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6‧25전쟁 초기 북한군 도하작전의 실패요인 연구 - 한강 도하 사례를 중심으로 - = The Failure Factors of the River-crossing Operations Conducted by North Korean Troops During Initial Phase of the Korean War - Analysing Based on the Battle of the Han-River Crossing -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nalysing failure factors of the Han-River crossing operations conducted by North Korean troops in the early stage of Korean war. Commonly, there are two factors of the failure based on the strategic and operational level. Firstly, they didn't chase Korean Army in Seoul, so they couldn't secure bridges on the Han-River. Secondly, they had not enough river-crossing equipments suitable for Korean terrain.
      But it is difficult to explain all aspects of unsuccessful operation. So it was necessary to assess tactical level of North Korean troops during conduct of operations. In the initial phase, they weren't prepared well for the reconnaissance, infiltration, deception and fire support of the river-crossing operation, especially in Han-River.
      After the Han-River battle, the North Korean troops accomplished some improvement in the tactical capability such as Kum-River crossing operation. But, it was too late for achieving objective of the Korean War. Consequently, in order to understand Han-River crossing operation, we have to analyze strategic, operational and tactical level of conduct of river crossing operation together.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nalysing failure factors of the Han-River crossing operations conducted by North Korean troops in the early stage of Korean war. Commonly, there are two factors of the failure based on the strategic and operational leve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nalysing failure factors of the Han-River crossing operations conducted by North Korean troops in the early stage of Korean war. Commonly, there are two factors of the failure based on the strategic and operational level. Firstly, they didn't chase Korean Army in Seoul, so they couldn't secure bridges on the Han-River. Secondly, they had not enough river-crossing equipments suitable for Korean terrain.
      But it is difficult to explain all aspects of unsuccessful operation. So it was necessary to assess tactical level of North Korean troops during conduct of operations. In the initial phase, they weren't prepared well for the reconnaissance, infiltration, deception and fire support of the river-crossing operation, especially in Han-River.
      After the Han-River battle, the North Korean troops accomplished some improvement in the tactical capability such as Kum-River crossing operation. But, it was too late for achieving objective of the Korean War. Consequently, in order to understand Han-River crossing operation, we have to analyze strategic, operational and tactical level of conduct of river crossing operation together.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북한군은 국군의 한강선 방어를 허용했기 때문에 작전목표였던 국군의 주력을 섬멸하는데 실패했다. 전쟁 전반을 통틀어 북한의 가장 결정적인 실수 가운데 하나는 신속히 한강을 도하하는데 실패한 것이다. 그러나 유사한 상황이었음에도 북한군은 금강 도하작전은 매우 성공적으로 수행했다. 교량이 파괴되고 도하장비도 부족했던 동일한 상황에서 북한군의 금강 도하는 성공적으로 완수된 반면한강 도하에 실패했던 것을 어떻게 설명해야 할까? 기존 연구에서 주목하는 한강 교량 점령 실패나 도하장비의 부족은 군사전략 및 작전술 차원의 실패요인이었으며 이것으로 인해 전쟁목표 달성에 실패하고 진격속도가 저하되었다. 실질적으로 개별적인 도하작전의 성패는 전술적 능력에 의해 결정되었다. 전쟁 이전 북한군은 소련군의 교범을 번역하여 우수한 교리를 보유했지만 실제 이를 체득할 시간이 부족했다. 또한 도하에 필요한 주요장비는 부족했을 뿐만 아니라 늦게 도착했기 때문에 이를 운용해 볼 시간이 부족했고 도하훈련 역시도 실전을 고려하지 않고 행정적으로 수행되었다. 결국 북한군은 전쟁 초기의 도하작전 준비가 부족했다.
      한강 도하에서 북한군은 승리를 위한 결정적인 기회를 상실했다. 김포 방면의 6사단과 서울 방면의 3사단, 4사단, 105전차사단은 각각 6일, 8일 지연됨으로써 전쟁목표를 달성하는데 실패했다. 소련군의 도하작전 교리에서 강조된 정찰, 침투, 기만, 화력지원, 제병협동 등의 전술적 원칙들은 한강에서 전혀 실현되지 않았다. 한강 도하에서의 실패를 교훈으로 삼아 북한군은 전술적인 과오를 개선했지만 이미 결정적인 승리의 기회를 상실한 뒤였다.
      번역하기

      북한군은 국군의 한강선 방어를 허용했기 때문에 작전목표였던 국군의 주력을 섬멸하는데 실패했다. 전쟁 전반을 통틀어 북한의 가장 결정적인 실수 가운데 하나는 신속히 한강을 도하하는...

