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브로델과 마르크스주의 = Braudel and Marxis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09770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1960s, French Marxist Louis Althusser relied on structuralism to redefine Marxism as a rigorous and strict science. Louis Althusser’s attempt gave Marxism a new boost, and achieved international success. But the situation did not last long, because Louis Althusser’s Marxism based on structuralism has ruled out the possibility of a change in reality. In the end, Louis Althusser, with self-criticism, ceases to redefine Marxism as a rigorous and strict science. And at the end of the 1970s, he insist on the “crisis” and the “transformation” of Marxism.
      It was Fernand Braudel’s history that provided new possibilities for the transformation of Marxism. After the publication of Civilisation matérielle, économie et capitalisme, XVe et XVIIIe siècles in 1979, Fernand Braudel began to attract attention of Marxists. The theory and the concepts of Fernand Braudel were accepted by Marxists and used as a means to seek the transformation of Marxism.
      This article examines the encounter between Fernand Braudel and Marxism. Our interest is the relation between Marxism and Fernand Braudel's historical ideas and the impact of Fernand Braudel on the historical flow of Marxism.
      번역하기

      In the 1960s, French Marxist Louis Althusser relied on structuralism to redefine Marxism as a rigorous and strict science. Louis Althusser’s attempt gave Marxism a new boost, and achieved international success. But the situation did not last long, b...

      In the 1960s, French Marxist Louis Althusser relied on structuralism to redefine Marxism as a rigorous and strict science. Louis Althusser’s attempt gave Marxism a new boost, and achieved international success. But the situation did not last long, because Louis Althusser’s Marxism based on structuralism has ruled out the possibility of a change in reality. In the end, Louis Althusser, with self-criticism, ceases to redefine Marxism as a rigorous and strict science. And at the end of the 1970s, he insist on the “crisis” and the “transformation” of Marxism.
      It was Fernand Braudel’s history that provided new possibilities for the transformation of Marxism. After the publication of Civilisation matérielle, économie et capitalisme, XVe et XVIIIe siècles in 1979, Fernand Braudel began to attract attention of Marxists. The theory and the concepts of Fernand Braudel were accepted by Marxists and used as a means to seek the transformation of Marxism.
      This article examines the encounter between Fernand Braudel and Marxism. Our interest is the relation between Marxism and Fernand Braudel's historical ideas and the impact of Fernand Braudel on the historical flow of Marxism.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1960년대 프랑스의 마르크스주의자 루이 알튀세르는 구조주의의 도입을 통해 마르크스주의를 엄밀한 과학으로 재정립하고자 했다. 알튀세르의 시도는 마르크스주의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었고, 국제적인 성공을 이뤄냈다. 그러나 이러한 정세는 오래가지 못했다. 구조주의에 기반한 알튀세르의 마르크스주의는 변화를 사고할 수 없는 자기모순에 빠졌기 때문이다. 결국 알튀세르는 자기비판과 함께 마르크스주의를 엄밀한 과학으로 정립하려는 시도를 중단한다. 그리고 1970년대 막바지에 이르면 “마르크스주의의 총체적인 위기”와 “전화”의 필요성을 주장한다.
      마르크스주의의 전화를 위한 새로운 가능성을 제공한 것은 페르낭 브로델의 역사학이었다. 1979년 『물질문명과 자본주의』의 출간 이후 브로델은 마르크스주의자들의 관심을 끌기 시작했다. 브로델이 역사 연구의 과정에서 제기한 문제들과 제시한 개념들은 마르크스주의자들에게 수용되었고, 마르크스주의의 전화를 모색하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되었다.
      이 글은 브로델과 마르크스주의의 만남에 대해 고찰해보고자 한다. 마르크스주의자들이 브로델의 역사사상과 만나게 되는 구체적인 과정과 그 결과 브로델이 마르크스주의의 역사적 흐름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번역하기

      1960년대 프랑스의 마르크스주의자 루이 알튀세르는 구조주의의 도입을 통해 마르크스주의를 엄밀한 과학으로 재정립하고자 했다. 알튀세르의 시도는 마르크스주의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

