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문헌동시인용 분석을 통한 한국학 지식구조 파악: 주체 인식과 타자 인식의 차이 = Detection of Knowledge Structure of Korean Studies Using Document Co-citation Analysis: the Difference between Self-perception and Others' Percep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05671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detect the knowledge structure of Korean studies using document co-citation analysis and text mining techniques. This study divided Korean corpus into two perspectives: Self-perceived and others' perceived Korean studies. To this end, we collected 10,929 humanities and social literature containing the word Korea or Korean as a keyword in the SCOPUS database. As a result of analysis, a total of 20 subdomains were found in the knowledge structure of self-perception, and a total of 14 subdomains were found in the knowledge structure of otherts' perception. Differences in Korean Studies between two are: First, the sub-area of self-perceived Korean studies is subdivided into more diverse areas than the sub-area of other-perceived Korean studies. Second the major areas in self-perceived Korean studies are customers and services, industrialization, multiculturalism, mental health, tourism, Korean language, environment, and cities. Others' perceptions of Korean Studies are grouped into domestic and foreign situations of Korea, Korean pop culture, Koreans as US immigrants, and Korean language. Finally, the common areas of self-perception and others' perception were mental health, tourism, Korean language, North-Korean defectors, and juvenile delinquency.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detect the knowledge structure of Korean studies using document co-citation analysis and text mining techniques. This study divided Korean corpus into two perspectives: Self-perceived and others' perceived Korean studies. To this en...

      This study aims to detect the knowledge structure of Korean studies using document co-citation analysis and text mining techniques. This study divided Korean corpus into two perspectives: Self-perceived and others' perceived Korean studies. To this end, we collected 10,929 humanities and social literature containing the word Korea or Korean as a keyword in the SCOPUS database. As a result of analysis, a total of 20 subdomains were found in the knowledge structure of self-perception, and a total of 14 subdomains were found in the knowledge structure of otherts' perception. Differences in Korean Studies between two are: First, the sub-area of self-perceived Korean studies is subdivided into more diverse areas than the sub-area of other-perceived Korean studies. Second the major areas in self-perceived Korean studies are customers and services, industrialization, multiculturalism, mental health, tourism, Korean language, environment, and cities. Others' perceptions of Korean Studies are grouped into domestic and foreign situations of Korea, Korean pop culture, Koreans as US immigrants, and Korean language. Finally, the common areas of self-perception and others' perception were mental health, tourism, Korean language, North-Korean defectors, and juvenile delinquenc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전성운, "한국학의 개념과 세계화의 방안" 한국학연구소 (32) : 317-337, 2010

      2 김승환, "한국학의 갈래와 개념" 배달말학회 (47) : 283-307, 2010

      3 송민선, "한국학 분야의 지식 구조 분석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 49 (49): 125-157, 2015

      4 김석득, "프랑스에서의 한국학과 언어학 연구의 흐름" 39 : 253-258, 1983

      5 오가레크 최, "폴란드에서의 한국학연구 현황" 6 : 209-212, 1990

      6 이병도, "태국의 한국학 연구 현황과 문제점" 2 : 173-193, 2003

      7 송현호, "중앙민족대학의 한국학 현황과 과제" 한중인문학회 (40) : 329-354, 2013

      8 김윤태, "중국의 한국학 연구 동향" 중국연구소 38 (38): 2006

      9 양동훈, "중국의 한국학 석박사 졸업논문 현황과 특징 연구" 한국아시아학회 22 (22): 175-198, 2019

      10 송현호, "중국 지역의 한국학 현황" 한중인문학회 (35) : 463-504, 2012

      1 전성운, "한국학의 개념과 세계화의 방안" 한국학연구소 (32) : 317-337, 2010

      2 김승환, "한국학의 갈래와 개념" 배달말학회 (47) : 283-307, 2010

      3 송민선, "한국학 분야의 지식 구조 분석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 49 (49): 125-157, 2015

