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고등학교 화학교과와 대학교 일반화학의 연계성 연구 = A study on the connection between the high school chemistry and the general chemistry of the univers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0931384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 화학교육전공 , 2007. 2

      • 발행연도

        2007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ix, 86 p. : 삽도 ; 26cm.

      • 일반주기명

        부록 : p. 85-86
        국문초록 : p. iv
        Abstract : p. 83-84
        참고문헌 : p. 81-82

      • 소장기관
        • 한양대학교 안산캠퍼스 소장기관정보
        • 한양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connection between the high school chemistry and the general chemistry of the university. Because the ratio of students who go on to a university is on the increase. Also it is necessary to plan and operate chemistry curriculum considering connection by keeping pace with students' cognitive development.
      In accordance with connection of reference ( A, B, C, D, E types), I analyzed three kinds of text books in the high school chemistry and three kinds of textbooks in the general chemistry for vertical connection. It was found that the rate of C type and C-D type is 50 percent. Especially there were huge differences in solids, atomic structure, molecular orbital theory, reaction rate, thermodynamics, electrochemisrty.
      A survey of 328 university freshmen has found that they almost were interested in chemistry when they were in high school. However after they learn the general chemistry in university, 62.5 percent of them were decreased interest in chemistry. As well as 37.2 percent of students who learned 'chemistry Ⅱ' in high school feel that the gap of between the high school chemistry and the general chemistry is wide. The rate in comparison with the rate of textbooks connection result is lower than expected. But on the other hand, 62.5 percent of students who didn't learn 'chemistryⅡ' in high school feel that the gap of between the high school chemistry and the general chemistry is huge.
      I hope that this study is useful and helpful to organize the chemistry curriculum in high school and university.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connection between the high school chemistry and the general chemistry of the university. Because the ratio of students who go on to a university is on the increase. Also it is necessary to plan and operate c...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connection between the high school chemistry and the general chemistry of the university. Because the ratio of students who go on to a university is on the increase. Also it is necessary to plan and operate chemistry curriculum considering connection by keeping pace with students' cognitive development.
      In accordance with connection of reference ( A, B, C, D, E types), I analyzed three kinds of text books in the high school chemistry and three kinds of textbooks in the general chemistry for vertical connection. It was found that the rate of C type and C-D type is 50 percent. Especially there were huge differences in solids, atomic structure, molecular orbital theory, reaction rate, thermodynamics, electrochemisrty.
      A survey of 328 university freshmen has found that they almost were interested in chemistry when they were in high school. However after they learn the general chemistry in university, 62.5 percent of them were decreased interest in chemistry. As well as 37.2 percent of students who learned 'chemistry Ⅱ' in high school feel that the gap of between the high school chemistry and the general chemistry is wide. The rate in comparison with the rate of textbooks connection result is lower than expected. But on the other hand, 62.5 percent of students who didn't learn 'chemistryⅡ' in high school feel that the gap of between the high school chemistry and the general chemistry is huge.
      I hope that this study is useful and helpful to organize the chemistry curriculum in high school and universi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제7차 교육과정에서는 초 · 중 · 고등학교의 과학교과가 국가적 수준의 교육과정에 의해서 교과내용의 연계성이 잘 이루어지도록 개정되었다. 하지만 현대인들은 높은 대학 진학률을 보이기 때문에 중등교육과 대학교육간의 연계성도 중요하다. 따라서 제7차 교육과정에 나타난 ‘과학’, ‘생활과 과학’, ‘화학Ⅰ’, ‘화학Ⅱ’의 교육과정과 교육목표에 대해서 살펴보고 한국의 대학 2곳을 선정하여 신입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일반화학’의 교육과정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또한 고등학교 화학교과 중에서 계열이 가장 높은 화학Ⅱ의 3종 교과서와 일반화학 3종 교재의 내용을 화학Ⅱ의 20개 소단원에 기준하여 수직적 내용 연계성을 연구하였다. 연계성 기준틀(A, B, C, D, E유형)에 의해서 연계성을 조사한 결과, 내용의 격차가 크다고 볼 수 있는 C이상의 유형이 50%로 나타나 내용의 연계성이 적절히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고체 결정 구조, 원자의 파동 역학적 표현, 분자 궤도함수, 적분 속도 상수, 열역학, 전지 반응에서 격차가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대학 3곳에 설문지를 배포하여 고등학교 시절에 화학Ⅱ를 배운 학생들이 실제 일반화학 수업에서 느끼는 고등학교 화학교과와의 수준차이를 조사한 결과, 격차가 크다고 보는 비율이 37.2%로 교재 비교에 의한 격차보다 적게 학생들이 느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화학Ⅱ를 배우지 않은 학생들의 60.6%는 수준 차이가 크다고 느끼고 있었다.
      이공계 기피현상이 더욱 심해지고 있는 와중에 본 연구를 통해 내용 연계성이 부족한 부분을 수정하여 제8차 교육과정 개편에 도움이 되고, 대학의 일반화학 수업의 개선방향에 참고가 되어 화학교육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교육이 이루어지길 바란다.
      번역하기

      제7차 교육과정에서는 초 · 중 · 고등학교의 과학교과가 국가적 수준의 교육과정에 의해서 교과내용의 연계성이 잘 이루어지도록 개정되었다. 하지만 현대인들은 높은 대학 진학률을 보이�...

