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경찰신뢰 영향요인에 대한 연구: 범죄핫스팟과 콜드스팟 비교를 중심으로 = Determinants of Public Confidence in the Police among crime hotspot and crime coldspo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09768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경찰신뢰 수준과 영향요인 차이를 범죄핫스팟과 범죄콜드스팟으로 나누어 비교·검증하였다. 기존 경찰신뢰 연구에서 주요변수로 사용하는 도구적 시각, 표현적 시각에서 추출한 변수를 활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를 통해 범죄핫스팟과 범죄콜드스팟의 경찰신뢰 수준을 비교한 결과 범죄핫스팟의 경찰신뢰 수준이 조금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다음으로 범죄핫스팟에서는 도구적 시각, 표현적 시각에서 추출한 변수 중 표현적 시각에서 추출한 사회적 무질서가 경찰신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범죄콜드스팟에서는 도구적 시각, 표현적 시각에서 추출한 모든 변수가 경찰신뢰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드러나 설명모형이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범죄발생률이 높은 지역의 경우 표현적 시각이 경찰신뢰를 설명하는 유효한 모형이나, 범죄발생이 낮은 지역의 경우 도구적 시각과 표현적 시각 모두 경찰신뢰를 설명하기에 적합하지 않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경찰신뢰 수준과 영향요인 차이를 범죄핫스팟과 범죄콜드스팟으로 나누어 비교·검증하였다. 기존 경찰신뢰 연구에서 주요변수로 사용하는 도구적 시각, 표현적 시각에서 추출�...

      이 연구는 경찰신뢰 수준과 영향요인 차이를 범죄핫스팟과 범죄콜드스팟으로 나누어 비교·검증하였다. 기존 경찰신뢰 연구에서 주요변수로 사용하는 도구적 시각, 표현적 시각에서 추출한 변수를 활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를 통해 범죄핫스팟과 범죄콜드스팟의 경찰신뢰 수준을 비교한 결과 범죄핫스팟의 경찰신뢰 수준이 조금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다음으로 범죄핫스팟에서는 도구적 시각, 표현적 시각에서 추출한 변수 중 표현적 시각에서 추출한 사회적 무질서가 경찰신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범죄콜드스팟에서는 도구적 시각, 표현적 시각에서 추출한 모든 변수가 경찰신뢰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드러나 설명모형이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범죄발생률이 높은 지역의 경우 표현적 시각이 경찰신뢰를 설명하는 유효한 모형이나, 범죄발생이 낮은 지역의 경우 도구적 시각과 표현적 시각 모두 경찰신뢰를 설명하기에 적합하지 않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장현석, "일반시민의 경찰에 대한 신뢰도 연구: 표현적 시각의 경찰신뢰도 설명을 중심으로" 한국경찰연구학회 12 (12): 213-236, 2013

      2 황의갑 ; 홍명기, "일반시민과 체류외국인의 경찰에 대한 신뢰도 비교 연구 - 중국, 몽골, 베트남 출신 체류외국인을 중심으로 -" 한국경찰연구학회 19 (19): 291-334, 2020

      3 강지현, "일반 시민의 경찰신뢰에 대한 연구: 순찰, 출동, 검거신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중심으로" 한국경찰학회 18 (18): 31-58, 2016

      4 유재두, "시민이 인식하는 경찰의 역할과 경찰 신뢰 관계:경찰공무원의 매개변수를 중심으로" 한국경찰학회 20 (20): 3-28, 2018

      5 장현석 ; 김소희, "시간의 흐름에 따른 경찰 신뢰도 변화에 대한 연구" 한국경찰학회 17 (17): 111-136, 2015

      6 김문호 ; 주재진, "상관의 개인적 특성에 대한 인식이 경찰공무원의 신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경찰학회 13 (13): 193-224, 2011

      7 한보영 ; 최재용 ; 이윤호, "교류집단의 사회적 지위가 경찰신뢰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찰연구학회 13 (13): 393-420, 2014

      8 이승현, "경찰활동에 대한 시민인식이 경찰협력에 미치는 영향: 절차적 공정성과 경찰효과성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8

      9 황의갑 ; 한성일, "경찰에 대한 신뢰도에 영향을 미치는 표현적·도구적 요인: 한국과 몽골 시민들 간의 비교연구" 한국경찰연구학회 15 (15): 317-342, 2016

      10 황의갑, "경찰에 대한 신뢰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서울시민들과미시간주 디트로이트 대도시권 한인들 간의 비교연구" 한국경찰연구학회 12 (12): 411-434, 2013

      1 장현석, "일반시민의 경찰에 대한 신뢰도 연구: 표현적 시각의 경찰신뢰도 설명을 중심으로" 한국경찰연구학회 12 (12): 213-236, 2013

      2 황의갑 ; 홍명기, "일반시민과 체류외국인의 경찰에 대한 신뢰도 비교 연구 - 중국, 몽골, 베트남 출신 체류외국인을 중심으로 -" 한국경찰연구학회 19 (19): 291-334, 2020

      3 강지현, "일반 시민의 경찰신뢰에 대한 연구: 순찰, 출동, 검거신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중심으로" 한국경찰학회 18 (18): 31-58, 2016

