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국의 독서운동에 대한 연구 = A Study of China's Reading Campaig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13538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중국의 독서운동은 1993년부터 청소년 교육의 일환으로 '청소년독서교육활동'으로 시작되고, 2006년부터 정부 차원의 '전민독서활동'으로 전개하고 있다. 이 연구는 독서운동 해외사례 조사의...

      중국의 독서운동은 1993년부터 청소년 교육의 일환으로 '청소년독서교육활동'으로 시작되고, 2006년부터 정부 차원의 '전민독서활동'으로 전개하고 있다. 이 연구는 독서운동 해외사례 조사의 하나로 중국의 독서운동에 대한 조사 및 분석을 목적으로 문헌연구와 인터넷 조사방법 및 메타스터디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독서 현황과 관련하여 중국인의 독서 이유와 독서하지 않는 이유 그리고 독서율과 독서량을 살피고, 독서운동 현황으로 '전민독서활동'의 배경과 운영방식 및 주요 활동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중국 독서운동의 특징과 문제점을 살피고, 우리나라의 독서운동을 위하여 1) 국가차원의 독서운동 전개, 2) 공통 주제를 통한 집중적 독서운동, 3) 자기교육과 인성개발을 위한 청소년 독서교육을 제언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hina's reading campaign has started as part of youth education since 1993 and also has been conducted as government-level 'national reading activities' since 2006.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and analyzed China's reading campaign as part ...

      China's reading campaign has started as part of youth education since 1993 and also has been conducted as government-level 'national reading activities' since 2006.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and analyzed China's reading campaign as part of overseas case study of reading campaign, based on literature studies and internet survey method as well as meta study. As regard reading status, Chinese people's reasons to read or not to read books plus reading rate and reading amount were reviewed and the background, operation style and major activities of 'national reading activities' were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of China's reading campaign were reviewed and 1) national level reading campaign, 2) intensive reading campaign through common subject and 3) youth reading education for self-education and character development were put forth for the betterment of reading campaign in Korea.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영석, "영국 북스타트 운동의 의의와 그 추진 현황-셰필드 북스타트를 중심으로-" 한국문헌정보학회 38 (38): 291-313, 2004

      2 김영석, "영국 공공도서관의 독서진흥 활동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 39 (39): 347-364, 2005

      3 윤정옥, "미국의 지역사회 대중독서운동에 관한 연구 - The Big Read를 중심으로 -" 한국도서관·정보학회 40 (40): 311-333, 2009

      4 조찬식, "대중독서운동에 관한 연구 - 서울시 성북구의 ‘원 북, 성북' 독서운동을 중심으로 -" 한국문헌정보학회 47 (47): 201-221, 2013

      5 "聚焦全国国民阅读调查"

      6 中国新闻出版研究院, "第十次全国国民阅读调查"

      7 "爱国主义教育的成功实践: 全国青少年爱国主义读书教育活动综" 10 : 2015

      8 "总署发布2009年全民阅读活动情况调研报告"

      9 王素芳, "图书馆儿童阅读推广活动评估指标体系构建研究" 39 (39): 41-52, 2013

      10 徐道稳, "全国青少年爱国主义读书教育活动调查报告" 10 : 66-68, 2003

      1 김영석, "영국 북스타트 운동의 의의와 그 추진 현황-셰필드 북스타트를 중심으로-" 한국문헌정보학회 38 (38): 291-313, 2004

      2 김영석, "영국 공공도서관의 독서진흥 활동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 39 (39): 347-364, 2005

      3 윤정옥, "미국의 지역사회 대중독서운동에 관한 연구 - The Big Read를 중심으로 -" 한국도서관·정보학회 40 (40): 311-333, 2009

      4 조찬식, "대중독서운동에 관한 연구 - 서울시 성북구의 ‘원 북, 성북' 독서운동을 중심으로 -" 한국문헌정보학회 47 (47): 201-221, 2013

      5 "聚焦全国国民阅读调查"

      6 中国新闻出版研究院, "第十次全国国民阅读调查"

      7 "爱国主义教育的成功实践: 全国青少年爱国主义读书教育活动综" 10 : 2015

      8 "总署发布2009年全民阅读活动情况调研报告"

      9 王素芳, "图书馆儿童阅读推广活动评估指标体系构建研究" 39 (39): 41-52, 2013

      10 徐道稳, "全国青少年爱国主义读书教育活动调查报告" 10 : 66-68, 2003

      11 "全国国民阅读调查报告"

      12 章亦倩, "儿童阅读推广运动中图书馆的角色" 20 (20): 207-209, 2008

      13 孙勤, "儿童阅读推广是公共图书馆的责任" 1 : 41-42, 2014

      14 张蓉, "儿童经典阅读推广活动探微: 以重庆市少儿图书馆为例"

      15 "中华人民共和国新闻出版总署"

      16 Koren, Marian, "The Potential of National Reading Campaigns Experiences from Austria and the Netherlands in International Perspective" 2008

      17 Panozzo, Genimaree, "Read All About It: the Moreland Reading Project and the UK National Reading Campaigns" 15 (15): 52-60, 2002

      18 "NCLB; P.L. 107-110"

      19 Pyper, Jane, "Five Principles Towards a National Reading Strategy" 5 (5): 1-5, 2010

      20 "2008年全民阅读活动情况调查报告"

      21 서창호, "1993년 이후 한국 독서운동의 전개양상 분석"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8

      22 채예송, "1960∼1970년대의 독서 운동에 관한 연구 : 신문 자료에 나타난 독서 목록을 중심으로"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8-08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비블리아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 0.5 0.6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8 0.62 0.913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