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한 가계경제 악화가 가족생활과 심리적 복지에 미친 단기종단적 영향과 조절요인 = Financial Pressure due to the COVID-19 Pandemic and Family Lif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Korea: Short-Term Longitudinal Impacts and Moderators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목적: 본 연구는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한 가계경제 악화가 경제생활, 가족생활, 심리적 복지, 가족 및 사회관계망 변화에 차이를 가져왔는지를 파악하고, 가계경제 악화가 심리적 복지에...

      연구목적: 본 연구는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한 가계경제 악화가 경제생활, 가족생활, 심리적 복지, 가족 및 사회관계망 변화에 차이를 가져왔는지를 파악하고, 가계경제 악화가 심리적 복지에 미치는 영향을 가족 및 사회관계망 자원이 조절하는지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2020년 5월과 11월 두 차례에 걸친 온라인조사에 모두 참여한 561명(연령: 20-64세)을 연구대상으로 혼합분산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1차조사와 2차조사 사이에 가계경제가 악화된 집단은 같은 기간 동안 행복감과 가족탄력성이 낮아졌고, 스트레스 수준은 높아졌다. 반면 가계경제가 유지되었거나 개선된 집단은 주관적 행복감이 오히려 향상되었다. 1차조사에서의 행복과 스트레스를 통제한 상태에서 2차조사 시점의 행복과 스트레스를 각각 종속변수로 하는 회귀분석 결과, 가계경제가 악화된 경우 행복감(2차조사)은 낮았고 스트레스(2차조사) 수준은 높았다. 또한 가계경제 악화와 행복의 관계에서 가족탄력성 및 친구의 지원 두 가지 모두의 조절효과가 유의하였다. 특히 가족탄력성은 가계경제가 행복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완화하였다. 그러나 가계경제 악화가 스트레스에 미친 영향에 대해서는 조절효과가 발견되지 않았다. 결론: 본 연구결과는 코로나19가 장기화하면서 가계경제 악화 여부에 따른 심리적 측면에서의 양극화가 나타나고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악화된 가계경제에 대한 지원과 함께 가족탄력성을 강화하는 가족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s: This study focuses on changes in family economic conditions caused by the prolonged COVID-19 pandemic.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family life, individual psychological well-being, and relationship resources...

      Objectives: This study focuses on changes in family economic conditions caused by the prolonged COVID-19 pandemic.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family life, individual psychological well-being, and relationship resources during COVID-19 depending on whether the economic conditions of the family have negatively been impacted by the pandemic or not. We also examined whether family resilience and support from friends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conomic deteriora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Method: Data were collected from 561 Koreans (age: 20-64) at two time points in May 2020 (W1) and November 2020 (W2). Mixture ANOVA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Results: Respondents whose family economic situation deteriorated between W1 and W2 reported a decrease in happiness and family resilience, as well as an increase in perceived stress during the same period. In contrast, those whose economic conditions remained the same or improved experienced a slight increase in happiness. The economic deterioration of the family was respectively associated with a lower level of happiness and a higher level of stress at W2 after controlling for happiness and stress at W1. Family resilience and support from friends moderated the association between family economy and happiness, however the moderation effect was not fou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 decline in family economy and stress. Conclusions: Our results suggest that families with worsened economic situations tend to experience more difficulties in psychological well-being due to the prolonged pandemic although family resilience buffered the negative impact. Policies and family services need to provide financial support and strengthen family resilience particularly for individuals and families whose economic situations have deteriorated during the crisi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윤정미, "한국판 청소년용 지각된 스트레스 척도의 타당화 연구" 한국건강심리학회 24 (24): 569-586, 2019

      2 권현지, "한국의 사회동향 2020" 172-184, 2020

      3 오상봉, "한국의 사회동향 2020" 한국의 사회동향 184-193, 2020

      4 유경원, "한국의 사회동향 2020" 230-239, 2020

      5 남재현, "코로나19의 영향은 모두에게 동등한가? -종사상 지위별 소득과 빈곤에 미친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회 72 (72): 215-241, 2020

