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교사 평가의 정치학: 새로운 교사 평가제의 도입 및 시범운영 과정을 중심으로 = Politics of Teacher Evaluation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4122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자율, 경쟁, 분권, 탈규제 등의 가치를 추구하고 있는 소위 신자유주의의 물결 속에서 평가는 평가 대상 세계에 대한 질 관리, 경쟁력 강화, 그리고 고객 만족을 위한 필수적인 요소로 간주되고 있다. 평가에서 상대적으로 자유로웠던 교육 분야도 이제 평가로부터 더 이상 자유롭지 않다. 교사 평가는 기술적·방법적 행위일 뿐만 아니라 정치적 행위이다. 교사 평가를 위한 목적과 문제를 설정하고,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평가의 대상과 방법을 결정할 때 이미 정치적 선택을 하고 있는 것이다. 평가 결과를 어떻게 해석할 것이지, 그리고 평가 결과 가운데 어떤 것을 선택적으로 더 강조할 것인지 결정하는 일은 정치적 맥락 안에 들어와 있는 것이다.
      새로운 교사 평가제의 주요 쟁점인 평가의 목적, 평가의 주체, 평가의 내용, 그리고 평가의 방법에 대한 정부의 결정에 대하여 이해집단들이 어떻게 반응하고 갈등하고 있는 지 살펴보았다. 새로운 교사 평가제는 관련 법률의 입법 절차를 남겨 놓고 있다. 앞으로 이해집단들 간의 상이한 입장을 고려할 때 성공적인 입법과 집행을 예견하기가 쉽지 않다. 교사 평가의 목적이 교사의 전문적 능력의 향상에 있다면, 교사 평가를 외부의 기준에 따라 일방적으로 적용하는 관료적 통제에서 자유롭게 풀어주는 한편, 교육에 직접 참여하고 있는 교육의 주체들이 수업을 포함하여 어떻게 하는 것이 교사의 역할을 멋있게 수행하는 것인지에 대해 서로 배울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자율, 경쟁, 분권, 탈규제 등의 가치를 추구하고 있는 소위 신자유주의의 물결 속에서 평가는 평가 대상 세계에 대한 질 관리, 경쟁력 강화, 그리고 고객 만족을 위한 필수적인 요소로 간주되...

      자율, 경쟁, 분권, 탈규제 등의 가치를 추구하고 있는 소위 신자유주의의 물결 속에서 평가는 평가 대상 세계에 대한 질 관리, 경쟁력 강화, 그리고 고객 만족을 위한 필수적인 요소로 간주되고 있다. 평가에서 상대적으로 자유로웠던 교육 분야도 이제 평가로부터 더 이상 자유롭지 않다. 교사 평가는 기술적·방법적 행위일 뿐만 아니라 정치적 행위이다. 교사 평가를 위한 목적과 문제를 설정하고,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평가의 대상과 방법을 결정할 때 이미 정치적 선택을 하고 있는 것이다. 평가 결과를 어떻게 해석할 것이지, 그리고 평가 결과 가운데 어떤 것을 선택적으로 더 강조할 것인지 결정하는 일은 정치적 맥락 안에 들어와 있는 것이다.
      새로운 교사 평가제의 주요 쟁점인 평가의 목적, 평가의 주체, 평가의 내용, 그리고 평가의 방법에 대한 정부의 결정에 대하여 이해집단들이 어떻게 반응하고 갈등하고 있는 지 살펴보았다. 새로운 교사 평가제는 관련 법률의 입법 절차를 남겨 놓고 있다. 앞으로 이해집단들 간의 상이한 입장을 고려할 때 성공적인 입법과 집행을 예견하기가 쉽지 않다. 교사 평가의 목적이 교사의 전문적 능력의 향상에 있다면, 교사 평가를 외부의 기준에 따라 일방적으로 적용하는 관료적 통제에서 자유롭게 풀어주는 한편, 교육에 직접 참여하고 있는 교육의 주체들이 수업을 포함하여 어떻게 하는 것이 교사의 역할을 멋있게 수행하는 것인지에 대해 서로 배울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Evaluation has been regarded as a 'must' in order to assure the quality,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and to enhance customer satisfaction, which is closely related to so-called Neo-Liberalism pursuing the values of autonomy, competition, and deregulation. Teachers and schools are not free from evaluation anymore.
      Teacher evaluation is not only a technical act but also a political one. To identify the problems, to set up the goals of evaluation, and to decide the methods of evaluation are political decisions. How to interpret the results of evaluation, how to utilize them, and how to pay relative attention to the results are the matters of politics. New teacher evaluation in Korea has been tried out three times with an aim to facilitate the professionalism of teachers, being expected to be legalized by June 2008. But it is not easy to forsee the successful legalization and implementation, for different interest groups have different voices about the new evaluation. Teachers, by and large, are in a strong opposition to the implementation of new teacher evaluation, while parents and the government are for it.
      This paper tried to identify the different views among the key players such Ministry of Education, teachers organizations, parent organizations, and the mass media in terms of the goals, subjects, contents, methods of teacher evaluation. If the goal of teacher evaluation is to increase teachers' professional capacity in teaching, it needs to free teachers from top-down evaluation from the bureaucratic control as well as to provide educational participants with opportunities to learn from each other about what the best instruction is and who the best teachers are.
      번역하기

