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유아특수교사의 개별화교육계획 수립 및 실행과정에의 부모 참여 실태 = Parent Participation in Developing and Implementing Individualized Education Program for Preschoolers with Special Need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42878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1) i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ors provided parent education on IEP, 2) the level of parent participation in developing and implementing IEP for their child's with special needs, 3) the educators' satisfaction level on parent participation in IEP and the difficulties in facilitating family particip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ost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ors provided parent education in IEP 1-2 times at the beginning of semester. The main contents of this family education were identifying the present level of performance, identifying goals and objectives, family collaboration to accomplish the objectives, and making a decision whether the objectives were accomplished and identifying new goals and objectives. Second, most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ors reported that parents with preschoolers with special needs participated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IEP. The parents participated in 1) providing parental consent on IEP, 2) providing information on child's environment and developmental history, 3) reporting the present level of performance of the child, and providing suggestions on child's goals and objectives. Third, only about half of the participants reported that parents with preschoolers with special needs participated in the process of implementing IEP. The parents participated in 1) engaging in the child's intervention to achieve objectives, 2) collecting data on the child's progress, 3) determining the child's achievement of objectives and 4) providing suggestions on adjustment/resetting the child's goals and objectives. Fourth,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ors reported that they had difficulties in promoting family collaboration due to lack of time for them and the parents, circumstances of the child's family, and lack of skills to facilitate collaboration from the family.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1) i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ors provided parent education on IEP, 2) the level of parent participation in developing and implementing IEP for their child's with special needs, 3) the educator...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1) i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ors provided parent education on IEP, 2) the level of parent participation in developing and implementing IEP for their child's with special needs, 3) the educators' satisfaction level on parent participation in IEP and the difficulties in facilitating family particip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ost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ors provided parent education in IEP 1-2 times at the beginning of semester. The main contents of this family education were identifying the present level of performance, identifying goals and objectives, family collaboration to accomplish the objectives, and making a decision whether the objectives were accomplished and identifying new goals and objectives. Second, most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ors reported that parents with preschoolers with special needs participated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IEP. The parents participated in 1) providing parental consent on IEP, 2) providing information on child's environment and developmental history, 3) reporting the present level of performance of the child, and providing suggestions on child's goals and objectives. Third, only about half of the participants reported that parents with preschoolers with special needs participated in the process of implementing IEP. The parents participated in 1) engaging in the child's intervention to achieve objectives, 2) collecting data on the child's progress, 3) determining the child's achievement of objectives and 4) providing suggestions on adjustment/resetting the child's goals and objectives. Fourth,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ors reported that they had difficulties in promoting family collaboration due to lack of time for them and the parents, circumstances of the child's family, and lack of skills to facilitate collaboration from the famil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개별화교육프로그램을 계획하고 실행하는 과정에 특수교육대상유아 부모의 참여 실태를 살펴보고 부모참여를 촉진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국 66명의 유아특수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교사들은 부모에게 IEP에 대한 이해교육을 실시하였고, 주로 학기 초에 1-2회 정도 실시하였으며 주로 아동의 현행수준 파악, 아동의 IEP목표 선정, 목표성취를 위한 가정과의 연계 등의 내용이 포함되었다. 둘째, 대부분의 유아특수교사들은 IEP를 계획하는 단계에서 부모가 참여하였다고 보고하였으며, 참여 횟수는 1-2회가 많았고, 주된 참여내용은 IEP계획 승인, 유아 가정환경 및 발달력 등에 대한 자료 제공, 유아의 현행수준 보고, 장단기 목표에 대한 의견제시 등이었다. 셋째, IEP 실행단계에서의 부모 참여는 저조하였으나, 부모가 참여하는 경우 5회 이상의 활발한 참여양상을 보였으며, 아동의 교육목표 중재 참여, 아동의 진도점검자료 수집, 아동의 목표 성취 여부 판단, 목표 수정이나 보완에 대한 의견 제시 등 다양했다. 넷째, 교사들은 부모의 참여를 촉진하는데 느끼는 어려움으로 교사와 부모의 시간 부족, 유아 가정의 환경 및 상황, 교사의 협력촉진기술의 부족을 들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개별화교육프로그램을 계획하고 실행하는 과정에 특수교육대상유아 부모의 참여 실태를 살펴보고 부모참여를 촉진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국 66명의 유아특...

      본 연구는 개별화교육프로그램을 계획하고 실행하는 과정에 특수교육대상유아 부모의 참여 실태를 살펴보고 부모참여를 촉진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국 66명의 유아특수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교사들은 부모에게 IEP에 대한 이해교육을 실시하였고, 주로 학기 초에 1-2회 정도 실시하였으며 주로 아동의 현행수준 파악, 아동의 IEP목표 선정, 목표성취를 위한 가정과의 연계 등의 내용이 포함되었다. 둘째, 대부분의 유아특수교사들은 IEP를 계획하는 단계에서 부모가 참여하였다고 보고하였으며, 참여 횟수는 1-2회가 많았고, 주된 참여내용은 IEP계획 승인, 유아 가정환경 및 발달력 등에 대한 자료 제공, 유아의 현행수준 보고, 장단기 목표에 대한 의견제시 등이었다. 셋째, IEP 실행단계에서의 부모 참여는 저조하였으나, 부모가 참여하는 경우 5회 이상의 활발한 참여양상을 보였으며, 아동의 교육목표 중재 참여, 아동의 진도점검자료 수집, 아동의 목표 성취 여부 판단, 목표 수정이나 보완에 대한 의견 제시 등 다양했다. 넷째, 교사들은 부모의 참여를 촉진하는데 느끼는 어려움으로 교사와 부모의 시간 부족, 유아 가정의 환경 및 상황, 교사의 협력촉진기술의 부족을 들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우정한, "특수학급학생 교육에 있어 부모참여 및 역할 실태 조사"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6 (6): 155-180, 2005

