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의료기관 응급․대량수혈 표준 업무안내서 개발 = Development of Standard Operation Manual for Emergency and Massive transfusion at Hospital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E1663025

      • 저자
      • 발행기관
      • 발행연도

        2017년

      • 작성언어

        Korean

      • KDC

        510

      • 자료형태

        국립의과학지식센터(NCMIK)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Emergency transfusion, in definition, requires prompt action, and can differ from conventional elective transfusion. The difference ranges from omitting routine tests done in conventional transfusion to following certain protocols for transfusion. Massive transfusion is defined by transfusion of massive amounts of blood products in a short period of time to the recipient, and appropriate protocols are known to improve the overall survival of massive transfusion recipients. Domestic consensus regarding emergency and massive transfusion is required. This project has conducted the following.
      1. Investigation of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 This project comprises the summarization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literature regarding this subject.
      2. Survey to directors of institutions with substantial records of blood transfusion This project contains the results of survey regarding emergency and transfusion to representative medical institutes across Korea.
      3. Seminar for emergency and massive transfusion We have invited personnel in the field of transfusion medicine to an open seminar that summarized the above results.
      4. Proposal of a standardized manual of procedures for emergency and massive transfusion.This project proposes an emergency and massive transfusion protocol that is fit for application to the Korean medical environment.
      번역하기

      Emergency transfusion, in definition, requires prompt action, and can differ from conventional elective transfusion. The difference ranges from omitting routine tests done in conventional transfusion to following certain protocols for transfusion. Mas...

      Emergency transfusion, in definition, requires prompt action, and can differ from conventional elective transfusion. The difference ranges from omitting routine tests done in conventional transfusion to following certain protocols for transfusion. Massive transfusion is defined by transfusion of massive amounts of blood products in a short period of time to the recipient, and appropriate protocols are known to improve the overall survival of massive transfusion recipients. Domestic consensus regarding emergency and massive transfusion is required. This project has conducted the following.
      1. Investigation of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 This project comprises the summarization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literature regarding this subject.
      2. Survey to directors of institutions with substantial records of blood transfusion This project contains the results of survey regarding emergency and transfusion to representative medical institutes across Korea.
      3. Seminar for emergency and massive transfusion We have invited personnel in the field of transfusion medicine to an open seminar that summarized the above results.
      4. Proposal of a standardized manual of procedures for emergency and massive transfusion.This project proposes an emergency and massive transfusion protocol that is fit for application to the Korean medical environmen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응급수혈은 일반적인 수혈 상황과는 다르게, 빠른 시간 내로 혈액 제제의 수혈이 환자에게 이루어져야 하는 상황을 전제로 한다. 이는 통상적인 수혈 상황에서 시행 하는 수혈 전 검사를 생략하는 문제부터 어떤 지침에 따라 수혈이 이루어져야 하는지가 문제된다. 대량수혈은 더 나아가 다량의 혈액제제를 단기간 내에 환자에게 투여해야 하는 경우로 적절한 수혈 방침이 수립되어야 환자의 생존을 높일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의료계 종사자 내부의 합의가 필요하여, 본 연구 과제에서는 이러한 응급수혈 및 대량수혈과 관련되어 다음의 업무를 수행하였다.
      1. 국내외의 문헌을 총체적으로 조사
      국내외의 응급 및 대량수혈 문헌을 조사하여 정리하였고, 해외의 응급 및 대량수혈 동향을 정리하였다.
      2. 수혈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국내 의료기관을 선별하여 관련 종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 1, 2차에 걸쳐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국내 응급 및 대량수혈 현황을 파악하였다.
      3. 응급 및 대량수혈 관련 세미나 실시
      국내의 수혈 및 관련 분야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상기 문헌 조사 및 설문조사 관련된 내용을 기초로 하는 세미나를 실시하였다.
      4. 국내의 실정에 맞는 응급 및 대량수혈 표준업무안내서 지침을 제안위의 자료를 바탕으로 하여 국내 실정에 맞는 표준업무안내서 지침을 제안하였다.
      번역하기

      응급수혈은 일반적인 수혈 상황과는 다르게, 빠른 시간 내로 혈액 제제의 수혈이 환자에게 이루어져야 하는 상황을 전제로 한다. 이는 통상적인 수혈 상황에서 시행 하는 수혈 전 검사를 생...

      응급수혈은 일반적인 수혈 상황과는 다르게, 빠른 시간 내로 혈액 제제의 수혈이 환자에게 이루어져야 하는 상황을 전제로 한다. 이는 통상적인 수혈 상황에서 시행 하는 수혈 전 검사를 생략하는 문제부터 어떤 지침에 따라 수혈이 이루어져야 하는지가 문제된다. 대량수혈은 더 나아가 다량의 혈액제제를 단기간 내에 환자에게 투여해야 하는 경우로 적절한 수혈 방침이 수립되어야 환자의 생존을 높일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의료계 종사자 내부의 합의가 필요하여, 본 연구 과제에서는 이러한 응급수혈 및 대량수혈과 관련되어 다음의 업무를 수행하였다.
      1. 국내외의 문헌을 총체적으로 조사
      국내외의 응급 및 대량수혈 문헌을 조사하여 정리하였고, 해외의 응급 및 대량수혈 동향을 정리하였다.
      2. 수혈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국내 의료기관을 선별하여 관련 종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 1, 2차에 걸쳐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국내 응급 및 대량수혈 현황을 파악하였다.
      3. 응급 및 대량수혈 관련 세미나 실시
      국내의 수혈 및 관련 분야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상기 문헌 조사 및 설문조사 관련된 내용을 기초로 하는 세미나를 실시하였다.
      4. 국내의 실정에 맞는 응급 및 대량수혈 표준업무안내서 지침을 제안위의 자료를 바탕으로 하여 국내 실정에 맞는 표준업무안내서 지침을 제안하였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