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직업교육(Career and Technical Education)과 인력개발(Human Resource Development)의 연계: 직업교육/인력개발 전문가들의 역량에 대한 종합적,분석적 비교 고찰 = Bridging Career and Technical Education (CTE) to Human Resource Development (HRD): Integrative and Analytical Comparison of Competencies between CTE and HRD Profession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53407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미국의 경우 많은 대학에 직업교육(CTE)과 인력개발(HRD) 과정이 같은 학과에 오랫동안 공존하여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두 학문 사이의 학문적, 실용적 관련성과 밀접성에 대한 의문이 끊...

      미국의 경우 많은 대학에 직업교육(CTE)과 인력개발(HRD) 과정이 같은 학과에 오랫동안 공존하여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두 학문 사이의 학문적, 실용적 관련성과 밀접성에 대한 의문이 끊이지 않았다. 이 연구는 학생들이 역량있는 인적자원개발 전문가가 되기 위하여 인적자원개발 관련 학과에 다니고, 대학들은 역량개발에 기반을 둔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음에 착안하여, 직업교육 및 인력개발 전문가들의 핵심역량이 서로 어떤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양 학문의 공존 가능성을 탐구하였다. 양 집단의 핵심 역량에 대한 비판적 비교와 종합, 그리고 개념적 추론화 과정을 거치는 통합적 문헌연구(Integrative literature review) 방법론이 활용되었다. 이 연구는 직업교육과 인력개발 전문가 집단에 있어 기본적 핵심역량과 요구되는 태도, 전문성 분야 등이 거의 유사하다는 점을 발견하였고, 따라서 직업교육과 인력개발, 양 학문은 동일한 학과에서 공존하면서 상호 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는 점을 보여주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For decades Career and Technical Education (CTE)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HRD) have coexisted within the same university academic departments. However, the relevance or proximity between CTE and HRD has continued to be questioned. Given that st...

      For decades Career and Technical Education (CTE)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HRD) have coexisted within the same university academic departments. However, the relevance or proximity between CTE and HRD has continued to be questioned. Given that students enroll in workforce education programs to develop competencies to be successful workforce educators/trainers and that many higher education workforce education programs adopt competency-based education models, our study seeks to find the reason for the coexistence of CTE and HRD in the same university departments by examining the commonalities in competencies between CTE teachers and HRD professionals. An integrative literature review is primarily used for providing a rational framework through critical comparison, synthesizing, and conceptual reasoning. The research findings are presented, followed by practical and theoretical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suggestions. The study found that almost identical competencies are required for both CTE and HRD professionals in terms of basic core competencies, areas of expertise, and roles of strategic partners in each context -school versus business setting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