      Evaluation has been regarded as a 'must' in order to assure the quality,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and to enhance customer satisfaction, which is closely related to so-called Neo-Liberalism pursuing the values of autonomy, competition, and de...

      Evaluation has been regarded as a 'must' in order to assure the quality,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and to enhance customer satisfaction, which is closely related to so-called Neo-Liberalism pursuing the values of autonomy, competition, and deregulation. Teachers and schools are not free from evaluation anymore.
      Teacher evaluation is not only a technical act but also a political one. To identify the problems, to set up the goals of evaluation, and to decide the methods of evaluation are political decisions. How to interpret the results of evaluation, how to utilize them, and how to pay relative attention to the results are the matters of politics. New teacher evaluation in Korea has been tried out three times with an aim to facilitate the professionalism of teachers, being expected to be legalized by June 2008. But it is not easy to forsee the successful legalization and implementation, for different interest groups have different voices about the new evaluation. Teachers, by and large, are in a strong opposition to the implementation of new teacher evaluation, while parents and the government are for it.
      This paper tried to identify the different views among the key players such Ministry of Education, teachers organizations, parent organizations, and the mass media in terms of the goals, subjects, contents, methods of teacher evaluation. If the goal of teacher evaluation is to increase teachers' professional capacity in teaching, it needs to free teachers from top-down evaluation from the bureaucratic control as well as to provide educational participants with opportunities to learn from each other about what the best instruction is and who the best teachers ar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병환, "현행 교원 평정 제도의 문제점 분석 및 바람직한 교사평가제의 모습" 21 (21): 2004

      2 강인수, "한국에서의 교사평가제도의 문제점과 발전방향" 21 (21): 1-21, 2003

      3 김일혁, "한국교육개발원 교육 여론조사" 한국교육개발원 2006

      4 "한국교원단체 총연합회 홈페이지"

      5 황영남, "한국 교사평가제의 진단 및 발전 모형 구안"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2003

      6 장상호, "학교교육의 정상화를 위한 교육평가의 재구성" 9 (9): 83-176, 2004

      7 권기욱, "초중등학교 교사평가의 평가준거체계 개발 연구" 38 (38): 107-131, 2000

      8 김재웅, "정책집행과정 분석모형을 통한 열린교육 실행과정 분석" 15 (15): 1-25, 2007

      9 "전국교원노동조합 홈페이지"

      10 김이경, "성장중심 교사평가제 탐색: 교원의 인식을 중심으로" 43 (43): 157-163, 2005

      1 이병환, "현행 교원 평정 제도의 문제점 분석 및 바람직한 교사평가제의 모습" 21 (21): 2004

      2 강인수, "한국에서의 교사평가제도의 문제점과 발전방향" 21 (21): 1-21, 2003

      3 김일혁, "한국교육개발원 교육 여론조사" 한국교육개발원 2006

      4 "한국교원단체 총연합회 홈페이지"