      제7차 교육과정에서는 초 · 중 · 고등학교의 과학교과가 국가적 수준의 교육과정에 의해서 교과내용의 연계성이 잘 이루어지도록 개정되었다. 하지만 현대인들은 높은 대학 진학률을 보이기 때문에 중등교육과 대학교육간의 연계성도 중요하다. 따라서 제7차 교육과정에 나타난 ‘과학’, ‘생활과 과학’, ‘화학Ⅰ’, ‘화학Ⅱ’의 교육과정과 교육목표에 대해서 살펴보고 한국의 대학 2곳을 선정하여 신입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일반화학’의 교육과정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또한 고등학교 화학교과 중에서 계열이 가장 높은 화학Ⅱ의 3종 교과서와 일반화학 3종 교재의 내용을 화학Ⅱ의 20개 소단원에 기준하여 수직적 내용 연계성을 연구하였다. 연계성 기준틀(A, B, C, D, E유형)에 의해서 연계성을 조사한 결과, 내용의 격차가 크다고 볼 수 있는 C이상의 유형이 50%로 나타나 내용의 연계성이 적절히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고체 결정 구조, 원자의 파동 역학적 표현, 분자 궤도함수, 적분 속도 상수, 열역학, 전지 반응에서 격차가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대학 3곳에 설문지를 배포하여 고등학교 시절에 화학Ⅱ를 배운 학생들이 실제 일반화학 수업에서 느끼는 고등학교 화학교과와의 수준차이를 조사한 결과, 격차가 크다고 보는 비율이 37.2%로 교재 비교에 의한 격차보다 적게 학생들이 느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화학Ⅱ를 배우지 않은 학생들의 60.6%는 수준 차이가 크다고 느끼고 있었다.
      이공계 기피현상이 더욱 심해지고 있는 와중에 본 연구를 통해 내용 연계성이 부족한 부분을 수정하여 제8차 교육과정 개편에 도움이 되고, 대학의 일반화학 수업의 개선방향에 참고가 되어 화학교육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교육이 이루어지길 바란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1
      •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 1.2 선행연구의 고찰 = 3
      • 1.3 연구 내용 및 방법 = 5
      • 1.3.1 연구 내용 = 5
      • Ⅰ. 서론 = 1
      •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 1.2 선행연구의 고찰 = 3
      • 1.3 연구 내용 및 방법 = 5
      • 1.3.1 연구 내용 = 5
      • 1.3.2 연구 방법 및 설계 = 6
      • 1.4 연구의 제한점 = 7
      • Ⅱ. 이론적 배경 = 9
      • 2.1 교육과정의 의미와 견해 = 9
      • 2.2 교육과정의 연계성 = 10
      • 2.2.1 Tyler의 교육과정 조직 원리 = 11
      • 2.2.2 Piaget의 인지발달 이론에 근거한 연계성 = 11
      • 2.2.3 Gagne의 위계적 학습이론에 근거한 연계성 = 12
      • 2.2.4 Bruner의 나선형 교육과정에 근거한 연계성 = 13
      • Ⅲ. 7차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화학 교육과정 = 15
      • 3.1 제7차 과학과 교육과정의 특징 = 15
      • 3.1.1 고등학교 과학과 과목의 구성 = 15
      • 3.1.2 심화 · 보충 과정의 운영 = 16
      • 3.1.3 학습자 중심의 선택과목 = 17
      • 3.2 ‘과학’ 교과의 교육과정 = 17
      • 3.3 ‘생활과 과학’ 교과의 교육과정 = 19
      • 3.4 ‘화학Ⅰ’ 교과의 교육과정 = 21
      • 3.5 ‘화학Ⅱ’ 교과의 교육과정 = 25
      • Ⅳ. 이공계 대학의 일반화학 교육과정 = 31
      • 4.1 서울대학교의 일반화학 교육과정 = 31
      • 4.1.1 서울대의 일반화학 교육목표 = 32
      • 4.1.2 서울대의 일반화학 교육 내용 = 33
      • 4.2 한양대학교 일반화학 교육과정 = 38
      • 4.2.1 한양대학교의 일반화학 교육목표 = 38
      • 4.2.2 한양대학교의 일반화학 교육내용 = 39
      • Ⅴ. 화학Ⅱ와 일반화학의 연계성 결과 및 고찰 = 42
      • 5.1 화학Ⅱ와 일반화학의 내용 비교 결과 = 42
      • 5.2 화학Ⅱ와 일반화학의 연계성 결과 = 59
      • Ⅵ. 설문조사를 통한 연계성 결과 및 고찰 = 64
      • Ⅶ. 결론 및 제언 = 77
      • 7.1 결론 = 77
      • 7.2 제언 = 79
      • 참고문헌 = 81
      • ABSTRACT = 83
      • 부록 = 8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