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葛洪 『抱朴子內篇』의 ‘玄’ ‘道’ ‘一’에 대한 이해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10855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葛洪 『抱朴子內篇』의 ‘玄’ ‘道’ ‘一’ 세 가지 개념에 대한 이해를 통해 갈홍의 자연관 체계를 알아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모든 시기의 모든 철학자들은 자연관 체계를 세울 때, 자신의 이론체계에 따라 만물의 생성과정 및 그 현상배후의 본체에 대한 관점을 내세운다. 다시 말해서, 자연관은 모든 철학자들 사상의 가장 기본적인 이론체계라 할 수 있다. 갈홍 또한 자신의 자연관이란 기본적 전제에서 출발해, 『포박자내편』의 사상체계를 완성한다.
      갈홍은 선진시기 노자와 장자, 양한시기 도가 및 도교, 그리고 위진현학의 견해를 이어받아, ‘玄’ ‘道’ ‘一’을 천지만물의 근원이자 본체로 여긴다. 이 세 가지 개념은 기본적으로 그 함의가 동일하지만, 『포박자내편』의 이론체계 속에서 서로 다른 작용을 한다. 갈홍의 ‘현’은 우주만물의 총 근원으로 우주의 본원이자 본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현’은 양한시기 본원론과 위진시기 현학의 두 가지 요소를 모두 갖추고 있다. ‘도’의 함의는 기본적으로 ‘현’과 같지만, 자연의 근본이라는 의미뿐 아니라 현실 인륜 사회의 가장 기본적인 원칙으로 자리잡고 있다. 이와 달리 ‘일’은 ‘현’과 ‘도’의 기본적 함의 이외에, 더욱 신비스럽고 방술화된 특징을 지니는데, 이는 그의 신선도교 이론 체계의 종교적 근거의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葛洪 『抱朴子內篇』의 ‘玄’ ‘道’ ‘一’ 세 가지 개념에 대한 이해를 통해 갈홍의 자연관 체계를 알아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모든 시기의 모든 철학자들은 자연관 체계를 ...

      본 논문은 葛洪 『抱朴子內篇』의 ‘玄’ ‘道’ ‘一’ 세 가지 개념에 대한 이해를 통해 갈홍의 자연관 체계를 알아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모든 시기의 모든 철학자들은 자연관 체계를 세울 때, 자신의 이론체계에 따라 만물의 생성과정 및 그 현상배후의 본체에 대한 관점을 내세운다. 다시 말해서, 자연관은 모든 철학자들 사상의 가장 기본적인 이론체계라 할 수 있다. 갈홍 또한 자신의 자연관이란 기본적 전제에서 출발해, 『포박자내편』의 사상체계를 완성한다.
      갈홍은 선진시기 노자와 장자, 양한시기 도가 및 도교, 그리고 위진현학의 견해를 이어받아, ‘玄’ ‘道’ ‘一’을 천지만물의 근원이자 본체로 여긴다. 이 세 가지 개념은 기본적으로 그 함의가 동일하지만, 『포박자내편』의 이론체계 속에서 서로 다른 작용을 한다. 갈홍의 ‘현’은 우주만물의 총 근원으로 우주의 본원이자 본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현’은 양한시기 본원론과 위진시기 현학의 두 가지 요소를 모두 갖추고 있다. ‘도’의 함의는 기본적으로 ‘현’과 같지만, 자연의 근본이라는 의미뿐 아니라 현실 인륜 사회의 가장 기본적인 원칙으로 자리잡고 있다. 이와 달리 ‘일’은 ‘현’과 ‘도’의 기본적 함의 이외에, 더욱 신비스럽고 방술화된 특징을 지니는데, 이는 그의 신선도교 이론 체계의 종교적 근거의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Ⅰ. 들어가는 말
      • Ⅱ. 玄: 만물의 근본
      • Ⅲ. 道: 만물의 근본이자 인륜의 근원
      • Ⅳ. 一: 신선사상의 근거
      • 【국문요약】
      • Ⅰ. 들어가는 말
      • Ⅱ. 玄: 만물의 근본
      • Ⅲ. 道: 만물의 근본이자 인륜의 근원
      • Ⅳ. 一: 신선사상의 근거
      • Ⅴ. 나오는 말
      • 【참고문헌】
      • 【中文提要】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王 點校, "老子道德經河上公章句" 北京 中華書局 1997

      2 胡孚琛, "魏晋神仙道敎-抱朴子內篇硏究-" 人民出版社 1989

      3 卿希泰, "道敎與中國傳統文化" 福建人民出版社 1992

      4 王明, "道家和道敎思想硏究" 中國社會科學出版社 6-, 1990

      5 斗勇, "葛洪的‘玄’‘道’與‘一’不是一回事" 1984年第5期

      6 윤찬원, "葛洪 神仙思想의 형성과 철학사상에 관한 연구" 한국도교문화학회 (20) : 179-220, 2004

      7 楊明照, "抱朴子外篇校箋" 北京: 中華書局 下 : 1996

      8 王明, "抱朴子內篇校釋" 1988

      9 許抗生, "三國兩晋玄佛道簡論" 1991

      1 王 點校, "老子道德經河上公章句" 北京 中華書局 1997

      2 胡孚琛, "魏晋神仙道敎-抱朴子內篇硏究-" 人民出版社 1989

      3 卿希泰, "道敎與中國傳統文化" 福建人民出版社 1992

      4 王明, "道家和道敎思想硏究" 中國社會科學出版社 6-, 1990

      5 斗勇, "葛洪的‘玄’‘道’與‘一’不是一回事" 1984年第5期

      6 윤찬원, "葛洪 神仙思想의 형성과 철학사상에 관한 연구" 한국도교문화학회 (20) : 179-220, 2004

      7 楊明照, "抱朴子外篇校箋" 北京: 中華書局 下 : 1996

      8 王明, "抱朴子內篇校釋" 1988

      9 許抗生, "三國兩晋玄佛道簡論" 199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7 0.57 0.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4 0.5 1.665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