경에 대한 고찰" 한국선학회 (44) : 129-155, 2016

      53 류준형, "唐代 문서행정의 一面: 禁中 문서의 작성과 활용에 대한 試探" 대구사학회 122 : 203-245, 2016

      54 류준형, "唐代 監護의 시행과 변화의 諸측면" 중국고중세사학회 (43) : 205-256, 2017

      55 류준형, "唐代 王言文書의 전달과 中使의 활동" 동양사학회 (141) : 129-172, 2017

      56 김국진, "唐代 孝倫理·實踐과 韓半島로의 傳播" 택민국학연구원 (17) : 59-84, 2016

      57 김호, "唐代 妻로서의 삶" 이화사학연구소 (55) : 185-218, 2017

      58 정순모, "唐代 士人의 抑佛論과 禪宗" 중국사학회 (111) : 55-87, 2017

      59 김종섭, "唐ㆍ五代 藩鎭 硏究의 現況과 課題" 중국고중세사학회 (44) : 61-86, 2017

      60 염경이, "唐 후반기 唐使 파견과 회흘과의 修好" 중국고중세사학회 (41) : 227-253, 2016

      61 정병준, "唐 德宗代 四王二帝의 亂과 그 限界" 동양사학회 (137) : 1-49, 2016

      62 이영철, "唐 後期 官僚의 陞進과 幕職官 經歷" 중국사학회 (108) : 69-105, 2017

      63 박근칠, "唐 前期 過所․公驗의 기재 양식과 성격 - 「唐開元二十年(732)瓜州都督府給西州百姓游擊將軍石染典過所」의 분석을 중심으로 -" 중국고중세사학회 (41) : 181-226, 2016

      64 김정식, "唐 前期 官人 喪葬制度의 운용과 그 성격 - 賻物ㆍ護喪을 중심으로 -" 수선사학회 (55) : 427-455, 2016

      65 이진선, "唐 前期 安西四鎭의 設置와 變化樣相" 동양사학회 (141) : 93-128, 2017

      66 최진열, "唐 前·後期 羅唐戰爭 서술과 인식 – 『唐會要』와 『通典』의 분석을 중심으로" 동북아역사재단 (56) : 136-192, 2017

      67 강문호, "南朝의 帝王과 佛敎" 경주사학회 41 : 2016

      68 양진성, "南北朝時期의 國際關係에 대한 再考 ― 國書의 授受事例를 중심으로 ―" 동양사학회 (141) : 57-91, 2017

      69 최진열, "北魏洛陽時代 胡太后의 胡化와 그 배경" 인문학연구소 25 : 131-161, 2016

      70 최진열, "北魏 後期 ‘국제도시’ 洛陽과 출현 배경" 중앙아시아학회 22 (22): 1-18, 2017

      71 백윤목, "初受田者 男夫에 대한 再檢討" 중국사학회 (104) : 1-30, 2016

      72 홍승현, "六朝 買地券의 계통과 매지권 문화의 동아시아적 전개― <武寧王買地券>의 역사적 위치에 대하여 ―" 중국고중세사학회 (45) : 135-179, 2017

      73 김한신, "中國 中世 觀音信仰의 민간사회 확산과정 - 魏晉南北朝ㆍ隋唐 시기 觀音說話와 密敎의식의 보급을 중심으로 -" 중국고중세사학회 (39) : 91-120, 2016

      74 홍승현, "三國∼南朝 買地券의 특징과 성격" 중국고중세사학회 (40) : 133-169, 2016

      75 정병준, "『구당서』ㆍ『신당서』 등에 보이는 ‘反’ 용례 비교 검토 ― 신라사의 반란 용례와도 관련하여 ―" 중국고중세사학회 (46) : 311-342, 2017

      76 정병준, "『舊唐書』ㆍ『新唐書』 吳少誠ㆍ吳少陽 등 列傳 譯註" 동국역사문화연구소 (60) : 297-323, 2016

      77 정병준, "『舊唐書』·『新唐書』李納·李師古 등 列傳 譯註"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2 : 2016

