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OpenAccess

      국회기록보존소 직제 및 직무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Job and Organization of the National Assembly Archiv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79422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tudy is aimed at providing alternative strategies for the National Archives Assembly organization and the job. As a theoretical background, it reviewed the history of the National Archives Assembly’s records management organization and analyzed duties of a permanent records management institution based on the “Standard Operating Procedure for Archival Institutions.” Moreover, this study discussed the National Archives Assembly’s current organizational status and surveyed jobs of the National Assembly Archives staff. As a result, for the organization area, it suggested that the National Assembly should reappoint its permanent records management institution, establish records centers, and reassign the management authority on the Memorial Center to the National Archives Assembly. Furthermore, the study provided a reorganization plan. For the job area, it argued a necessity for expanding the job domain and reinforcing professional manpower. In line with this, it provided duties that were customized for the reorganization plan.
      번역하기

      The study is aimed at providing alternative strategies for the National Archives Assembly organization and the job. As a theoretical background, it reviewed the history of the National Archives Assembly’s records management organization and analyzed...

      The study is aimed at providing alternative strategies for the National Archives Assembly organization and the job. As a theoretical background, it reviewed the history of the National Archives Assembly’s records management organization and analyzed duties of a permanent records management institution based on the “Standard Operating Procedure for Archival Institutions.” Moreover, this study discussed the National Archives Assembly’s current organizational status and surveyed jobs of the National Assembly Archives staff. As a result, for the organization area, it suggested that the National Assembly should reappoint its permanent records management institution, establish records centers, and reassign the management authority on the Memorial Center to the National Archives Assembly. Furthermore, the study provided a reorganization plan. For the job area, it argued a necessity for expanding the job domain and reinforcing professional manpower. In line with this, it provided duties that were customized for the reorganization pla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국회기록보존소를 중심으로 하는 국회 기록관리기관의 직제와 직무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론적 논의로 국회 기록관리 책임 부서의 직제 연혁을 살폈고, ‘영구기록물관리기준 표준운영절차’를 준거로 삼아 영구기록물관리기관의 직무를 파악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국회기록보존소의 직제 현황을 분석하고, 국회기록보존소 직원을 대상으로 직무 조사를 실시하였다. 직제 영역의 개선방안으로 국회 영구기록물관리기관의 재지정, 국회 소속기관 설치, 헌정기념관의 통합적 운영을 주요 과제로 논하였고, 이를 반영한 조직 개편안을 제시하였다. 직무영역으로는 관리대상 기록물 범주 확대와 기록관리 전문 인력 강화의 필요성을 살폈으며, 앞서 제시한 직제 개편에 맞는 담당별 업무분장을 제안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국회기록보존소를 중심으로 하는 국회 기록관리기관의 직제와 직무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론적 논의로 국회 기록관리 책임 부서...

      본 연구는 국회기록보존소를 중심으로 하는 국회 기록관리기관의 직제와 직무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론적 논의로 국회 기록관리 책임 부서의 직제 연혁을 살폈고, ‘영구기록물관리기준 표준운영절차’를 준거로 삼아 영구기록물관리기관의 직무를 파악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국회기록보존소의 직제 현황을 분석하고, 국회기록보존소 직원을 대상으로 직무 조사를 실시하였다. 직제 영역의 개선방안으로 국회 영구기록물관리기관의 재지정, 국회 소속기관 설치, 헌정기념관의 통합적 운영을 주요 과제로 논하였고, 이를 반영한 조직 개편안을 제시하였다. 직무영역으로는 관리대상 기록물 범주 확대와 기록관리 전문 인력 강화의 필요성을 살폈으며, 앞서 제시한 직제 개편에 맞는 담당별 업무분장을 제안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국회도서관, "「국회기록물관리규칙」 전부개정안 국회도서관 의견. [2011.4.12]"

      2 국회기록보존소, "「국회기록물관리규칙」 전부개정안 국가기록원 의견"

      3 국회도서관, "「국회기록물관리규칙」 수정안에 대한 의견. [2011.2.21]"

      4 국회운영위원회 수석전문위원실, "제287회 국회(임시회) 법안심사소위원회 심자자료: 국회기록물관리규칙 전부개정규칙안. [2011.2]"

      5 서혜란, "기록연구사의 근무실태 및 제도운영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 8 (8): 235-256, 2008

      6 이은영, "기록관리전문직의 핵심역량에 관한 인식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 12 (12): 117-139, 2012

      7 김정은, "기록관리분야 직무능력표준 개발 방안 연구" 한국기록학회 (31) : 43-93, 2012

      8 이원영, "국회기록 인터넷 정보서비스 개선 방안" 한국정보관리학회 22 (22): 5-20, 2005

      9 윤대근, "국회 회의록의 관리체계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 11 (11): 143-163, 2011

      10 임진희, "국회 헌정자료 보존․관리시스템 개선 방안"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2012

      1 국회도서관, "「국회기록물관리규칙」 전부개정안 국회도서관 의견. [2011.4.12]"

      2 국회기록보존소, "「국회기록물관리규칙」 전부개정안 국가기록원 의견"

      3 국회도서관, "「국회기록물관리규칙」 수정안에 대한 의견. [2011.2.21]"

      4 국회운영위원회 수석전문위원실, "제287회 국회(임시회) 법안심사소위원회 심자자료: 국회기록물관리규칙 전부개정규칙안. [2011.2]"

      5 서혜란, "기록연구사의 근무실태 및 제도운영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 8 (8): 235-256, 2008

      6 이은영, "기록관리전문직의 핵심역량에 관한 인식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 12 (12): 117-139, 2012

      7 김정은, "기록관리분야 직무능력표준 개발 방안 연구" 한국기록학회 (31) : 43-93, 2012

      8 이원영, "국회기록 인터넷 정보서비스 개선 방안" 한국정보관리학회 22 (22): 5-20, 2005

      9 윤대근, "국회 회의록의 관리체계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 11 (11): 143-163, 2011

      10 임진희, "국회 헌정자료 보존․관리시스템 개선 방안"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2012

      11 정태영, "국회 전자기록물 관리체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국회기록보존소를 중심으로 -" 한국기록관리학회 12 (12): 141-165, 2012

      12 이원영, "국회 외부관계 기능의 다큐멘테이션 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 39 (39): 5-25, 2005

      13 김유승, "국회 영구기록물관리기관에 관한 연구 - 『국회기록물관리규칙』을 중심으로 -" 한국기록관리학회 11 (11): 95-119, 2011

      14 김장환, "국회 비공개회의록 및 불게재 부분의공표 방안 연구" 한국기록학회 (35) : 93-132, 2013

      15 김유승, "국회 라키비움의 전망에 관한 연구 - 기억기관 협력 정책에 관한 논의를 중심으로 -" 한국기록관리학회 12 (12): 93-115, 2012

      16 서연주, "국회 기록관리 체제정비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관리학회 22 (22): 201-211, 2005

      17 김희정, "국외 기록관리 전문직 유형 및 역할 분석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 7 (7): 129-143, 2007

      18 송혜진, "IPA를 활용한 중앙행정부처 기록전문직 직무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 12 (12): 117-136, 2012

      19 이성태, "AHP 방법에 의한 기록연구사의 직무분석" 한국기록관리학회 9 (9): 133-158,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7-04-0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Records Management & Archives Society of Korea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KCI등재
      2017-04-06 학회명변경 영문명 : Records Management & Archives Society Of Korea ->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5-0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Records Management & Archives Society of Koreae -> Journal of Records Management & Archives Society of Korea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8 0.98 1.0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1 1.06 1.607 0.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