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스마트 그리드 환경에서 가전기기의 에너지 저감을 위한 SEP 2.0 기반의 자동수요반응 시스템 개발 = The Development of the Automatic Demand Response Systems Based on SEP 2.0 for the Appliances's Energy Reduction on Smart Grid Environm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41609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가입자가 직접 전력량을 조절하는 수동수요반응과는 달리 정해진 시간에 자동적으로 전력량 소모를 줄이는 자동수요반응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시스템은 SEP 2.0을 기반으로 동작하며 수요반응 관리 프로그램과 수요반응 서버, 수요반응 클라이언트로 구성된다. 수요반응 관리 프로그램은 가입자에게 전력사용현황을 알려주고 관리자에게는 수요반응 이벤트를 생성 및 취소할 수 있게 한다. 수요반응 서버는 수요반응 관리 프로그램에서 수신한 수요반응 이벤트를 SEP 2.0을 통해 수요반응 클라이언트로 전송하고 수요반응 클라이언트가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미터링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그리고 수요반응 클라이언트는 수신한 수요반응 이벤트에서 수요반응 이벤트 시작시간과 지속시간, 감소레벨을 추출한 뒤, 특정 기간 동안 전력소모를 감소시킨다.
      번역하기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가입자가 직접 전력량을 조절하는 수동수요반응과는 달리 정해진 시간에 자동적으로 전력량 소모를 줄이는 자동수요반응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시스템은 SEP 2...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가입자가 직접 전력량을 조절하는 수동수요반응과는 달리 정해진 시간에 자동적으로 전력량 소모를 줄이는 자동수요반응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시스템은 SEP 2.0을 기반으로 동작하며 수요반응 관리 프로그램과 수요반응 서버, 수요반응 클라이언트로 구성된다. 수요반응 관리 프로그램은 가입자에게 전력사용현황을 알려주고 관리자에게는 수요반응 이벤트를 생성 및 취소할 수 있게 한다. 수요반응 서버는 수요반응 관리 프로그램에서 수신한 수요반응 이벤트를 SEP 2.0을 통해 수요반응 클라이언트로 전송하고 수요반응 클라이언트가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미터링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그리고 수요반응 클라이언트는 수신한 수요반응 이벤트에서 수요반응 이벤트 시작시간과 지속시간, 감소레벨을 추출한 뒤, 특정 기간 동안 전력소모를 감소시킨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openADR Alliance"

      2 S. H. Song, "The report on the blackout of the northeast in USA"

      3 Korean Smart Grid Association, "The report on Smart Grid Standard Issues –DR(Demand Response)Area-"

      4 K. J. Kim, "The maximization of the electric power supply and energy consumption"

      5 B. S. Son, "The increasement of the electric power demand and demand response policies"

      6 D.J. Kim, "The current status and prospects of the intelligent DR" 446 : 42-45, 2014

      7 ISSUEQUEST, "Smart Grid: The Actual Condition of Market Technologies and the Industry ParticipationTrends" ISSUEQUEST Publishing Co 2013

      8 Ministry of Trade, Industry & Energy, "Smart Grid business models create new service markets –The forwarding of smart grid project based on Jeju’s Demonstration Project-"

      9 Korea Smart Grid Institute, "Smart Grid 2030: The Concept of Smart Grid"

      10 "IEEE Std. 2030.5-2013, IEEE Adaoption of Smart Energy Profile 2.0 Application Protocol Standard"

      1 "openADR Alliance"

      2 S. H. Song, "The report on the blackout of the northeast in USA"

      3 Korean Smart Grid Association, "The report on Smart Grid Standard Issues –DR(Demand Response)Area-"

      4 K. J. Kim, "The maximization of the electric power supply and energy consumption"

      5 B. S. Son, "The increasement of the electric power demand and demand response policies"

      6 D.J. Kim, "The current status and prospects of the intelligent DR" 446 : 42-45, 2014

      7 ISSUEQUEST, "Smart Grid: The Actual Condition of Market Technologies and the Industry ParticipationTrends" ISSUEQUEST Publishing Co 2013

      8 Ministry of Trade, Industry & Energy, "Smart Grid business models create new service markets –The forwarding of smart grid project based on Jeju’s Demonstration Project-"

      9 Korea Smart Grid Institute, "Smart Grid 2030: The Concept of Smart Grid"

      10 "IEEE Std. 2030.5-2013, IEEE Adaoption of Smart Energy Profile 2.0 Application Protocol Standard"

      11 R. Kyusakov, "Emerging energy management standards and technologies – Challenges and application prospects" 1-8, 2012

      12 Y. M. Doh, "A Trend Analysis of Smart Grid Technology: The Convergence of Electric Power Network and IT Technologies" 24 (24): 74-86, 2009

      13 University-Industry Cooperation, Gachon University, "A Study on Activation Plans for Demand Response of Public Institutions(Final Repor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11-2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Maritime information & Communication Science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KCI등재
      2011-11-16 학회명변경 영문명 : International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IJICE) ->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KCI등재
      2011-11-14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 한국정보통신학회
      영문명 : 미등록 -> International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IJICE)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3 0.23 0.2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4 0.22 0.424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