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팬데믹과 비판적 로지스틱스 연구에 대한 탐색적 연구 = Exploring the Possibility of Critical Studies on Logistics in the Era of the Covid-19 Pandemic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00056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팬데믹 이후 나타나고 있는 우리 사회에서의 모빌리티 체제의 구조적 변화와 연관된 지식/권력 체계와 기술의 변화를 비판적으로 조망·분석하기 위한 이론적 분석틀로서 비판적 로지스틱스 연구의 가능성을 탐색해 보고자 하는 시도이다. 특히, 팬데믹 이후 우리 사회의 변화를 로지스틱스 관련 지식/권력 체계와 기술의 변화라는 관점에서 조망하면서 이에 대한 비판적 접근의 의미와 중요성에 대해 살펴보는데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먼저, 이를 위해서 이 논문은 로지스틱스의 개념과 기원에 대하여 살펴본다. 로지스틱스 지식/권력 체계가 가지고 있는 권력적 특성에 주목하는 논의들에 대하여 검토한다. 다음으로, 현대 로지스틱스의 특징적 양상을 글로벌 공급망의 구축을 통한 자본 축적 방식의 변화라는 시각에서 살펴본다. 여기에서 현대 로지스틱스를 특징짓는 중요한 두 가지 계기, 금융 시스템과의 결합과 디지털 기술의 활용에 대하여 살펴본다. 결론에서는 오늘날 팬데믹이라는 역사적 국면에서 글로벌 공급망 자본주의(supply-chain capitalism)에 의한 자본축적 방식의 변화는 비판적 로지스틱스 연구의 핵심 주제와 어떤 연관성이 있는지에 대하여 살펴본다. 또한 오늘날 팬데믹 상황이 비판적 로지스틱스 연구 및 기존의 미디어문화연구에 주는 함의에 대하여 토론할 것이다.
      번역하기

      이 논문은 팬데믹 이후 나타나고 있는 우리 사회에서의 모빌리티 체제의 구조적 변화와 연관된 지식/권력 체계와 기술의 변화를 비판적으로 조망·분석하기 위한 이론적 분석틀로서 비판적 ...

      이 논문은 팬데믹 이후 나타나고 있는 우리 사회에서의 모빌리티 체제의 구조적 변화와 연관된 지식/권력 체계와 기술의 변화를 비판적으로 조망·분석하기 위한 이론적 분석틀로서 비판적 로지스틱스 연구의 가능성을 탐색해 보고자 하는 시도이다. 특히, 팬데믹 이후 우리 사회의 변화를 로지스틱스 관련 지식/권력 체계와 기술의 변화라는 관점에서 조망하면서 이에 대한 비판적 접근의 의미와 중요성에 대해 살펴보는데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먼저, 이를 위해서 이 논문은 로지스틱스의 개념과 기원에 대하여 살펴본다. 로지스틱스 지식/권력 체계가 가지고 있는 권력적 특성에 주목하는 논의들에 대하여 검토한다. 다음으로, 현대 로지스틱스의 특징적 양상을 글로벌 공급망의 구축을 통한 자본 축적 방식의 변화라는 시각에서 살펴본다. 여기에서 현대 로지스틱스를 특징짓는 중요한 두 가지 계기, 금융 시스템과의 결합과 디지털 기술의 활용에 대하여 살펴본다. 결론에서는 오늘날 팬데믹이라는 역사적 국면에서 글로벌 공급망 자본주의(supply-chain capitalism)에 의한 자본축적 방식의 변화는 비판적 로지스틱스 연구의 핵심 주제와 어떤 연관성이 있는지에 대하여 살펴본다. 또한 오늘날 팬데믹 상황이 비판적 로지스틱스 연구 및 기존의 미디어문화연구에 주는 함의에 대하여 토론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is an attempt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critical studies on logistics by examining the structural changes of the mobilities regime in Korean society, particularly the changes of logistics as knowledge/power system as well as logistical media technology, which emerged in the current Covid-19 pandemic. It aims to examine the meaning and importance of a critical approach to the logistic knowledge/ power system and logistical media technology while looking at the recent changes in Korean society from the perspective of changes in the knowledge/power system and media technologies related to logistics. First, this paper will examine the concept and origin of logistics focusing on the power-ridden characteristics of the logistic knowledge/power system. Next, this paper will address the two characteristic aspects of modern logistics in the shifting mode of capital accumulation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global supply chains: the articulation of modern logistics with the financial system and the use of digital technologies by the modern logistics. In conclusion, in the historical conjuncture of today's pandemic, the changes of the capital accumulation regime in the global supply-chain capitalism will be examined. It is also discussed how they are related to the core theme of critical studies on logistics. I will also discuss on the implications of today's pandemic situation for both critical studies on logistics and the existing media cultural studies.
      번역하기

      This paper is an attempt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critical studies on logistics by examining the structural changes of the mobilities regime in Korean society, particularly the changes of logistics as knowledge/power system as well as logistical ...

      This paper is an attempt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critical studies on logistics by examining the structural changes of the mobilities regime in Korean society, particularly the changes of logistics as knowledge/power system as well as logistical media technology, which emerged in the current Covid-19 pandemic. It aims to examine the meaning and importance of a critical approach to the logistic knowledge/ power system and logistical media technology while looking at the recent changes in Korean society from the perspective of changes in the knowledge/power system and media technologies related to logistics. First, this paper will examine the concept and origin of logistics focusing on the power-ridden characteristics of the logistic knowledge/power system. Next, this paper will address the two characteristic aspects of modern logistics in the shifting mode of capital accumulation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global supply chains: the articulation of modern logistics with the financial system and the use of digital technologies by the modern logistics. In conclusion, in the historical conjuncture of today's pandemic, the changes of the capital accumulation regime in the global supply-chain capitalism will be examined. It is also discussed how they are related to the core theme of critical studies on logistics. I will also discuss on the implications of today's pandemic situation for both critical studies on logistics and the existing media cultural studie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