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내부망명자의 고독 = An Emigrant’s Political Solitude: About the Sense of Emigration in Ahn Su-gil’s late work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24291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말년의 안수길을 지배하고 있던 것은 ‘망명의식’이었다는 것이 이 글의 커다란 전제다. 그는 실제로 망명을 시도한 적도 없었고, 망명을 결행할 만큼 노골적인 핍박을 받은 적도 없지만, 자신이 속해 있는 법적 국민국가인 ‘대한민국’에 대한 환멸과 부정, 혹은 애증(愛憎)의 복잡한 심경을 작품을 통해 암시해 오고 있었다. 그의 ‘망명의식’이 지닌 특징은, ‘망명’에 관한 ‘욕망’을 암시하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그 ‘욕망’을 억누르는 ‘억압’의 기제를 스스로 제공하고 있다는 데 있다. 그런 점에서, 말년의 가작(佳作)임에도 불구하고 안수길의 작품 계보에서 그다지 주목받아 오지 않았던 단편 〈망명시인〉은, 작가의식의 표층과 심층, 그리고 그 사이의 균열과 단층을 들여다 볼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작품이다. 좀 더 흥미로운 사실은, 〈망명시인〉에서 노출되고 있는 작가의 ‘망명’에 관한 ‘욕망’과 ‘억압’은, 안수길의 작품 세계 안에서 오래 전부터 일정한 계보를 형성해 오고 있었다는 점이다. 그 계보는 전시기(戰時期)에 발표되었던 〈갱생기〉와 〈두 개의 발정(發程)〉에서 시작하여, 후기의 〈IRAQ에서 온 불온문서〉와 〈노부부〉, 〈삼인행〉까지 이어진다. 이 계보를 통해 확인되는 그의 ‘망명의식’은, 전시기나 전쟁 직후에는 주로 대한민국의 절대적인 빈곤이나 열악한 삶의 수준으로부터 벗어나고자 하는 소망과 연결되지만, 후기로 접어들면서, 분단의 고통이나 민주주의의 파탄과 같은 정치적 환경에 대한 비판의식과 더 밀접한 관련을 맺는다. 그의 작품 세계 전체를 가로지르는 ‘망명의식’의 계보를 거꾸로 거슬러 올라가면, 그 초입에서 우리는 작가 안수길의 ‘재만 경험’과 다시 조우하게 된다. 그의 개인사와 작가로서의 삶에 운명처럼 각인되어 있는 ‘이주’와 ‘정주’를 둘러싼 이 길고 힘든 여정이, ‘망명’을 둘러싼 그의 ‘욕망/억압’의 근원적 사건임을 재확인하게 되는 것이다.
      번역하기

      말년의 안수길을 지배하고 있던 것은 ‘망명의식’이었다는 것이 이 글의 커다란 전제다. 그는 실제로 망명을 시도한 적도 없었고, 망명을 결행할 만큼 노골적인 핍박을 받은 적도 없지만, ...

      말년의 안수길을 지배하고 있던 것은 ‘망명의식’이었다는 것이 이 글의 커다란 전제다. 그는 실제로 망명을 시도한 적도 없었고, 망명을 결행할 만큼 노골적인 핍박을 받은 적도 없지만, 자신이 속해 있는 법적 국민국가인 ‘대한민국’에 대한 환멸과 부정, 혹은 애증(愛憎)의 복잡한 심경을 작품을 통해 암시해 오고 있었다. 그의 ‘망명의식’이 지닌 특징은, ‘망명’에 관한 ‘욕망’을 암시하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그 ‘욕망’을 억누르는 ‘억압’의 기제를 스스로 제공하고 있다는 데 있다. 그런 점에서, 말년의 가작(佳作)임에도 불구하고 안수길의 작품 계보에서 그다지 주목받아 오지 않았던 단편 〈망명시인〉은, 작가의식의 표층과 심층, 그리고 그 사이의 균열과 단층을 들여다 볼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작품이다. 좀 더 흥미로운 사실은, 〈망명시인〉에서 노출되고 있는 작가의 ‘망명’에 관한 ‘욕망’과 ‘억압’은, 안수길의 작품 세계 안에서 오래 전부터 일정한 계보를 형성해 오고 있었다는 점이다. 그 계보는 전시기(戰時期)에 발표되었던 〈갱생기〉와 〈두 개의 발정(發程)〉에서 시작하여, 후기의 〈IRAQ에서 온 불온문서〉와 〈노부부〉, 〈삼인행〉까지 이어진다. 이 계보를 통해 확인되는 그의 ‘망명의식’은, 전시기나 전쟁 직후에는 주로 대한민국의 절대적인 빈곤이나 열악한 삶의 수준으로부터 벗어나고자 하는 소망과 연결되지만, 후기로 접어들면서, 분단의 고통이나 민주주의의 파탄과 같은 정치적 환경에 대한 비판의식과 더 밀접한 관련을 맺는다. 그의 작품 세계 전체를 가로지르는 ‘망명의식’의 계보를 거꾸로 거슬러 올라가면, 그 초입에서 우리는 작가 안수길의 ‘재만 경험’과 다시 조우하게 된다. 그의 개인사와 작가로서의 삶에 운명처럼 각인되어 있는 ‘이주’와 ‘정주’를 둘러싼 이 길고 힘든 여정이, ‘망명’을 둘러싼 그의 ‘욕망/억압’의 근원적 사건임을 재확인하게 되는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remise of this paper is that the sense of emigraion was most important way of thinking in Ahn Su-gil’s late life. He was a kind of ‘inner emigrant’. Actually, he had never ever tried to emigrate to other country, also had not been oppressed to decide to escape from Korea. But, he always dreamed to escape to another country. We need to read carefully his last short story “망명시인An Emigrant Poet” to understand his sense of emigration. We can see the surface and deep structure of writer’s consciouness through that short story. There was a genealogy of desire for emigration in Ahn’s works. “갱생기A Rebirth”, “두 개의 발정 Two Beginning”, “IRAQ에서 온 불온문서Seditious Documents from IRAQ” belong to that genealogy. Ahn Su-gil’s sense of emigration originated in his life in Manchuria. In Manchuria, he had special experience which taught him the ‘outness’ and ‘otherness’. There are many Korean writers who had lived in Manchria in Japanese colonial era and returned after the end of the World War Ⅱ. But Ahn Su-gil is so unique that he showed us new horizon for description of Korean diaspora and settlement during the 20th century.
      번역하기