      4 유재두, "시민이 인식하는 경찰의 역할과 경찰 신뢰 관계:경찰공무원의 매개변수를 중심으로" 한국경찰학회 20 (20): 3-28, 2018

      5 장현석 ; 김소희, "시간의 흐름에 따른 경찰 신뢰도 변화에 대한 연구" 한국경찰학회 17 (17): 111-136, 2015

      6 김문호 ; 주재진, "상관의 개인적 특성에 대한 인식이 경찰공무원의 신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경찰학회 13 (13): 193-224, 2011

      7 한보영 ; 최재용 ; 이윤호, "교류집단의 사회적 지위가 경찰신뢰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찰연구학회 13 (13): 393-420, 2014

      8 이승현, "경찰활동에 대한 시민인식이 경찰협력에 미치는 영향: 절차적 공정성과 경찰효과성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8

      9 황의갑 ; 한성일, "경찰에 대한 신뢰도에 영향을 미치는 표현적·도구적 요인: 한국과 몽골 시민들 간의 비교연구" 한국경찰연구학회 15 (15): 317-342, 2016

      10 황의갑, "경찰에 대한 신뢰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서울시민들과미시간주 디트로이트 대도시권 한인들 간의 비교연구" 한국경찰연구학회 12 (12): 411-434, 2013

      11 김영수, "경찰에 대한 시민 신뢰의 향상 방안: 대전광역시 시민 인식을 중심으로" 대전대학교 대학원 2019

      12 이병도, "경찰신뢰도 궤적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과 일본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경찰학회 19 (19): 141-170, 2017

      13 주재진, "경찰공무원의 신뢰형성요인, 신뢰 및 조직효과성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경찰학회 14 (14): 150-180, 2012

      14 주재진, "경찰공무원의 신뢰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경찰학회 11 (11): 401-430, 2009

      15 Bradford, B., "Triggers of change to public confidence in the police and criminal justice system: Findings from the Crime Survey for England and Wales panel experiment" 15 (15): 23-43, 2015

      16 Sunshine, J., "The role of procedural justice and legitimacy in shaping public support for policing" 37 (37): 513-548, 2003

      17 Gau, J. M., "The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of procedural justice and police legitimacy: An empirical test of core theoretical propositions" 39 (39): 489-498, 2011

      18 Reisig, M. D., "The construct validity and refinement of process-based policing measures" 34 (34): 1005-1028, 2007

      19 Baumer, E. P., "Reporting crime to the police, 1973– 2005: a multivariate analysis of long‐term trends in the National Crime Survey (NCS) and National Crime Victimization Survey (NCVS)" 48 (48): 131-185, 2010

      20 Cao, L., "Race, community context and confidence in the police" 15 (15): 3-22, 1996

      21 Jackson, J., "Public confidence in policing: Aneo-Durkheimian perspective" 47 (47): 214-233, 2007

      22 Kline, R. B.,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Guilford Press 2011

      23 Tyler, T. R., "Policing in black and white: Ethnic group differences in trust and confidence in the police" 8 (8): 322-342, 2005

      24 Kowalewski, D., "Police environments and operational codes: A case study of rural setting" 72 (72): 53-78, 1984

      25 Tankebe, J., "Police effectiveness and police trustworthiness in Ghana: An empirical appraisal" 8 (8): 185-202, 2008

      26 Sun, I. Y., "One country, three populations: Trust in police among migrants, villagers, and urbanites in China" 42 (42): 1737-1749, 2013

      27 Ren, L., "Linking confidence in the police with the performance of the police: Community policing can make a difference" 33 (33): 55-66, 2005

      28 Rusinko, W. T., "Importance of police contact in the formulation of youths’ attitudes toward police" 6 (6): 53-67, 1978

      29 Chou, C. P., "Estimates and test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age 1995

      30 Tyler, T. R., "Enhancing police legitimacy" 593 (593): 84-99, 2004

      31 Merry, S., "Drivers of public trust and confidence in police in the UK" 14 (14): 118-135, 2012

      32 Jackson, J., "Crime, policing and social order: on the expressive nature of public confidence in policing" 60 (60): 493-521, 2009

      33 Jang, H., "Confidence in the police among Korean people:an expressive model versus an instrumental model" 42 (42): 306-323, 2014

      34 Skogan, W. G., "Concern about crime and confidence in the police:Reassurance or accountability?" 12 (12): 301-318, 2009

      35 Anderson, E., "Code of the street: Decency, violence, and the moral life of the inner city" WW Norton & Company 2000

      36 Sindall, K., "Austerity policing: is visibility more important than absolute numbers in determining public confidence in the police?" 10 (10): 137-153, 2013

      37 홍승표, "A Study on the Influence Factors of Citizens' Perception on Strengthening Police Power -An Analysis of the Mediation Effect of Police Confidence-" 경찰학연구소 15 (15): 9-31, 2020

      38 노연상 ; 임창호, "A Comparative Study on the trust of the Police Between Nations - Centered on college students in South Korea and China -" Korean Police Studies Association 16 (16): 69-104, 201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3-1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Associatin of Public Safety and Criminal Justice Review -> korean Journal of Public Safety and Criminal Justice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6 0.96 0.9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6 0.92 1.084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