      78 조재우, "『舊唐書』 권7, 中宗本紀 譯註" 동국역사문화연구소 (63) : 337-371, 2017

      79 김호, "『舊唐書』 「后妃傳」 譯註[1] - 두황후·장손황후 열전 -" 역사교육학회 (62) : 345-376, 2017

      80 하원수, "『文獻通考』에 실린 ‘唐登科記總目’의 사료적 가치" 중국고중세사학회 (44) : 147-172, 2017

      81 우성민, "『中國歷史地圖集』에 표기된 高句麗 卑沙城에 대한 檢討" 중국사학회 (106) : 157-193, 2017

      82 조재우, "「劉仁願紀功碑」의 해석과 당조의 백제고토 지배방식" 수선사학회 (61) : 101-128, 2017

      83 정병준, "≪구당서≫ 고조본기 역주" 신라사학회 (40) : 225-258, 2017

      84 정병준, "≪新唐書≫ 順宗ㆍ憲宗本紀 역주" 신라사학회 (41) : 333-358, 2017

      85 정면, "‘중국적 세계질서’와 古代 雲南 ― 西爨國과 南詔國을 중심으로 ―" 동양사학회 (135) : 1-58, 2016

      86 홍승현, "‘簒奪’이란 이름으로 단죄된 ‘改革’ ― 고독한 改革家 王莽의 理想國家 ―" 동양사학회 (139) : 1-50, 2017

      87 정면, "‘白族’의 탄생 : 『白族社會歷史調査』와 『白族簡史』의 분석을 중심으로" 인문과학연구소 (50) : 289-325, 2017

      88 정면, "‘大封民國’과 ‘白國’ - 南詔・大理 시기 ‘雲南史’ 서술과 자기인식" 인문과학연구소 (45) : 75-115, 2016

      89 류준형, "‘互動’과 ‘擴散’: 동아시아 학술교류의 새로운 무대― ‘中國中古史靑年學者國際會議’와 국내 연구자의 역할 ―" 중국고중세사학회 (39) : 237-258, 2016

      90 정병준, "[연구노트] 唐五代 藩鎭 硏究에 대한 최근의 논평을 읽고" 중국고중세사학회 (45) : 211-227, 2017

      91 이기천, "7世紀初 唐의 對外戰爭 名分과 國際秩序" 중국고중세사학회 (39) : 197-235, 2016

      92 소현숙, "6世紀 北朝의 宗敎造像과 鄕村景觀 ― 銘文 分析을 통해 본 公共的 佛道造像碑의 立地와 性格 ―" 중국고중세사학회 (42) : 365-396, 2016

      93 조성우, "6世紀 北朝의 佛敎 信仰과 反亂 ― 中國의 佛敎 救世主 信仰과 관련하여 ―" 중국고중세사학회 (39) : 161-196, 2016

      94 김영환, "5胡16國時期 後趙의 官職補任과 종족차별 연구" 중국연구소 73 : 159-198, 2017

      95 김영환, "5胡16國 시기 後趙의 통치정책 연구 -胡族과 漢族에 대한 二元化政策을 중심으로-" 중국연구소 69 : 159-184, 2016

      96 안순형, "5-6世紀 北方에서 <<四分律>>의 流傳과 그 原因" 중국사학회 (102) : 1-33, 2016

      97 정재균, "5-6世紀 中國 造像記 자료 및 연구 성과의 소개와 과제" 중국고중세사학회 (44) : 87-113, 2017

      98 이춘호, "4세기 漢人王朝 前涼(332∼376)의 정치국면과 그 변화― 張祚의 ‘僭號稱帝’ 전후 국내외 사정을 중심으로 ―" 동양사학회 (141) : 1-56, 201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5-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5 1.05 0.9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4 0.75 1.505 0.5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