      The premise of this paper is that the sense of emigraion was most important way of thinking in Ahn Su-gil’s late life. He was a kind of ‘inner emigrant’. Actually, he had never ever tried to emigrate to other country, also had not been oppressed...

      The premise of this paper is that the sense of emigraion was most important way of thinking in Ahn Su-gil’s late life. He was a kind of ‘inner emigrant’. Actually, he had never ever tried to emigrate to other country, also had not been oppressed to decide to escape from Korea. But, he always dreamed to escape to another country. We need to read carefully his last short story “망명시인An Emigrant Poet” to understand his sense of emigration. We can see the surface and deep structure of writer’s consciouness through that short story. There was a genealogy of desire for emigration in Ahn’s works. “갱생기A Rebirth”, “두 개의 발정 Two Beginning”, “IRAQ에서 온 불온문서Seditious Documents from IRAQ” belong to that genealogy. Ahn Su-gil’s sense of emigration originated in his life in Manchuria. In Manchuria, he had special experience which taught him the ‘outness’ and ‘otherness’. There are many Korean writers who had lived in Manchria in Japanese colonial era and returned after the end of the World War Ⅱ. But Ahn Su-gil is so unique that he showed us new horizon for description of Korean diaspora and settlement during the 20th centur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말년의 양식으로서의 망명의식
      • 2. 〈망명시인〉에 그려진 두 개의 망명
      • 3. 망명의식의 계보-〈갱생기〉에서 〈삼인행〉까지
      • 4. 운명으로서의 ‘이산’과 내부망명자의 고독
      • 국문초록
      • 1. 말년의 양식으로서의 망명의식
      • 2. 〈망명시인〉에 그려진 두 개의 망명
      • 3. 망명의식의 계보-〈갱생기〉에서 〈삼인행〉까지
      • 4. 운명으로서의 ‘이산’과 내부망명자의 고독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영안, "타인의 얼굴-레비나스의 철학" 문학과지성사 2005

      2 한수영, "친일문학의 재인식" 소명출판 2005

      3 H. Stuart Hughes, "지식인들의 망명: 사회사상의 대항해, 1930-1965" 개마고원 2007

      4 Andre Vltcheck, "작가의 망명: 인도네시아의 대문호 프라무댜 아난타 투르와의 대화" 후마니타스 2011

      5 Edward W. Said, "에드워드 사이드 자서 전" 살림 2001

      6 안수길, "안수길전집 1~18권" 글누림출판사 2011

      7 김윤식, "안수길연구" 정음사 1986

      8 안수길, "벼" 정음사 1965

      9 박남수, "박남수전집2" 한양대출판원 1998

      10 장만호, "박남수론:한 월남 문인의 이력과 ‘純粹’의 이면 ― 수기와 전집 미수록 시를 중심으로" 한국시학회 (32) : 173-202, 2011

      1 강영안, "타인의 얼굴-레비나스의 철학" 문학과지성사 2005

      2 한수영, "친일문학의 재인식" 소명출판 2005

      3 H. Stuart Hughes, "지식인들의 망명: 사회사상의 대항해, 1930-1965" 개마고원 2007

      4 Andre Vltcheck, "작가의 망명: 인도네시아의 대문호 프라무댜 아난타 투르와의 대화" 후마니타스 2011

      5 Edward W. Said, "에드워드 사이드 자서 전" 살림 2001

      6 안수길, "안수길전집 1~18권" 글누림출판사 2011

      7 김윤식, "안수길연구" 정음사 1986

      8 안수길, "벼" 정음사 1965

      9 박남수, "박남수전집2" 한양대출판원 1998

      10 장만호, "박남수론:한 월남 문인의 이력과 ‘純粹’의 이면 ― 수기와 전집 미수록 시를 중심으로" 한국시학회 (32) : 173-202, 2011

      11 이명찬, "박남수 시의 재인식― ‘이미지’에 가려진 분단의 상처" 한국시학회 (31) : 191-225, 2011

      12 안수길, "망명시인" 일지사 1976

      13 Edward W. Said, "말년의 양식에 관하여" 도서출판 마티 2008

      14 한수영, "떠도는 자의 초상, 혹은 ‘이산’이라는 운명―탄생 100주년에 생각하는 안수길의 문학과 사상" 2011

      15 "동아일보"

      16 박남수, "그리고 그 후" 문학수첩 1999

      17 "경향신문"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04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문학논총
      외국어명 : Theses on Korean Literature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9 0.29 0.4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1 0.41 0.739 0.2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