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발표 활동에서 예비 과학교사들의 동료평가에 관한 결과와 인식 분석 = The analysis of results and recognition on pre-service science teachers' peer evaluation in presentation activ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40264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analyzed peer evaluation pattern about project presentation of science pre-service teachers. Also this study investigated cognition about peer evaluation of science pre-service teachers. Science pre-service teachers gave high scores about whole domain of announcement attitude and preparation. But they gave low scores about specific and cognitive domain of teaching strategy, teaching resources and learning purpose. And they suggested that merit of peer evaluation was application of various evaluation standingpoint. Also they suggested that demerit of peer evaluation was possibility of subjective evaluation by personal relationships. Especially they suggested that teachers should use score scale and descriptive type together and evaluate precisely and objectively in peer evaluation items. They responsed that the evaluation was objective generally in relation to objectivity of peer evaluation. And they responsed they would accept the result of peer evaluation. This research suggested that peer evaluation had meaningful possibility as evaluation method of announcement activity. We should study the evaluation-questionnaire development and the method which reflects evaluation result to apply peer evaluation actively.
      번역하기

      This research analyzed peer evaluation pattern about project presentation of science pre-service teachers. Also this study investigated cognition about peer evaluation of science pre-service teachers. Science pre-service teachers gave high scores abou...

      This research analyzed peer evaluation pattern about project presentation of science pre-service teachers. Also this study investigated cognition about peer evaluation of science pre-service teachers. Science pre-service teachers gave high scores about whole domain of announcement attitude and preparation. But they gave low scores about specific and cognitive domain of teaching strategy, teaching resources and learning purpose. And they suggested that merit of peer evaluation was application of various evaluation standingpoint. Also they suggested that demerit of peer evaluation was possibility of subjective evaluation by personal relationships. Especially they suggested that teachers should use score scale and descriptive type together and evaluate precisely and objectively in peer evaluation items. They responsed that the evaluation was objective generally in relation to objectivity of peer evaluation. And they responsed they would accept the result of peer evaluation. This research suggested that peer evaluation had meaningful possibility as evaluation method of announcement activity. We should study the evaluation-questionnaire development and the method which reflects evaluation result to apply peer evaluation activel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예비 과학교사들의 과제 발표 활동에 대한 동료평가의 양상을 분석했다. 또한 동료평가를 수행한 예비 과학교사들의 동료평가에 대한 인식도 알아보았다. 동료평가 결과 예비교사들은 발표 자세와 준비 등 발표의 전반적인 부분에 대해서는 높은 점수를 주었다. 그러나 교수전략,교수 자료, 학습 목표 등의 세부적이고 인지적인 영역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점수를 나타냈다. 동료평가의 장점에 대해 예비교사들은 다양한 평가 관점의 적용을 들었다. 또한 동료평가의 단점으로는 개인적인 관계에 의한 주관적 평가의 가능성을 제시했다. 특히 동료평가 문항은 점수척도와 서술형을 같이 사용해 평가를 정확하고 객관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도 제시했다. 동료평가 결과의 객관성과 관련해서는 예비교사들이 비교적 객관적으로 평가했고, 동료들의 평가 결과에 대해서도 수용하겠다는 의견이 많이 제시되었다. 이는 동료평가가 발표활동에 대한 평가법으로서 높은 가능성을 가지고 있음을 시사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동료평가가 활발하게 적용되기 위해서는 평가지 개발에 대한 연구와 평가 결과를 반영하는 방식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예비 과학교사들의 과제 발표 활동에 대한 동료평가의 양상을 분석했다. 또한 동료평가를 수행한 예비 과학교사들의 동료평가에 대한 인식도 알아보았다. 동료평가 결과 예비교...

      이 연구는 예비 과학교사들의 과제 발표 활동에 대한 동료평가의 양상을 분석했다. 또한 동료평가를 수행한 예비 과학교사들의 동료평가에 대한 인식도 알아보았다. 동료평가 결과 예비교사들은 발표 자세와 준비 등 발표의 전반적인 부분에 대해서는 높은 점수를 주었다. 그러나 교수전략,교수 자료, 학습 목표 등의 세부적이고 인지적인 영역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점수를 나타냈다. 동료평가의 장점에 대해 예비교사들은 다양한 평가 관점의 적용을 들었다. 또한 동료평가의 단점으로는 개인적인 관계에 의한 주관적 평가의 가능성을 제시했다. 특히 동료평가 문항은 점수척도와 서술형을 같이 사용해 평가를 정확하고 객관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도 제시했다. 동료평가 결과의 객관성과 관련해서는 예비교사들이 비교적 객관적으로 평가했고, 동료들의 평가 결과에 대해서도 수용하겠다는 의견이 많이 제시되었다. 이는 동료평가가 발표활동에 대한 평가법으로서 높은 가능성을 가지고 있음을 시사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동료평가가 활발하게 적용되기 위해서는 평가지 개발에 대한 연구와 평가 결과를 반영하는 방식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일용, "협동학습에서 피드백 유형이 학업성취도 및 학습 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2

