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고산구곡가>의 구조와 창작의 의미 = The Structure and Meaning of <Gosangugokga>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thesis examines the contents and the structure of the <Gosangugokga> again and aims to understand what the creation of this work meant to Yulgok Yi I. I tried to read this poetry in concern with the political situation of the Zhu xi and Yulgok at the time of the determination of the moving to Mui and Gosan Gugok, I have summarized it again, including the invitation to the people who will read this poetry.
      The main part of this poetry describes the life of study and appreciation of nature, but also reveals the intention of inviting back and forth of such introduction. In the front of the work, Moo-mi, imagined by the speaker, is not an escape of reality but rather a transitory space that can make a fundamental change in reality. It seems that Yulgok, who founded the Eunbyeong Jeongsa, intended to encourage more people to participate in the new practice space through this work.
      번역하기

      This thesis examines the contents and the structure of the <Gosangugokga> again and aims to understand what the creation of this work meant to Yulgok Yi I. I tried to read this poetry in concern with the political situation of the Zhu xi and Yul...

      This thesis examines the contents and the structure of the <Gosangugokga> again and aims to understand what the creation of this work meant to Yulgok Yi I. I tried to read this poetry in concern with the political situation of the Zhu xi and Yulgok at the time of the determination of the moving to Mui and Gosan Gugok, I have summarized it again, including the invitation to the people who will read this poetry.
      The main part of this poetry describes the life of study and appreciation of nature, but also reveals the intention of inviting back and forth of such introduction. In the front of the work, Moo-mi, imagined by the speaker, is not an escape of reality but rather a transitory space that can make a fundamental change in reality. It seems that Yulgok, who founded the Eunbyeong Jeongsa, intended to encourage more people to participate in the new practice space through this work.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고산구곡가> 서사에 나타난 선언의 맥락과 본사의 구조와 내용을 검토하고 이 작품의 창작이 율곡에게 어떤 의미였는가를 재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무이구곡과 고산구곡에 복거를 결정하던 당시 주자와 율곡이 처한 상황을 서사에서 율곡이 추구한 새로운 실천의 실체를 확인하는 데 활용하고, 기존 연구에서 강조되었던 강학과 영월음풍이라는 요소들과 함께 동시대 선비들에 대한 동참의 권유라는 요소가 어떻게 작용하는가를 살펴보았다.
      필자가 검토한 바에 따르면, 작품의 서사에서 화자가 상상한 무이는 현실의 도피가 아니라 오히려 현실에 근본적인 변화를 줄 수 있는, 우회적이나 적극적인 공간이다. 또한 작품의 본사는 고산구곡에서의 강학과 수양을 소개하면서도, 이러한 소개의 앞뒤로 동참을 권유하는 뜻을 반복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정사라는 교육 공간을 통한 현실의 변화를 추구하며, 율곡은 이 작품이 새로운 실천에 더 많은 이들이 동참하는 데 기여하기를 바랐던 것으로 보인다.
      번역하기

      이 논문은 <고산구곡가> 서사에 나타난 선언의 맥락과 본사의 구조와 내용을 검토하고 이 작품의 창작이 율곡에게 어떤 의미였는가를 재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무이구곡과 고...

      이 논문은 <고산구곡가> 서사에 나타난 선언의 맥락과 본사의 구조와 내용을 검토하고 이 작품의 창작이 율곡에게 어떤 의미였는가를 재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무이구곡과 고산구곡에 복거를 결정하던 당시 주자와 율곡이 처한 상황을 서사에서 율곡이 추구한 새로운 실천의 실체를 확인하는 데 활용하고, 기존 연구에서 강조되었던 강학과 영월음풍이라는 요소들과 함께 동시대 선비들에 대한 동참의 권유라는 요소가 어떻게 작용하는가를 살펴보았다.
      필자가 검토한 바에 따르면, 작품의 서사에서 화자가 상상한 무이는 현실의 도피가 아니라 오히려 현실에 근본적인 변화를 줄 수 있는, 우회적이나 적극적인 공간이다. 또한 작품의 본사는 고산구곡에서의 강학과 수양을 소개하면서도, 이러한 소개의 앞뒤로 동참을 권유하는 뜻을 반복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정사라는 교육 공간을 통한 현실의 변화를 추구하며, 율곡은 이 작품이 새로운 실천에 더 많은 이들이 동참하는 데 기여하기를 바랐던 것으로 보인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재호, "한국시조문학론" 태학사 1999