      6 박성욱, "코로나19의 경제적 영향 및 정책대응 방향" 한국금융연구원 29 (29): 3-10, 2020

      7 성미애, "코로나19에 따른 1인 가구의 일상생활 변화 및 스트레스: 사회적 지원과 가족탄력성을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 25 (25): 3-20, 2020

      8 정익중, "코로나19로 인한 아동일상 변화와 정서 상태" 한국아동복지학회 69 (69): 59-90, 2020

      9 진미정,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가족생활 및 가족관계의 변화와 스트레스" 대한가정학회 58 (58): 447-461, 2020

      10 황선웅, "코로나19 충격의 고용형태별 차별적 영향" 한국산업노동학회 26 (26): 5-34, 2020

      1 윤정미, "한국판 청소년용 지각된 스트레스 척도의 타당화 연구" 한국건강심리학회 24 (24): 569-586, 2019

      2 권현지, "한국의 사회동향 2020" 172-184, 2020

      3 오상봉, "한국의 사회동향 2020" 한국의 사회동향 184-193, 2020

      4 유경원, "한국의 사회동향 2020" 230-239, 2020

      5 남재현, "코로나19의 영향은 모두에게 동등한가? -종사상 지위별 소득과 빈곤에 미친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회 72 (72): 215-241, 2020

      6 박성욱, "코로나19의 경제적 영향 및 정책대응 방향" 한국금융연구원 29 (29): 3-10, 2020

      7 성미애, "코로나19에 따른 1인 가구의 일상생활 변화 및 스트레스: 사회적 지원과 가족탄력성을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 25 (25): 3-20, 2020

      8 정익중, "코로나19로 인한 아동일상 변화와 정서 상태" 한국아동복지학회 69 (69): 59-90, 2020

      9 진미정,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가족생활 및 가족관계의 변화와 스트레스" 대한가정학회 58 (58): 447-461, 2020

      10 황선웅, "코로나19 충격의 고용형태별 차별적 영향" 한국산업노동학회 26 (26): 5-34, 2020

      11 김영란, "코로나19 시기 가족생활과 가족정책 의제"

      12 김유식, "코로나19 상황이 전업 주부에게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11 (11): 567-578, 2020

      13 이민우, "코로나-19의 사회경제적 영향: 소비지출과 노동시장을 중심으로" 산업경제연구소 12 (12): 121-141, 2020

      14 김승희, "코로나-19(COVID-19) 이후 한부모가족의 주거 스트레스와 유형별 지원 방향 모색" (재) 인천연구원 (18) : 9-45, 2020

      15 조대형, "코로나-19 사태가 국내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향후 과제"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11 (11): 2597-2612, 2020

      16 홍태희, "코로나 19 팬데믹 경제위기의 특성과 원인 그리고 전망" 한독경상학회 38 (38): 79-99, 2020

      17 이태열, "최근 소비감소의 가구 유형별 특징" KIRI 13-19, 2020

      18 박지현, "중년기의 가족스트레스 및 가족탄력성이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 16 (16): 229-257, 2011

      19 오명자, "중년기 여성의 주부생활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한국여성심리학회 13 (13): 499-520, 2008

      20 한국경제연구원, "주요 경제위기와 현재위기의 차이점과 향후 전망" 20 (20): 1-36, 2020

      21 송유미, "조손가족 조부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우울 간 사회적 지지와 대처행동의 조절효과" 한국노년학회 31 (31): 795-811, 2011

      22 이유리, "정신장애인 가족의 보호부담과 삶의 질과의 관계에서 가족탄력성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한국콘텐츠학회 17 (17): 229-241, 2017

      23 강효경, "장애아동가족의 스트레스가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가족탄력성 조절효과 중심으로-"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11 (11): 427-446, 2012

      24 문지효, "외부 사건 충격으로 인한 해외관광객 감소가 서울시 유통산업에 미치는 영향: 2015년 메르스 사태로 인한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한국유통학회 21 (21): 129-152, 2016

      25 박성덕, "어머니가 인지한 아버지 양육참여 및 부부갈등과 양육스트레스와의 관계: 사회적 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유아교육학회 36 (36): 193-212, 2016

