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박지나, "혼잡지각에 따른 방문객 만족과 자연휴양시설의사회심리적 수용력 추정에 관한 연구" 한국관광학회 33 (33): 93-110, 2009
2 홍성도, "혼잡지각과 관광객의 감정적 반응 및 행동조정에 관한 연구" 한국관광학회 28 (28): 187-203, 2004
3 박종철, "호텔 내 혼잡성에 따른 감정지각이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 서울시내 특급호텔을 중심으로 -" 대한관광경영학회 24 (24): 381-399, 2009
4 최영기, "축제 방문객의 혼잡 지각과 체험만족, 행동의도와의 영향관계" 관광경영학회 19 (19): 273-290, 2015
5 문성민, "조우규범과 개인 공간 유지성향이 혼잡지각에 미치는 영향" 대한관광경영학회 22 (22): 41-63, 2007
6 이남휘, "장소성 형성의 인과구조 실증적 분석 - 서울 홍대지역을 대상으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6 (46): 19-36, 2011
7 이무용, "장소마케팅 전략의 문화적 개념과 방법론에 관한 고찰" 대한지리학회 41 (41): 39-57, 2006
8 임승빈, "장소 경험 분석을 통한 도시 내 장소성 특성 연구" 한국조경학회 39 (39): 46-56, 2011
9 김상철, "일상문화 관점을 적용한 도시노후주거지역의 장소성과 진정성 분석 -광주광역시 북구 중흥동 와우산 일대를 사례로 -" 한국지역지리학회 19 (19): 111-129, 2013
10 박종선, "슬로시티 방문객의 웰니스 라이프스타일별 슬로시티 속성의 중요도, 혼잡지각 및 극복행동에 대한 태도의 차이" 한국관광학회 38 (38): 185-205, 2014
1 박지나, "혼잡지각에 따른 방문객 만족과 자연휴양시설의사회심리적 수용력 추정에 관한 연구" 한국관광학회 33 (33): 93-110, 2009
2 홍성도, "혼잡지각과 관광객의 감정적 반응 및 행동조정에 관한 연구" 한국관광학회 28 (28): 187-203, 2004
3 박종철, "호텔 내 혼잡성에 따른 감정지각이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 서울시내 특급호텔을 중심으로 -" 대한관광경영학회 24 (24): 381-399, 2009
4 최영기, "축제 방문객의 혼잡 지각과 체험만족, 행동의도와의 영향관계" 관광경영학회 19 (19): 273-290, 2015
5 문성민, "조우규범과 개인 공간 유지성향이 혼잡지각에 미치는 영향" 대한관광경영학회 22 (22): 41-63, 2007
6 이남휘, "장소성 형성의 인과구조 실증적 분석 - 서울 홍대지역을 대상으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6 (46): 19-36, 2011
7 이무용, "장소마케팅 전략의 문화적 개념과 방법론에 관한 고찰" 대한지리학회 41 (41): 39-57, 2006
8 임승빈, "장소 경험 분석을 통한 도시 내 장소성 특성 연구" 한국조경학회 39 (39): 46-56, 2011
9 김상철, "일상문화 관점을 적용한 도시노후주거지역의 장소성과 진정성 분석 -광주광역시 북구 중흥동 와우산 일대를 사례로 -" 한국지역지리학회 19 (19): 111-129, 2013
10 박종선, "슬로시티 방문객의 웰니스 라이프스타일별 슬로시티 속성의 중요도, 혼잡지각 및 극복행동에 대한 태도의 차이" 한국관광학회 38 (38): 185-205, 2014
11 이혁기, "스포츠, 공간, 사회: 스포츠공간에 관한 공간사회학적 고찰" 한국체육학회 52 (52): 117-128, 2013
12 백선혜, "소도시의 문화예술축제 도입과 장소성의 인위적 형성" 대한지리학회 39 (39): 888-906, 2004
13 유현준, "보스턴 뉴버리 스트리트의 이벤트 밀도 분석" 한국공간디자인학회 6 (6): 91-98, 2011
14 강도원, "방문자 특성에 따른 장소성 인식과 행동의도와의 인과구조분석 -홍대지역 대상으로 -"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7 (47): 363-379, 2012
15 변찬복, "문학공간의 장소성 분석에 근거한 관광콘텐츠화 방안 : <탁류>를 대상으로" 대한관광경영학회 31 (31): 69-90, 2016
16 신병윤, "마을재생사업의 장소성과 일상의 관계에 관한 연구 - 부산광역시 좌천동을 대상으로 -"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18 (18): 1-12, 2016
17 유현준, "도심 內 걷고 싶은 거리의 이벤트 밀도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6 (6): 93-102, 2011
18 김진옥, "도시민의 지각된 스트레스가 자연기반 치유회복환경의 회복경험을 통해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주의회복이론을 중심으로 -" 한국관광학회 42 (42): 51-70, 2018
19 심창섭, "도시관광에서 장소의 의미 - Relph의 장소와 장소상실을 중심으로 -" 관광연구소 26 (26): 27-43, 2014
20 이승길, "국립공원 탐방객의 혼잡지각이 감정, 만족, 태도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관광연구학회 30 (30): 121-134, 2016
21 이남희, "관광지 주민의 혼잡지각이 감정과 대응행동에 미치는 영향" 대한관광경영학회 30 (30): 157-185, 2015
22 김지희, "관광객의 혼잡도 지각, 감정, 만족도, 그리고 신뢰 간 구조적 영향관계 분석: 여수엑스포의 개최 공간을 중심으로" 한국고객만족경영학회 16 (16): 25-40, 2014
