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교실용 영상 표시 장치의 적정 모델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Application Models to Utilize Instructional Media in the K-12 Classroom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3005268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the instructional media distributed in the K-12 classrooms and to develop application models to optimize conditions for learning when media facilities are employed in the educational setting. A case study was conducted to six randomly selected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Seoul and Kyonggi area. A survey was given to a sample of three-hundred and one students and six teac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major problems utilizing instructional media in the classrooms were: 1)lighting, 2)seating arrangement, and 3)high density of classroom population. The revised application models to be utilized in each classroom setting according to student size, classroom size, 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instructional media were provided.
      It was suggested that the design considerations such as acoustics, finished materials, color, and space planning are important factors in determining successful learning environment when applying any instructional media in the classroom.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the instructional media distributed in the K-12 classrooms and to develop application models to optimize conditions for learning when media facilities are employed in the educational sett...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the instructional media distributed in the K-12 classrooms and to develop application models to optimize conditions for learning when media facilities are employed in the educational setting. A case study was conducted to six randomly selected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Seoul and Kyonggi area. A survey was given to a sample of three-hundred and one students and six teac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major problems utilizing instructional media in the classrooms were: 1)lighting, 2)seating arrangement, and 3)high density of classroom population. The revised application models to be utilized in each classroom setting according to student size, classroom size, 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instructional media were provided.
      It was suggested that the design considerations such as acoustics, finished materials, color, and space planning are important factors in determining successful learning environment when applying any instructional media in the classroom.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 1.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 2. 연구 범위 및 방법
      • 3. 연구 결과의 활용 및 제한점
      • Ⅱ. 교실용 영상 표시 장치의 일반적 설치 기준 요건
      • Ⅰ. 서 론
      • 1.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 2. 연구 범위 및 방법
      • 3. 연구 결과의 활용 및 제한점
      • Ⅱ. 교실용 영상 표시 장치의 일반적 설치 기준 요건
      • 1. 교실용 영상 표시 장치의 일반적 규격 기준
      • 1) 프로젝션 TV
      • 2) 일반 TV
      • 3) 디지털 실물화상기
      • 4) VCR, LCD 프로젝터 및 스크린
      • 5) A/D 신호 변환 장치
      • 2. 화면 크기, 설치 방법 및 설치 높이
      • 3. 시청각도 및 최소·최대 가시 거리
      • 4. 조명
      • 5. 화면 그래픽 제작 요건
      • Ⅲ. 교실용 영상 표시장치 활용 환경 표본 및 사례조사
      • 1. 국내 초·중·고등학교 교실 환경 표본조사 및 설문 조사
      • 1) 영상 표시 장치 및 활용 환경 실측 조사
      • 2) 표본학급의 가시거리 및 사각 지대 실측조사
      • 3) 영상 표시 장치 활용도 조사
      • 4) 사용자 설문 조사
      • 2. 외국의 교실용 영상 표시 장치 활용 사례 조사
      • Ⅳ. 교실용 영상 표시 장치 활용 환경의 적정 안
      • 1. 기존 교실 환경에서의 영상 표시 장치 규격에 따른 설치 안
      • 2. 좌석배치를 이용한 영상표시장치 설치 안
      • 3. 변형 공간을 이용한 영상 표시 장치 설치 안
      • 1) 교실 앞 벽면의 변형 활용
      • 2) 교실 측면 벽의 변형 활용
      • 3) 두 개 교실의 공동 공간 활용
      • Ⅴ. 결 론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