      5 황영남, "한국 교사평가제의 진단 및 발전 모형 구안"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2003

      6 장상호, "학교교육의 정상화를 위한 교육평가의 재구성" 9 (9): 83-176, 2004

      7 권기욱, "초중등학교 교사평가의 평가준거체계 개발 연구" 38 (38): 107-131, 2000

      8 김재웅, "정책집행과정 분석모형을 통한 열린교육 실행과정 분석" 15 (15): 1-25, 2007

      9 "전국교원노동조합 홈페이지"

      10 김이경, "성장중심 교사평가제 탐색: 교원의 인식을 중심으로" 43 (43): 157-163, 2005

      11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보도자료: 교원평가, 시범학교 교원조차 89.8%가 연내 법제화 반대"

      12 여은정, "근무성적평정제도와 ‘새로운 교사 평가제’의 관계: 수도권 중등학교 교사의 인식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13 채선희 외, "교직의 이해" 문음사 2001

      14 교육인적자원부, "교직발전종합방안수립을 위한 국민의견 수렴사업보고서.수탁연구 CR2000-23" 한국교육개발원 2000

      15 진동섭, "교육행정과 학교경영의 이해" 교육과학사 2007

      16 서정화, "교육인사행정" 세영사 1994

      17 교육인적자원부, "교육발전 5개년 계획(안)"

      18 서정화, "교육력 제고를 위한 교원평가의 방향과 과제" 23 (23): 365-384, 2006

      19 김홍원, "교육갈등 현황 및 정책 과제" 인문사회연구회 2005

      20 심성보, "교원평가제의 반교육성과 그 극복: 새로운 협동적 학습공동체 만들기의 시도" 2007222

      21 김병주, "교원평가제에 대한 신문의 보도태도 분석" 23 (23): 349-371, 2006

      22 교육인적자원부, "교원평가제도 개선 방안(시안)"

      23 신상명, "교원평가 이론모형의 확장 논의" 38 (38): 19-43, 2000

      24 김이경, "교원평가 시범학교 운영결과 분석. 수탁연구 CR 2006-63" 한국교육개발원 2006

      25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교원평가 및 수업의 질 개선을 위한 한국교총의 대안보고서" 2005

      26 최희선, "교원 평가제도 개선에 관한 연구. 정책연구 제 100 집" 한국교원단체 총 연합회 1999

      27 한국교육개발원, "교원 인사제도 혁신 방안 수립을 위한 국민의견수렴사업 워 크숍 자료집(4차, 5차, 6차, 7차 워크숍)"

      28 서정화, "교원 다면평가제도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교육학회 21 (21): 29-52, 2004

      29 김희규, "교사평가제도의 쟁점과 개선방안 연구" 23 (23): 143-164, 2005

      30 이윤식, "교사평가제도의 쟁점 및 발전적 대안 탐색" 21 (21): 329-361, 2004

      31 전화주, "교사평가제도에 대한 교원들의 인식조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32 전제상, "교사평가의 준거개발 연구" 19 (19): 183-222, 2001

      33 전제상, "교사평가의 공정성 확보방안" 10 (10): 249-276, 2003

      34 김이경, "교사평가 시스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4

      35 곽영순, "교사평가 수업평가" 원미사 2005

      36 신상명, "교사평가 방안의 합리성 논의" 21 (21): 410-437, 2004

      37 이병환·김순남, "교사 다면평가제 적용 방안 탐색" 22 (22): 163-186, 2004

      38 한국교육학회, "공교육 내실화 및 교육력 제고를 위한 교원평가제도 개선 정책연구"

      39 Glass, G.V., "Using student test scores to evaluate teachers in The new handbook of teacher evaluation: Assessing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Sage 1990

      40 Habermas, J, "The theory of commuticative action" Beacon Press 1987

      41 Edelman, M., "The symbolic uses of politics" The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1964

      42 Stronge, J. H, "The politics of teacher evaluation: A case study of new system design and implementation" 13 (13): 339-359, 1999

