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자영업자의 사회보험 수급권에 관한 연구-스웨덴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ocial Insurance Rights of the Self-employed -Focusing on the case of Swede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9204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rticle 34 of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the right to seek happiness and social security under Article 9 of the Basic Social Security Act, declare that all citizens have the right to receive social security. However, the self-employed are virtually vulnerable to the right for social insurance entitlement among social security rights. Compared to the ordinary Worker, they are heavily in arrears with private insurance premiums and, moreover, excluded from unemployment and industrial insurance. This suggests that it is bound to become more vulnerable to the dangers of capitalist society: old age, disease, industrial accidents and unemployment. Internationally, the number of self-employed people is on the rise, and they are degenerating into precariats. Korea is no exception. On the other hand, the proportion of self-employed people in Sweden is relatively low. That's because employment policies and social security systems are solid. The social insurance system is little different from Sweden's subordinate workers. By law, the definition is similar to that of workers in civil and social laws, except for tax laws. Furthermore, since legal social insurance has a mandate for all citizens, it is possible to actively cope with the social risks of self-employed people. In particular, the unemployment and industrial insurance systems are far superior compared to Korea. Self-employment is a future job and is encouraged in many countries under the name of start-up. This calls for a shift in the social insurance paradigm. South Korea is also required to redefine its social insurance system to revitalize the self-employed while preparing for the fourth industry.
      번역하기

      Article 34 of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the right to seek happiness and social security under Article 9 of the Basic Social Security Act, declare that all citizens have the right to receive social security. However, the self-employed ...

      Article 34 of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the right to seek happiness and social security under Article 9 of the Basic Social Security Act, declare that all citizens have the right to receive social security. However, the self-employed are virtually vulnerable to the right for social insurance entitlement among social security rights. Compared to the ordinary Worker, they are heavily in arrears with private insurance premiums and, moreover, excluded from unemployment and industrial insurance. This suggests that it is bound to become more vulnerable to the dangers of capitalist society: old age, disease, industrial accidents and unemployment. Internationally, the number of self-employed people is on the rise, and they are degenerating into precariats. Korea is no exception. On the other hand, the proportion of self-employed people in Sweden is relatively low. That's because employment policies and social security systems are solid. The social insurance system is little different from Sweden's subordinate workers. By law, the definition is similar to that of workers in civil and social laws, except for tax laws. Furthermore, since legal social insurance has a mandate for all citizens, it is possible to actively cope with the social risks of self-employed people. In particular, the unemployment and industrial insurance systems are far superior compared to Korea. Self-employment is a future job and is encouraged in many countries under the name of start-up. This calls for a shift in the social insurance paradigm. South Korea is also required to redefine its social insurance system to revitalize the self-employed while preparing for the fourth industr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우리나라는 국제적으로 비교했을 때 자영업자의 수가 많은 편이다. 그리고 이들 중 상당수가 프리카레아트(precariat)로 전락할 위험에 처해있다. 대한민국 「헌법」 제 34조 ‘행복 추구권’과 「사회보장기본법」 9조 ‘사회보장을 받을 권리’는 법적으로 자영업자에게 사회보장 수급권자임을 선언하고 있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자영업자는 사회보장권리 중 사회보험 수급권에 취약한 존재이다. 「고용산재보험료징수법」을 포함한 사회보험법은 자영업자를 사회보험에 포함하고 있지만 의무조항이 아닌 경우가 커 실질적인 법적 효력은 크지 않다. 따라서 이들은 일반 국민들과 비교해서 사회보험료가 체납된 비중이 높고 특히 실업보험과 산재보험에서 배제되어 있다. 반면 스웨덴의 경우 상대적으로 자영업자의 비중이 낮은 편이다. 그 이유는 바로 고용정책과 사회보장제도가 탄탄하기 때문이다. 사회보험체계는 근로자와 거의 별 차이가 없다. 법적으로도 세법을 제외하고 민법이나 사회법에서 근로자와 유사하게 정의내리고 있다. 더욱이 법정 사회보험은 모든 국민들을 대상으로 하는 강제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자영업자의 사회적 위험에 적극적인 대처가 가능하다. 특히 실업보험과 산재보험 체계는 한국과 비교해볼 때 자영업자 보호에 있어서 월등히 우수하다고 볼 수 있다. 자영업은 미래의 일자리로서 많은 국가에서 창업(start-up)이라는 이름으로 장려하고 있다. 이는 사회보험 패러다임의 전환을 요구하고 있다. 한국도 4차 산업을 준비하는 가운데 자영업자들의 활성화를 위해 사회보험체계의 재정립이 요구된다.
      번역하기

      우리나라는 국제적으로 비교했을 때 자영업자의 수가 많은 편이다. 그리고 이들 중 상당수가 프리카레아트(precariat)로 전락할 위험에 처해있다. 대한민국 「헌법」 제 34조 ‘행복 추구권’...

