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지역의 인구밀집과 불투수면적의 증가, 주요기반시설의 낙후, 기후변화에 따른 강우강도의 증가 등으로 인하여 도시지역의 수해피해에 대한 위험성이 증가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대책...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793522
박민규 ; 송영석 ; 김상단 ; 박무종 ; Park. Minkyu ; Song. Youngseok ; Kim. Sangdan ; Park. Moojong
2012
-
수해취약성 ; 위험도 ; 토지이용도 ; 도시침수 ; 침수피해 ; Flood vulnerability ; Risk ; land use ; Urban inundation ; Flood damege
530
KCI등재
학술저널
245-254(10쪽)
15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도시지역의 인구밀집과 불투수면적의 증가, 주요기반시설의 낙후, 기후변화에 따른 강우강도의 증가 등으로 인하여 도시지역의 수해피해에 대한 위험성이 증가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대책...
도시지역의 인구밀집과 불투수면적의 증가, 주요기반시설의 낙후, 기후변화에 따른 강우강도의 증가 등으로 인하여 도시지역의 수해피해에 대한 위험성이 증가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대책마련을 위해서는 도시지역에서 발생하는 침수피해에 대한 정량적인 분석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침수지역과 수해취약성인자의 비교를 통하여 수해에 취약한 고위험지역을 배수분구단위로 평가하는 방법론이 제안된다. 도시침수지역은 침수피해자료를 이용하여 침수면적과 침수횟수로 구분하여 분석되며, 도시지역에서 자료수집이 용이한 저지대지역, 통수능력부족관거, 불투수지역, 유출곡선지수가 수해취약성인자로 선정된다. 방법론의 적용으로, 중랑천 수계를 대상으로 침수피해에 취약한 고위험 배수분구가 식별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ue to urban population growth and increase of impervious ratio, backwardness of major infrastructure, increased rainfall intensity in climate change, and so on, the risk of flood damage in urban areas is increasing. In order to establish measures for...
Due to urban population growth and increase of impervious ratio, backwardness of major infrastructure, increased rainfall intensity in climate change, and so on, the risk of flood damage in urban areas is increasing. In order to establish measures for this, quantitative analysis for flood damage that occurs in urban areas is needed. In this study, a methodology assessing high-risk areas vulnerable to flooding in units of drainage catchments by comparing the city`s flood zone and flood vulnerability factors is proposed. Using flood damage data, the city`s flood zone is delimited by inundation area and inundation frequency to be analyzed. Taking into account the ease of date collection, lowland areas, lack of sewer discharge capacity, imperviousness, and runoff curve number are selected as the flood vulnerability factors. As an application, high-risk drainage catchments vulnerable to flooding in Juanang stream watershed are identified.
참고문헌 (Reference)
1 송영석, "홍수취약성과 도시침수특성의 정량적 관계" 한서대학교 대학원 2012
2 유복모, "항공사진을 이용한 3차원 도시 모형 생성" 한국측량학회 23 (23): 233-238, 2005
3 유환희, "지형공간정보체계에 의한 도시지역 재해위험도 평가"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13 (13): 41-52, 2005
4 정의담, "지진에 대한 재해위험도 평가 모형에 관한 연구 - 청주시 사례 중심으로 -" 한국방재학회 10 (10): 67-73, 2010
5 신창호, "도시지역 재해위험도평가 모형 구축 및 적용;-청주시 사례중심으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13 (13): 41-52, 2007
6 황희연, "도시 재해위험도 평가 모현 연구;-화재, 시설, 피난위험도 중신의 청주시 사례-" 한국도시방재학회 1 (1): 123-127, 2001
7 박무종, "다기준 의사결정기법을 기반으로 하는 침수위험 평가기법의 개발" 한국수자원학회 41 (41): 365-377, 2008
8 이문환, "기후변화에 따른 국내 홍수 취약성 평가" 한국수자원학회 44 (44): 653-666, 2011
9 손민우, "기후변화를 고려한 홍수취약성지표의 개발" 한국수자원학회 44 (44): 231-248, 2011
10 A. Fekete, "Validation of a social vulnerability index in cotext to river-floods in Germany" 9 : 393-403, 2009
1 송영석, "홍수취약성과 도시침수특성의 정량적 관계" 한서대학교 대학원 2012
2 유복모, "항공사진을 이용한 3차원 도시 모형 생성" 한국측량학회 23 (23): 233-238, 2005
3 유환희, "지형공간정보체계에 의한 도시지역 재해위험도 평가"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13 (13): 41-52, 2005
4 정의담, "지진에 대한 재해위험도 평가 모형에 관한 연구 - 청주시 사례 중심으로 -" 한국방재학회 10 (10): 67-73, 2010
5 신창호, "도시지역 재해위험도평가 모형 구축 및 적용;-청주시 사례중심으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13 (13): 41-52, 2007
6 황희연, "도시 재해위험도 평가 모현 연구;-화재, 시설, 피난위험도 중신의 청주시 사례-" 한국도시방재학회 1 (1): 123-127, 2001
7 박무종, "다기준 의사결정기법을 기반으로 하는 침수위험 평가기법의 개발" 한국수자원학회 41 (41): 365-377, 2008
8 이문환, "기후변화에 따른 국내 홍수 취약성 평가" 한국수자원학회 44 (44): 653-666, 2011
9 손민우, "기후변화를 고려한 홍수취약성지표의 개발" 한국수자원학회 44 (44): 231-248, 2011
10 A. Fekete, "Validation of a social vulnerability index in cotext to river-floods in Germany" 9 : 393-403, 2009
11 Fekete, A., "Validation of a social vulnerability index in context to river-floods in Germany" 9 : 393-403, 2009
12 US SCS, "Urban Hydrology for Small Eatersheds"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1986
13 Dow, C.L., "Trends in evaporation and bowen ration on urbanizing watersheds in Eastern United Stated" 36 (36): 1835-1843, 2000
14 Hall, J.W., "National-scale assessment of current and future flood risk in England and Wales" 36 (36): 147-164, 2005
15 Barroca, B., "Indicators for Identification of urbanflooding vulnerability" 6 : 553-561, 2006
16 박무종, "GIS를 이용한 도시유역의 유사량 산정 및 유사발생과 침수위험도 관계 분석" 대한토목학회 27 (27): 277-287, 2007
17 박선민, "GIS 기반 공간정보를 이용한 해양부문의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 한국공간정보학회 19 (19): 1-9, 2011
18 Balica, S. F., "Floodvulnerability indices at varing spatial scales" 60 (60): 2571-2580, 2009
19 Connor, R.F., "Development of a method for assessing flood vulnerability" 51 (51): 61-67, 2005
20 Rygel, L., "A method for constructing a social vulnerability index: An application to hurricane storm surges in a developed country, mitigation and adaptation strategies for global change" 11 : 741-764, 2006
21 이석민, "2011년 서울시 재난위험도 평가 및 활용방안"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11
22 송인주, "2010 서울시 도시생태현황도 정비·제작" 서울특별시 2010
하수처리장 혐기 소화 상징액과 돈사폐수를 이용한 장기간에 걸친 실험실 규모 아질산화 반응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3 | 0.43 | 0.4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1 | 0.4 | 0.602 | 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