      43 Castetter, W, "The personnel function in educational administration" Macmillan 1986

      44 Duke, D. L, "The new handbook of teacher evaluation: Assessing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London: Sage Publications 1990

      45 Duke,D.L., "The move to reform teacher evaluation in Teacher evaluation policy: From accountability to professional development (1-11). ."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995

      46 Stiggins, R. J., "The case for commitment to teacher growth: Research on teacher evaluation"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988

      47 Coombs,F., "The bases of noncompliance with a policy" 8 (8): 885-892, 1980

      48 Airasian, P. W., "Teacher self-evaluation tool kit" Corwin 1997

      49 Danielson, C., "Teacher evaluation: To enhance professional practice" Educational Testing Service 2000

      50 Danielson, C., "Teacher evaluation: To enhance professional development. Alexandria, Virginia: ASCD in Teacher evaluation: A comprehensive guide to new directions and practice" Corwin Press 2000

      51 Darling-Hammond, L., "Teacher evaluation in the organizational context: A review of the literature" 53 : 285-328, 1983

      52 McMahon, A., "Teacher appraisal in England and Wales in Teacher evaluation policy: From accountability to professional development (150-172)"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995

      53 Millman, J., "Student performance as a measure of teacher competence (146-166)in Handbook of teacher evaluation" Sage 1981

      54 Hess,F.M., "Spinning wheels:The politics of urban school reform.Washington,D" Brookings Institution Press 1999

      55 Elmore, R. F, "Restructuring schools: The next generation of educational reform" Jossey-Bass Publishers 1990

      56 Bolman, G. L., "Reframing organizations" Jossey-Bass 1991

      57 Glass, G. V., "Politics of teacher evaluation. Presented at the Cross-cutting Theory Conference, The Center for Research on Accountability and Teacher Evaluation" Western Michigan University 1993

      58 McNeil, J. D., "Politics of teacher evaluation (272-291) in Handbook of teacher evaluationHandbook of teacher evaluation" Sage 1981

      59 Stone, D. A, "Policy paradox and political reason" Foresman 1988

      60 김이경, "OECD 교원정책 검토사업 참여와 시사점 분석을 위한 정책 연?? 구" 한국교육개발원 2003

      61 Baber,L.W, "Improving teacher performance-formative evaluation. Indiana : A Publication of Phi Delta Kappa's Center on Evaluation, Development, and Research" A Publication of Phi Delta Kappa's Center on Evaluation,Development,and Research. 1985

      62 Wolf, R. L., "How teachers feel toward evaluation. in School evaluation: The politics and process" McCutchan 1973

      63 Berk,R.A, "Fifty reasons why student achievement gain does not mean teacher effectiveness" 1 : 345-363, 1988

      64 Weiss, C. H., "Evaluation research in the political context: Sixteen years and four administration later in Evaluation and education: A quarter century, Ninetieth Yearbook of the National Society for the Study of Education (Part II)(211-231)"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1

      65 D. I. Stufflebearm, "Evaluation Ideologies in Educational models (pp. 229-260)" Kluwer-Nijhoff 1983

      66 Haefele, D. L, "Evaluating teachers: A call for change" 7 : 21-31, 1993

      67 Sergiovanni, T. J., "Educational governance and administration" Prentice-Hall 1987

      68 Edelman,M., "Constructing the political spectacle"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8

      69 Duke,D.L., "Conflict and consensus in the reform of teacher evaluation in Teacher evaluation policy: From accountability to professional development (173-188)"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995

      70 Duke,D. L., "Compromise and persistence: The evolution of teacher evaluation policy in Washington State in Teacher evaluation policy: From accountability to professional development (127-150)"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995

      71 Rosenshine, B., "Assessing teachers in public education in School evaluation: The politics and process" McCutchan 1973

      72 김재웅, "21세기 교육개혁과 교육정치학 : 학교교육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정치학회 7 (7): 1-24, 200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6 0.96 0.8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5 0.96 1.068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