23 Yoo, H. J, "What does a city live in: Fifteen human gaze to see the city" Eulyoo Publishing 2015
24 Kim, N. J, "The relationships between expectancy on crowding, perceived crowding, and satisfaction in social carrying capacity on ‘99 Kangwon international travel Expo" 24 (24): 243-257, 2000
25 Kim, N. J, "The different perceptions, attitudes, and expected behaviors on the tourist destination between hosts and guests" 25 (25): 43-62, 2001
26 Lee, S. H, "The ambiguous concepts of place and placeness" 32 (32): 169-184, 1997
27 전태준, "The Analysis on Research Trend of Perceived Crowding in Social Carrying Capacity"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 35 (35): 199-206, 2011
28 Manning, R. E, "Studies in Outdoor Recreation" Oregon State University Press 1986
29 Jung, C. Y, "Statistical analysis using SPSS WIN" Muyok publishing 2009
30 Chae. S. I, "Social science research methodology(4th ed.)" BNM Books 2016
31 Korea Tourism Organization, "Social media Big data utilization travel trend analysis" 2017
32 Machleit, K. A, "Perceived retail crowding and shopping satisfaction : What modifies this relationship?" 9 (9): 29-42, 2000
33 Amberger, A, "Past on-site experience, crowding perceptions, and use displacement of visitor groups to a peri-urban national park" 40 (40): 34-45, 2007
34 Stokols, D, "On the distinction between density and crowding: Some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79 (79): 275-277, 1972
35 Gifford, R, "Environmental psychology: Principles and practice(3rd ed)" Optimal Books 2002
36 Machleit, K. A, "Emotional response and shopping satisfaction : Moderating effects of shopper attributions" 54 (54): 97-106, 2001
37 Vaske, J. J, "Crowding as a descriptive indicator and an evaluative standard: Results from 30 years of research" 30 (30): 111-126, 2008
38 Kaya, N, "Cross-cultural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crowding and privacy regulation: American and Turkish students" 23 (23): 301-309, 2003
39 Shin, M. C, "Basics of social research methods" Changmin Books 2007
40 Jeju Headquarters, Bank of Korea, "Analysis of consumption characteristics of Jeju tourists using credit card Big Data" Jeju Economic Brief 2016
41 Lee, J, "Analysis of activity patterns of tourist in Jeju using Big Data" Jeju Headquarters, Bank of Korea 2016
42 Shim, W. S, "An empirical study on the influence of perceived crowding on emotional response and the stay hour change" 19 (19): 207-230, 2006
43 Li, J. G. T, "An empirical examination of perceived retail corowding emotions, and retail outcomes" 29 (29): 633-652, 2009
44 Heo, Y. S,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plan of smart tourism city in Jeju" 21 : 51-82, 2018
45 Gigliotti, L. M, "2010 Black Hills deer hunter survey report" Game, Fish and Parks Department, Division of Wildlife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