      26 김현정, "실직자의 가족탄력성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적극적 대처방식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상담심리학회 26 (26): 787-804, 2014

      27 현은민, "스트레스와 가족탄력성이 여성 한부모가족의 적응에 미치는 효과 연구"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13 (13): 59-84, 2008

      28 박성원, "사스에서 코로나19까지: 세계적 감염병과 사회적 이슈" 한국사회과학연구회 (109) : 35-67, 2020

      29 엄태완, "빈곤층의 경제적 스트레스와 우울 관계에서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의 효과"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8) : 36-66, 2008

      30 변호순, "빈곤 미혼모의 경제적 어려움과 우울증상, 양육스트레스, 아동학대와 방임이 아동의 사회행동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복지학회 (53) : 1-23, 2016

      31 오정준, "메르스 사태와 제주관광" 한국사진지리학회 27 (27): 33-53, 2017

      32 김희영, "노인의 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와 회복탄력성의 조절된 매개효과"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32 (32): 183-204, 2016

      33 신경림, "노인여성의 스트레스와우울간의 관계 연구" 5 (5): 29-37, 2003

      34 김승연, "노인 집단에서 배우자의 사별 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 사회적 지지와 대처행동의 조절효과" 한국임상심리학회 26 (26): 573-596, 2007

      35 김봉근, "글로벌 경제위기가 한국의 경제구조에 미친 단기영향과 경기회복 매커니즘 분석" 한국경제통상학회 28 (28): 1-25, 2010

      36 신동면, "경제위기 이후 한국 사회의 소득 양극화 실태와 사회보장의 과제" 한국사회이론학회 (29) : 34-60, 2006

      37 홍은숙, "가족탄력성 척도 타당화 연구: 장애아 가족을 대상으로" 한국특수교육학회 53 (53): 1-22, 2018

      38 이서영, "가족스트레스가 중년기 기혼여성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 가족건강성과 가족지지의 조절효과"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20 (20): 141-158, 2016

      39 Drentea, P., "Where does debt fit in the stress process model" 5 (5): 16-32, 2015

      40 Zimet, G. D., "The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52 : 30-41, 1988

      41 Cohen, S., "Stress, social support, and the buffering hypothesis" 98 (98): 310-357, 1985

      42 Walsh, F., "Strengthening family resilience" The Guilford Press 1998

      43 Conger, R. D., "Socioeconomic status, family processes, and individual development" 72 : 685-704, 2010

      44 Conger, R. D., "Resilience in Midwestern families : Selected findings from the first decade of a prospective, longitudinal study" 64 : 361-373, 2002

      45 Viseu, J., "Relationship between economic stress factors and stress, anxiety, and depression : Moderating role of social support" 268 : 102-107, 2018

      46 OECD, "Real GDP Growth"

      47 Armstrong, M. I., "Pathways between social support, family well being, quality of parenting, and child resilience : What we know" 14 (14): 269-281, 2005

      48 Ennis, N. E., "Money doesn’t talk, it swears : How economic stress and resistance resources impact inner city women’s depressive mood" 28 (28): 149-173, 2000

      49 Kwon, H-K., "Marital relationships following the Korean economic crisis : Applying the family stress model" 65 : 316-325, 2003

      50 White, R. M. B., "Longitudinal and integrative tests of family stress model effects on Mexican origin adolescents" 51 (51): 649-662, 2015

      51 Park, N., "Financial hardship, social support, and perceived stress" 28 (28): 322-332, 2017

      52 Gard, A. M., "Evaluation of a longitudinal family stress model in a population-based cohort" 2020

      53 Sixbey, M. T., "Development of the family resilience assessment scale to identify family resilience constructs" University of Florida 2005

      54 Conger, R. D., "Couple resilience to economic pressure" 76 (76): 54-71, 1999

      55 Cohen, S., "A global measure of perceived stress" 24 (24): 385-396, 198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3-1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Family Relations Association -> Journal of Family Relations KCI등재
      2015-03-11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Association Of Family Relation -> Korean Association Of Family Relations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5-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Family Relations -> Journal of Korean Family Relations Association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1 1.11 1.2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6 1.41 1.552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