      2 장경나, "정신지체학교 개별화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및 욕구조사"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1998

      3 조광순, "유아특수교육 기관의 개별화교육프로그램 운영실태및 개선 방안" 국립특수교육원 12 (12): 339-370, 2005

      4 김우심, "유아특수교사의 개별화교육프로그램(IEP) 활용에 대한 실태 분석"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5 김윤실, "미국 장애인교육법과 우리나라 특수교육법에서 개별화교육프로그램(IEP) 고찰" 한국특수교육학회 43 (43): 47-69, 2008

      6 권택환, "국내 통합학급 운영에 대한 학부모들의 인식 및 지원요구" 국립특수교육원 15 (15): 55-72, 2008

      7 노진아, "교육과정 중심 진단 도구의 활용이 발달지체 유아의 개별화된 교육목적 및 목표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8 (8): 17-37, 2008

      8 전병운, "개별화교육프로그램(IEP) 작성 및 운영의 현실화 방안 연구-IEP 작성자의 의견을 중심으로" 3 (3): 108-129, 1999

      9 방명애, "개별화교육프로그램 운영실태와 개선방안에 대한 중학교 특수학급 담당교사의 인식" 한국특수교육학회 39 (39): 149-173, 2005

      10 문회원, "가족이 참여한 긍정적 행동지원이 가정에서의 저녁 일과시간에 발생하는 자폐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8 (8): 97-115, 2008

      1 우정한, "특수학급학생 교육에 있어 부모참여 및 역할 실태 조사"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6 (6): 155-180, 2005

      2 장경나, "정신지체학교 개별화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및 욕구조사"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1998

      3 조광순, "유아특수교육 기관의 개별화교육프로그램 운영실태및 개선 방안" 국립특수교육원 12 (12): 339-370, 2005

      4 김우심, "유아특수교사의 개별화교육프로그램(IEP) 활용에 대한 실태 분석"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5 김윤실, "미국 장애인교육법과 우리나라 특수교육법에서 개별화교육프로그램(IEP) 고찰" 한국특수교육학회 43 (43): 47-69, 2008

      6 권택환, "국내 통합학급 운영에 대한 학부모들의 인식 및 지원요구" 국립특수교육원 15 (15): 55-72, 2008

      7 노진아, "교육과정 중심 진단 도구의 활용이 발달지체 유아의 개별화된 교육목적 및 목표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8 (8): 17-37, 2008

      8 전병운, "개별화교육프로그램(IEP) 작성 및 운영의 현실화 방안 연구-IEP 작성자의 의견을 중심으로" 3 (3): 108-129, 1999

      9 방명애, "개별화교육프로그램 운영실태와 개선방안에 대한 중학교 특수학급 담당교사의 인식" 한국특수교육학회 39 (39): 149-173, 2005

      10 문회원, "가족이 참여한 긍정적 행동지원이 가정에서의 저녁 일과시간에 발생하는 자폐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8 (8): 97-115, 2008

      11 이미선, "가족 중심의 유아특수교육: 장애영유아 가족의 가족지원에 관한 경험과 요구" 한국유아교육학회 24 (24): 89-112, 2004

      12 Fish,W.W, "The IEP meeting: Perceptions of parents of students who receive special education services" 53 (53): 8-14, 2008

      13 Fish,W.W, "Perceptions of parents of students with autism towards IEP meeting: A case study of one family support group chapter" 127 (127): 56-68, 2006

      14 Werts, M. G., "Knowing what to expect: Introducing preservice teachers to IEP meetings" 25 (25): 413-418, 2002

      15 Watson, M, "IEPs that work for everyone"

      16 Mueller,T.G, "IEP facilitation. A promising approach to resolving conflicts between families and schools" 41 (41): 60-67, 2009

      17 Chambers, C. R., "Fostering family-professional collaboration through person-centered IEP meetings: The true directions model" 3 (3): 20-29, 2009

      18 Childre,A., "Family perceptions of student centered planning and IEP meetings" 40 (40): 217-233, 2005

      19 Lytle, R. K., "Enhancing the IEP team" 33 (33): 40-44, 2001

      20 Strickland,B.B., "Developing and Implementing Individualized education program" Prentice Hall. 1993

      21 Bailey, .D, "Assessing infants and preschoolers with handicaps" Prentice Hall. 1993

      22 Miles-Bonart,S, "A look at variables affecting parent satisfaction with IEP meetings. In No child left behind: The vital role of rural schools" 1-10, 2002

      23 이병인, "2004년 미국의 장애인 교육법(IDEA) 개정안 주요 내용 고찰"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7 (7): 21-46,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4 0.94 1.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1 1.08 1.407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