      우리나라는 국제적으로 비교했을 때 자영업자의 수가 많은 편이다. 그리고 이들 중 상당수가 프리카레아트(precariat)로 전락할 위험에 처해있다. 대한민국 「헌법」 제 34조 ‘행복 추구권’과 「사회보장기본법」 9조 ‘사회보장을 받을 권리’는 법적으로 자영업자에게 사회보장 수급권자임을 선언하고 있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자영업자는 사회보장권리 중 사회보험 수급권에 취약한 존재이다. 「고용산재보험료징수법」을 포함한 사회보험법은 자영업자를 사회보험에 포함하고 있지만 의무조항이 아닌 경우가 커 실질적인 법적 효력은 크지 않다. 따라서 이들은 일반 국민들과 비교해서 사회보험료가 체납된 비중이 높고 특히 실업보험과 산재보험에서 배제되어 있다. 반면 스웨덴의 경우 상대적으로 자영업자의 비중이 낮은 편이다. 그 이유는 바로 고용정책과 사회보장제도가 탄탄하기 때문이다. 사회보험체계는 근로자와 거의 별 차이가 없다. 법적으로도 세법을 제외하고 민법이나 사회법에서 근로자와 유사하게 정의내리고 있다. 더욱이 법정 사회보험은 모든 국민들을 대상으로 하는 강제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자영업자의 사회적 위험에 적극적인 대처가 가능하다. 특히 실업보험과 산재보험 체계는 한국과 비교해볼 때 자영업자 보호에 있어서 월등히 우수하다고 볼 수 있다. 자영업은 미래의 일자리로서 많은 국가에서 창업(start-up)이라는 이름으로 장려하고 있다. 이는 사회보험 패러다임의 전환을 요구하고 있다. 한국도 4차 산업을 준비하는 가운데 자영업자들의 활성화를 위해 사회보험체계의 재정립이 요구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심준섭, "지역 소재 자영업자 4대 사회보험 부담 경감 방안" 산업경영연구소 40 (40): 221-250, 2017

      2 이병희, "저소득 노동시장의 실태와 동태적 변화" 한국사회과학연구회 (73) : 204-230, 2008

      3 김경아, "자영자의 국민연금가입 제고방안" 국민연금연구원 2011

      4 반정호, "자영자 가구의 소득실태와 변화 : 1990~2010년" 19-32, 2011

      5 지은정, "자영업자의 취업빈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사회복지학회 65 (65): 147-174, 2013

      6 이승렬, "자영업자의 산재보험 가입 의향 분석" 한국노동연구원 11 (11): 55-80, 2011

      7 최영준, "자영업자에게 적용되는 영국의 실업부조제도" 7 (7): 16-21, 2009

      8 남윤형, "자영업 경쟁력 강화방안" 중소기업연구원 2016

      9 김철주, "스웨덴 거주 이주민 밀집지역의 게토화 실태와 원인: 말뫼(Malmő)시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 스칸디나비아학회 (20) : 43-82, 2017

      10 신승만, "소상공인 생업안정망 구축을 위한 정책적 제언"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2017

      1 심준섭, "지역 소재 자영업자 4대 사회보험 부담 경감 방안" 산업경영연구소 40 (40): 221-250, 2017

      2 이병희, "저소득 노동시장의 실태와 동태적 변화" 한국사회과학연구회 (73) : 204-230, 2008

      3 김경아, "자영자의 국민연금가입 제고방안" 국민연금연구원 2011

      4 반정호, "자영자 가구의 소득실태와 변화 : 1990~2010년" 19-32, 2011

      5 지은정, "자영업자의 취업빈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사회복지학회 65 (65): 147-174, 2013

      6 이승렬, "자영업자의 산재보험 가입 의향 분석" 한국노동연구원 11 (11): 55-80, 2011

      7 최영준, "자영업자에게 적용되는 영국의 실업부조제도" 7 (7): 16-21, 2009

      8 남윤형, "자영업 경쟁력 강화방안" 중소기업연구원 2016

      9 김철주, "스웨덴 거주 이주민 밀집지역의 게토화 실태와 원인: 말뫼(Malmő)시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 스칸디나비아학회 (20) : 43-82, 2017

      10 신승만, "소상공인 생업안정망 구축을 위한 정책적 제언"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2017

      11 노화봉, "독일의 자영업자 현황 및 지원정책 분석" 한독경상학회 35 (35): 1-15, 2017

      12 금재호, "노동시장 양극화 극복을 위한 정책과제" 한국응용경제학회 13 (13): 131-168, 2011

      13 김복순, "경제위기 최일선에 놓인 영세자영업자의 일자리 추이 및 시사점" 한국노동연구원 12-24, 2009

      14 Åberg, "Working in a Cross-Border Situation A Study on the Concepts of Employment and Self-Employment" Lund University 2016

      15 Uninonen, "Unionens politik för ökad trygghet bland egenföretagare" 2018

      16 Lindskog, "The Swedish Social Insurance System for the Self-Employed" Wissenschaftszentrum Berlin für Sozialforschung(WZB) 2005

      17 Svenskt Näringsliv Försäkringsinformation AB, "Statutory and collective insurance schemes for the Swedish labour market 2019" 2019

      18 Svenskt Näringsliv Försäkringsinformation AB, "Statutory and collective insurance schemes for the Swedish labour market 2014" 2014

      19 Conen, "Self-Employment as Precarious Work: A European Perspective" 2019

      20 Hatfield, "Self Employement In Europe" Institute for Public Policy Research 2015

      21 Schulze Buschoff, K., "Adapting labour law and social security to the needs of the ‘new self-employed’- Comparing the UK, Germany and the Netherlands" 19 (19): 147-159,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7 0.17 0.1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9 0.17 0.48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