      북한군은 국군의 한강선 방어를 허용했기 때문에 작전목표였던 국군의 주력을 섬멸하는데 실패했다. 전쟁 전반을 통틀어 북한의 가장 결정적인 실수 가운데 하나는 신속히 한강을 도하하는데 실패한 것이다. 그러나 유사한 상황이었음에도 북한군은 금강 도하작전은 매우 성공적으로 수행했다. 교량이 파괴되고 도하장비도 부족했던 동일한 상황에서 북한군의 금강 도하는 성공적으로 완수된 반면한강 도하에 실패했던 것을 어떻게 설명해야 할까? 기존 연구에서 주목하는 한강 교량 점령 실패나 도하장비의 부족은 군사전략 및 작전술 차원의 실패요인이었으며 이것으로 인해 전쟁목표 달성에 실패하고 진격속도가 저하되었다. 실질적으로 개별적인 도하작전의 성패는 전술적 능력에 의해 결정되었다. 전쟁 이전 북한군은 소련군의 교범을 번역하여 우수한 교리를 보유했지만 실제 이를 체득할 시간이 부족했다. 또한 도하에 필요한 주요장비는 부족했을 뿐만 아니라 늦게 도착했기 때문에 이를 운용해 볼 시간이 부족했고 도하훈련 역시도 실전을 고려하지 않고 행정적으로 수행되었다. 결국 북한군은 전쟁 초기의 도하작전 준비가 부족했다.
      한강 도하에서 북한군은 승리를 위한 결정적인 기회를 상실했다. 김포 방면의 6사단과 서울 방면의 3사단, 4사단, 105전차사단은 각각 6일, 8일 지연됨으로써 전쟁목표를 달성하는데 실패했다. 소련군의 도하작전 교리에서 강조된 정찰, 침투, 기만, 화력지원, 제병협동 등의 전술적 원칙들은 한강에서 전혀 실현되지 않았다. 한강 도하에서의 실패를 교훈으로 삼아 북한군은 전술적인 과오를 개선했지만 이미 결정적인 승리의 기회를 상실한 뒤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온창일, "한민족전쟁사" 집문당 2001

      2 박명림, "한국전쟁의 발발과 기원 1 : 결정과 발발" 나남출판 1996

      3 손장래, "한국전쟁시 피·아 기갑운용" 기계화학교 1969

      4 육군본부 군사연구실, "한국전쟁사의 새로운 연구 1" 육군본부 2004

      5 육군사관학교 전사학과, "한국전쟁사 부도" 황금알 2005

      6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전쟁, 문서와 자료, 1905-1953년" 2006

      7 김광수, "한국전쟁 중 북한군의 기갑운용연구" 화랑대연구소 2004

      8 김광수, "한국전쟁 전반기 북한의 전쟁수행 연구 : 전략, 작전지휘 및 동맹관계" 경남대학교 북한대학원 2008

      9 사회과학원력사연구소, "조선전사 제25권" 사회과학원 력사연구소 1981

      10 허종호, "조국해방전쟁사 제1권" 사회과학출판사 1983

      1 온창일, "한민족전쟁사" 집문당 2001

      2 박명림, "한국전쟁의 발발과 기원 1 : 결정과 발발" 나남출판 1996

      3 손장래, "한국전쟁시 피·아 기갑운용" 기계화학교 1969

      4 육군본부 군사연구실, "한국전쟁사의 새로운 연구 1" 육군본부 2004

      5 육군사관학교 전사학과, "한국전쟁사 부도" 황금알 2005

      6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전쟁, 문서와 자료, 1905-1953년" 2006

      7 김광수, "한국전쟁 중 북한군의 기갑운용연구" 화랑대연구소 2004

      8 김광수, "한국전쟁 전반기 북한의 전쟁수행 연구 : 전략, 작전지휘 및 동맹관계" 경남대학교 북한대학원 2008

      9 사회과학원력사연구소, "조선전사 제25권" 사회과학원 력사연구소 1981

      10 허종호, "조국해방전쟁사 제1권" 사회과학출판사 1983

      11 조선인민군 총참모부, "야전규정" 1948

      12 장성진, "북한군 군사교리의 형성과 운용에 관한 연구" 북한대학원대학교 2014

      13 "북한군 교리 22-9-2 『집단군(군단)·사(여)단』"

      14 정보사령부, "북괴군 공병운용" 정보사령부 2000

      15 러 국방부, "러시아가 본 한국전쟁" 오비기획 2002

      16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라주바예프의 6·25전쟁보고서 제2권"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2001

      17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라주바예프의 6·25전쟁보고서 제1권"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2001

      18 주영복, "내가 겪은 조선전쟁 제1권" 고려원 1991

      19 장성진, "낙동강 영산전투시 북한군의 도하작전 분석"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78) : 129-167, 2011

      20 나종남, "군사작전을 통해 본 6.25 전쟁" 양서각 2018

      21 "강행도하"

      22 國防戰史硏硏究所, "鳥山-大田戰鬪" 국방부전사편찬위원회 1993

      23 일본 육전사연구보급회, "韓國戰爭" 명성출판사 1991

      24 민족보위성 전투훈련국, "『군사지식』8호 (1950년 8월) US NARA RG 242 Captured Enemy Document(North Korea)Doc. No. 200858 - 박기환, “한강 도하작전에서 나타난 몇가지 문제”"

      25 민족보위성 전투훈련국, "『군사지식』8호 (1950년 8월) US NARA RG 242 Captured Enemy Document(North Korea)Doc. No. 200858 - 김도일, “한강 도하시 선견대로서의 보병대대”"

      26 Gordon L. Rotman, "World War Ⅱ River Assault Tactics" Osprey Publishing 2013

      27 Appleman, Roy E., "South to the Naktong, North to the Yalu" US GPO 1960

      28 육군본부 군사연구실, "6‧25전쟁 실패사례와 교훈" 육군본부 2004

      29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6·25전쟁 참전자 증언록"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03

      30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6·25戰爭史 3 : 漢江線 防禦와 初期 遲延作戰"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06

      31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6·25戰爭史 2 : 北韓의 全面南侵과 初期 防禦戰鬪"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06

      32 육군사관학교 전사학과, "6.25전쟁 60대 전투" 황금알 2011

      33 정병준, "38선 충돌과 전쟁의 형성" 돌베개 2006

      34 국방부전사편찬위원회, "38도선 초기전투 : 서부전선편" 국방부전사편찬위원회 198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7-10-23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Military History Institute, MND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6-2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military history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9 0.69 0.6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3 0.6 1.024 0.3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