      2 박을수, "한국시조대사전 상, 하" 아세아문화사 1992

      3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2" 지식산업사 1994

      4 김혜숙, "한국고전시가작품론 2" 집문당 519-532, 1992

      5 김자운, "퇴계의 서원관과 조선후기 소수서원 講學의 변화" 영남퇴계학연구원 (18) : 121-158, 2016

      6 이광호, "퇴계와 율곡 생각을 다투다" 홍익출판사 2013

      7 서명희, "즐거움의 깊이와 넓이 - <고산구곡가>의 의미 구조 -" 한중인문학회 (49) : 65-87, 2015

      8 수징난, "주자평전 상" 역사비평사 2015

      9 이상원, "조선후기 <高山九曲歌> 수용양상과 그 의미" 한국고전문학회 24 : 2-60, 2003

      10 신연우, "조선조 사대부 시조문학 연구" 박이정 149-, 1997

      1 정재호, "한국시조문학론" 태학사 1999

      2 박을수, "한국시조대사전 상, 하" 아세아문화사 1992

      3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2" 지식산업사 1994

      4 김혜숙, "한국고전시가작품론 2" 집문당 519-532, 1992

      5 김자운, "퇴계의 서원관과 조선후기 소수서원 講學의 변화" 영남퇴계학연구원 (18) : 121-158, 2016

      6 이광호, "퇴계와 율곡 생각을 다투다" 홍익출판사 2013

      7 서명희, "즐거움의 깊이와 넓이 - <고산구곡가>의 의미 구조 -" 한중인문학회 (49) : 65-87, 2015

      8 수징난, "주자평전 상" 역사비평사 2015

      9 이상원, "조선후기 <高山九曲歌> 수용양상과 그 의미" 한국고전문학회 24 : 2-60, 2003

      10 신연우, "조선조 사대부 시조문학 연구" 박이정 149-, 1997

      11 한영우, "율곡 이이 평전" 민음사 2016

      12 양희철, "연시조작품론 일반" 월인 2016

      13 이정철, "선조16년 동서 갈등 전개와 ‘계미삼찬(癸未三竄)’" 영남문화연구원 (25) : 275-312, 2014

      14 신연우, "사대부 시조와 유학적 일상성" 이회 2000

      15 이동희, "동아시아 세계관의 원천 주자"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07

      16 "국역 율곡전서 (Ⅶ)"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8

      17 "국역 율곡전서 (Ⅳ)"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8

      18 "국역 율곡전서 (Ⅲ)"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7

      19 "국역 율곡전서 (Ⅰ)"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7

      20 金昞國, "「高山九曲歌」 硏究 : 『精言妙選』과 관련하여" 成均館大學校 大學院 1991

      21 고정희, "<도산십이곡>과<고산구곡가>의 언어적 차이와 시가사적 의의" 국어국문학회 141 : 197-228, 2005

      22 양희철, "<고산구곡가>의 주제 연구" 어문연구학회 85 : 161-185, 2015

      23 김상진, "<고산구곡가>의 구조와 의미 고찰" 한국언어문화학회 8 : 61-81, 1990

      24 조태흠, "<고산구곡가>의 구조와 의미" 부산대 국어국문학과 24 : 41-57, 1987

      25 이민홍, "<고산구곡가>와 <무이도가>고(II)" 개신어문학회 2 : 183-201, 1982

      26 최진원, "<고산구곡가> 고(초)" 한국시조학회 3·4 : 51-58, 1988

      27 김풍기, "<高山九曲歌>에 나타난 理想鄕의 意味- 朱子의 <武夷櫂歌>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사)율곡학회 29 : 227-254, 2014

      28 신두환, "16世紀 朝鮮의 『朱子大全』 刊行과 그 學問的 動向 硏究" 경남문화연구원 (52) : 43-78, 201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5-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9 0.79 0.7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2 0.72 1.376 0.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