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어미의 고유 자질에 따른 어미의 변별 = Distinction of Endings Based on Their Inherent Featur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23554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wofold. First, I point out the problems of the endings classification system based on the classification of complex sentences. Second, as an alternative to this, we propose a classification of endings based
      on their inherent features. In Chapter 2, we pointed out that it is necessary to distinguish the whole construction and the individual constituent parts. In Chapter 3, we argued that it is necessary to escape from the concept of conjunction and embedding. Chapter 4 presents a new classification system of endings. The classification criteria are [±direct link to following end], [±following end request], and [±direct link to following declension Ending]. These three features are concisely unified in a single condition, Which inflectional morphemes are required?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wofold. First, I point out the problems of the endings classification system based on the classification of complex sentences. Second, as an alternative to this, we propose a classification of endings based on their inh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wofold. First, I point out the problems of the endings classification system based on the classification of complex sentences. Second, as an alternative to this, we propose a classification of endings based
      on their inherent features. In Chapter 2, we pointed out that it is necessary to distinguish the whole construction and the individual constituent parts. In Chapter 3, we argued that it is necessary to escape from the concept of conjunction and embedding. Chapter 4 presents a new classification system of endings. The classification criteria are [±direct link to following end], [±following end request], and [±direct link to following declension Ending]. These three features are concisely unified in a single condition, Which inflectional morphemes are requir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 2. 어미체계와복문체계는일치하여야 하는가
      • 3. 어미가접속과내포를배타적으로수행하는가
      • 4. 어미 본유의 공통 기능과 어미 체계
      • 4.1. 어미 분류의 문제점과 조건
      • 1. 서론
      • 2. 어미체계와복문체계는일치하여야 하는가
      • 3. 어미가접속과내포를배타적으로수행하는가
      • 4. 어미 본유의 공통 기능과 어미 체계
      • 4.1. 어미 분류의 문제점과 조건
      • 4.2. 어미 중심의 어말 어미 분류 모형
      • 5.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윤석민, "현대국어의 문장종결법 연구" 집문당 2000

      2 이진병, "현대 국어 연결 구성의 '-게' 연구" 전북대학교 대학원 2014

      3 이희자, "한국어 학습 전문가용 어미·조사 사전" 한국문화사 2010

      4 김승곤, "한국어 이음씨끝의 의미 및 통어 기능 연구(Ⅰ)" 한글학회 186 : 3-34, 1984

      5 주지연, "한국 한자어의 형태소 분포 조사" 국어학회 (76) : 39-66, 2015

      6 남기심, "표준 국어문법론" 박이정 2014

      7 유현경, "표준 국어 문법 개발 기초 연구(연구보고서)" 국립국어원 2013

      8 남기심, "접속어미와 부사형 어미" 연세대학교한국어학당 10 : 69-77, 1985

      9 연세대학교 언어정보개발연구원, "연세 한국어사전" 두산 1998

      10 권재일, "언어학 연구사" 서울대학교출판부 493-536, 1991

      1 윤석민, "현대국어의 문장종결법 연구" 집문당 2000

      2 이진병, "현대 국어 연결 구성의 '-게' 연구" 전북대학교 대학원 2014

      3 이희자, "한국어 학습 전문가용 어미·조사 사전" 한국문화사 2010

      4 김승곤, "한국어 이음씨끝의 의미 및 통어 기능 연구(Ⅰ)" 한글학회 186 : 3-34, 1984

      5 주지연, "한국 한자어의 형태소 분포 조사" 국어학회 (76) : 39-66, 2015

      6 남기심, "표준 국어문법론" 박이정 2014

      7 유현경, "표준 국어 문법 개발 기초 연구(연구보고서)" 국립국어원 2013

      8 남기심, "접속어미와 부사형 어미" 연세대학교한국어학당 10 : 69-77, 1985

      9 연세대학교 언어정보개발연구원, "연세 한국어사전" 두산 1998

      10 권재일, "언어학 연구사" 서울대학교출판부 493-536, 1991

      11 유현경, "부사형 어미와 접속어미" 한국어학회 16 : 6-352, 2002

      12 서울 대학교 국어 교육 연구소, "문법(고등 학교 교사용 지도서)" 교육인적 자원부 2002

      13 박재연, "문법 형식의 의미 기술과 통사론?의미론?화용론" 한국어학회 37 : 181-206, 2007

      14 권재일, "문법 기술에서의 ‘의미 관계’에 대하여" 한글학회 205 : 145-162, 1989

      15 우형식, "명사화소 ‘-음’과 ‘-기’의 분포와 기능" 12 : 119-160, 1987

      16 김일환, "명사형 어미의 내적 결합 양상:말뭉치를 기반으로" 언어정보연구소 (6) : 21-50, 2005

      17 이진병, "말뭉치에 나타난 ‘-도록’의 형태·분포적 특성" 국어문학회 62 (62): 29-53, 2016

      18 홍종선, "국어체언화구문의 연구" 고대민족문화연구소출판부 1990

      19 유현경, "국어접속문의통사적 특질에 대하여" 한글학회 191 : 77-104, 1986

      20 윤평현, "국어의미론" 역락 2008

      21 윤평현, "국어의 접속어미 연구" 한신문화사 1989

      22 김영희, "국어의 접속문" 국립국어연구소 11 : 56-66, 1987

      23 이은경, "국어의 연결 어미 연구" 태학사 2000

      24 임홍빈, "국어의 명사구 확장 규칙에 대하여" 국어학회 16 : 379-430, 1987

      25 임홍빈, "국어문법론 Ⅰ" 한국방송대학교출판부 1995

      26 정정덕, "국어 접속어미의 의미 통사론적 연구 : 종속 접속어미를 중심으로" 漢陽大學校 大學院 1986

      27 이관규, "국어 대등 구성 연구" 서광학술자료사 1992

      28 Baayen, R. H., "Chronicling The Times Productive Lexical Innovations in an English Newspaper" 72 : 69-96, 199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1 0.31 0.2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 0.32 0.556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