      1960년대 프랑스의 마르크스주의자 루이 알튀세르는 구조주의의 도입을 통해 마르크스주의를 엄밀한 과학으로 재정립하고자 했다. 알튀세르의 시도는 마르크스주의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었고, 국제적인 성공을 이뤄냈다. 그러나 이러한 정세는 오래가지 못했다. 구조주의에 기반한 알튀세르의 마르크스주의는 변화를 사고할 수 없는 자기모순에 빠졌기 때문이다. 결국 알튀세르는 자기비판과 함께 마르크스주의를 엄밀한 과학으로 정립하려는 시도를 중단한다. 그리고 1970년대 막바지에 이르면 “마르크스주의의 총체적인 위기”와 “전화”의 필요성을 주장한다.
      마르크스주의의 전화를 위한 새로운 가능성을 제공한 것은 페르낭 브로델의 역사학이었다. 1979년 『물질문명과 자본주의』의 출간 이후 브로델은 마르크스주의자들의 관심을 끌기 시작했다. 브로델이 역사 연구의 과정에서 제기한 문제들과 제시한 개념들은 마르크스주의자들에게 수용되었고, 마르크스주의의 전화를 모색하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되었다.
      이 글은 브로델과 마르크스주의의 만남에 대해 고찰해보고자 한다. 마르크스주의자들이 브로델의 역사사상과 만나게 되는 구체적인 과정과 그 결과 브로델이 마르크스주의의 역사적 흐름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Bensussan, Gérard, "Étudier Marx" C.N.R.S. 1985

      2 Lefebvre, Henri, "Une pensée devenue monde : Faut-il abandonner Marx?" Fayard 1980

      3 Khrushchyov, Nikita, "The Stalinist Legacy" Harmondsworth 1984

      4 Wallerstein, Immanuel, "The Modern World-System, Vol.I-IV"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11

      5 Editorial Department of the PEOPLE’S DAILY, "The Historical Experience of the Dictatorship of the Proletariat" Foreign Languages Press 1956

      6 Kaye, Harvey J., "The British Marxist Historians" Polity Press 1984

      7 Rey, Pierre-Philippe, "Sur l’articulation des modes de production" École pratique des hautes études 1971

      8 Althusser, Louis, "Solitude de Machiavel" PUF 1998

      9 Althusser, Louis, "Radical Philosophy, Vol.12" 1975

      10 Balibar, Etienne, "Race, nation, classe. Les Identités ambiguës" La Découverte 1988

      1 Bensussan, Gérard, "Étudier Marx" C.N.R.S. 1985

      2 Lefebvre, Henri, "Une pensée devenue monde : Faut-il abandonner Marx?" Fayard 1980

      3 Khrushchyov, Nikita, "The Stalinist Legacy" Harmondsworth 1984

      4 Wallerstein, Immanuel, "The Modern World-System, Vol.I-IV"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11

      5 Editorial Department of the PEOPLE’S DAILY, "The Historical Experience of the Dictatorship of the Proletariat" Foreign Languages Press 1956

      6 Kaye, Harvey J., "The British Marxist Historians" Polity Press 1984

      7 Rey, Pierre-Philippe, "Sur l’articulation des modes de production" École pratique des hautes études 1971

      8 Althusser, Louis, "Solitude de Machiavel" PUF 1998

      9 Althusser, Louis, "Radical Philosophy, Vol.12" 1975

      10 Balibar, Etienne, "Race, nation, classe. Les Identités ambiguës" La Découverte 1988

      11 Althusser, Louis, "Pour Marx" La Découverte 1986

      12 Althusser, Louis, "Positions" Éditions sociales 1976

      13 Kant, Immanuel, "On History" Macmillan 1963

      14 Marx, Karl, "L’Idéologie allemande" Éditions sociales 1965

      15 Dosse, François, "L’Histoire en miettes. Des “Annales” à la “nouvelle histoire”" La Découverte 1987

      16 Althusser, Louis, "Lire le capital" Presses Universitaires France 2008

      17 Balibar, Etienne, "La philosophie de Marx" La Découverte 1993

      18 Balibar, Etienne, "La crainte des masses: politique et philosophie avant et après Marx" Galilee 1997

      19 Braudel, Fernand, "La Méditerranée et le monde méditerranéen à l'époque de Philippe II, tome 1-2" Armand Colin 1966

      20 Aglietta, Michel, "Into a New Growth Regime" (54) : 2008

      21 Bidet, Jacques, "Entretien avec Jacques Bidet"

      22 Althusser, Louis, "Eléments d'Autocritique" Hachette 1974

      23 Braudel, Fernand, "Ecrits sur l’histoire" Flammarion 1969

      24 Stalin, Joseph, "Dialectical and Historical Materialism" CreateSpace Independent Publishing Platform 2013

      25 Braudel, Fernand, "Civilisation matérielle, économie et capitalisme, XVe et XVIIIe siècles, tome 1-3" Armand Colin 197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12-28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서양문화사학회 -> 한국세계문화사학회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Western Civilization -> Korea Association of World History and Culture
      KCI등재
      2018-12-2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서양 역사와 문화 연구 -> 세계 역사와 문화 연구
      외국어명 : Journal of Western History and Culture -> World History and Culture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12-3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서양사학연구 -> 서양 역사와 문화 연구
      외국어명 : Journal of Western History -> Journal of Western History and Culture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 0.3 0.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2 0.29 0.671 0.0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