      2 김정혜, "학생에 의한 평가가 자기 효능감 및 학습 태도에 미치는 효과:자기평가와 동료평가를 중심으로"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3 김해동, "파워포인트를 이용한 그룹 발표에서 동료평가의 활용" 한국멀티미디어언어교육학회 10 (10): 155-176, 2007

      4 권혜민, "중학교 과학과에서 수행평가의 실천으로 동료평가 활용"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5 김흥주, "자기평가 및 동료평가가 초등학생의 영어 학습 태도에 미치는 영향"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6 장혜정, "웹기반 소집단 협력학습에서 학습자 성격 특성과 상호작용자 유형에 따른 학습결과 분석" 한국교육공학회 24 (24): 137-167, 2008

      7 신상근, "예비교사의 평가 전문성 신장을 위한 동료평가의 유용성에 관한 연구" 팬코리아영어교육학회 19 (19): 183-8, 2007

      8 김주훈, "수행평가의 이론과 실제: 과학 교과를 중심으로" 서울교육대학교 1999

      9 이봉주, "수학 문제해결 과정에서 고등학생들의 메타인지적 능력 활성화 방안 탐색"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2

      10 송현미, "물질대사 단원의 서술형 문제해결학습에 있어 동료평가의 효과 및 소집단별 언어적 상호작용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6

      1 박일용, "협동학습에서 피드백 유형이 학업성취도 및 학습 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2

      2 김정혜, "학생에 의한 평가가 자기 효능감 및 학습 태도에 미치는 효과:자기평가와 동료평가를 중심으로"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3 김해동, "파워포인트를 이용한 그룹 발표에서 동료평가의 활용" 한국멀티미디어언어교육학회 10 (10): 155-176, 2007

      4 권혜민, "중학교 과학과에서 수행평가의 실천으로 동료평가 활용"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5 김흥주, "자기평가 및 동료평가가 초등학생의 영어 학습 태도에 미치는 영향"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6 장혜정, "웹기반 소집단 협력학습에서 학습자 성격 특성과 상호작용자 유형에 따른 학습결과 분석" 한국교육공학회 24 (24): 137-167, 2008

      7 신상근, "예비교사의 평가 전문성 신장을 위한 동료평가의 유용성에 관한 연구" 팬코리아영어교육학회 19 (19): 183-8, 2007

      8 김주훈, "수행평가의 이론과 실제: 과학 교과를 중심으로" 서울교육대학교 1999

      9 이봉주, "수학 문제해결 과정에서 고등학생들의 메타인지적 능력 활성화 방안 탐색"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2

      10 송현미, "물질대사 단원의 서술형 문제해결학습에 있어 동료평가의 효과 및 소집단별 언어적 상호작용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6

      11 한정선, "동료평가가 온라인 토론 양상에 미치는 변화 연구" 한국교육공학회 24 (24): 87-107, 2008

      12 김삼종, "동료평가 적용 여부에 따른 요약하기 훈련 프로그램의 효과"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13 박창욱, "독후감 작성 능력 신장을 위한 웹 기반 동료평가 시스템"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14 오택환, "논술문 쓰기에 나타난 동료 평가의 양상과 의의" 한국국어교육학회 80 (80): 273-294, 2008

      15 백순근, "국가 교육과정에 근거한 평가 기준 및 도구 개발 연구: 총론(연구보고 RRE 98-3-1)"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998

      16 김찬종, "과학과 수행평가의 이해와 활용" 경문사 2001

      17 이범홍, "과학과 수행평가" 한국교원대학교 1999

      18 김수동, "과학 수업에서 학생 평가를 잘 하려면.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 자료 ORM 2--5-51-5"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5

      19 조희형, "과학 교수-학습과 수행평가:제7차 교육과정의 탐구 기능" 교육과학사 2000

      20 Department for Eucation(DFE), "Science in the national curriculum" HMSO 1995

      21 Defina,A.A, "Portfolio assessment: Getting started" Scholastic Professional Books 1992

      22 Farr, R., "Portfolio and performance assessment" Ariex publishing 1994

      23 Carr, M., "Metacognition in mathematics from a constructivist perspective. In Metacognition in educational theory and practice" Erlbaum 69-92, 1998

      24 Green,M, "Children as evaluators: Understanding evaluation from the inside. In Responsive evaluation by B. Cambourne and Jan Turbil" Heinemann 1994

      25 Hein, G. E., "Active assessment for active science" Heinemann 199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6-0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1 1.21 1.2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9 1.03 1.544 0.5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