      4 김석득, "프랑스에서의 한국학과 언어학 연구의 흐름" 39 : 253-258, 1983

      5 오가레크 최, "폴란드에서의 한국학연구 현황" 6 : 209-212, 1990

      6 이병도, "태국의 한국학 연구 현황과 문제점" 2 : 173-193, 2003

      7 송현호, "중앙민족대학의 한국학 현황과 과제" 한중인문학회 (40) : 329-354, 2013

      8 김윤태, "중국의 한국학 연구 동향" 중국연구소 38 (38): 2006

      9 양동훈, "중국의 한국학 석박사 졸업논문 현황과 특징 연구" 한국아시아학회 22 (22): 175-198, 2019

      10 송현호, "중국 지역의 한국학 현황" 한중인문학회 (35) : 463-504, 2012

      11 김희전, "저자동시인용분석과 저자서지결합분석에 의한 지적 구조 분석: 사회복지학 분야를 중심으로" 한국정보관리학회 27 (27): 283-306, 2010

      12 김광재, "저자동시인용 분석방법을 이용한 혁신확산 연구의 지적구조: 커뮤니케이션학 영역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25 (25): 57-92, 2011

      13 허고은, "저자동시인용 분석과 동시출현단어 분석을 이용한 의료정보학 저널의 지적구조 분석" 한국정보관리학회 30 (30): 207-225, 2013

      14 김희정, "저자 동시인용분석에 의한 국내외 기록관리학 분야의 지적구조 비교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 39 (39): 207-224, 2005

      15 김재욱, "저자 동시 인용 분석을 통한 “관계 마케팅” 연구 동향 및 지적 구조 규명에 관한 연구 - 사회적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저자 관계를 중심으로 -" 한국마케팅학회 23 (23): 1-35, 2008

      16 이재윤, "자아 중심 주제 인용분석을 활용한 딥러닝 연구동향 분석" 한국정보관리학회 34 (34): 7-32, 2017

      17 함동주, "일본에서의 한국학 연구동향과 한국인식" 28 : 197-215, 2001

      18 김조아, "인용 이미지 구축자 프로파일링을 이용한 국내 여성학 분야 연구 전선 분석" 한국정보관리학회 33 (33): 201-225, 2016

      19 박영신, "유럽에서의 한국학 연구 동향 : 영국에서의 한국학 연구 동향" 39 : 247-252, 1983

      20 임지영, "심장혈관학 분야의 지적구조 규명에 관한 연구 - 국내와 미국을 중심으로 -" 한국비블리아학회 27 (27): 111-134, 2016

      21 임현진, "사회학에서의 한국학 연구동향 : 한국학의 세계화 전략 모색" 한국학연구소 (43) : 461-494, 2012

      22 곽선영, "복수저자기반 동시인용분석을 활용한 지적구조 분석: 경제학 분야를 중심으로" 한국정보관리학회 29 (29): 115-134, 2012

      23 박정신, "미국에서의 한국학동향" 18 : 23-32, 1999

      24 이재윤, "문헌동시인용 분석을 통한 한국 문헌정보학의 연구 전선 파악" 한국정보관리학회 32 (32): 77-106, 2015

      25 김현, "디지털 인문학 - 인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생 구도에 관한 구상 -" 인문콘텐츠학회 (29) : 9-26, 2013

      26 이정환, "동시인용분석 기반 지식영역 가시화 기법을 활용한 증강현실 연구 분석" 한국CDE학회 18 (18): 309-320, 2013

      27 김영진, "논문의 동시인용을 통한 지적구조의 규명에 관한 연구" 3 (3): 103-135, 1986

      28 송민선, "국내 한국학 분야의 연구 영역 식별을 위한 거시적 지식구조 분석 연구" 한국정보관리학회 32 (32): 221-236, 2015

      29 김영준, "국내 언론학의 지적 구조 매핑(Mapping)에 관한 연구: 1989-2006년 저자동시인용 분석"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15 (15): 156-185, 2007

      30 이수상, "공저 네트워크 분석에 관한 기초연구 - 문헌정보학 분야 4개 학술지를 중심으로 -" 한국도서관·정보학회 41 (41): 297-315, 2010

      31 강범모, "공기 명사에 기초한 의미/개념 연관성의 네트워크 구성" 한국어의미학회 32 : 1-28, 2010

      32 White, H. D., "Visualizing a discipline : An author co‐citation analysis of information science, 1972–1995" 49 (49): 327-355, 1998

      33 Bonacich, P, "Some unique properties of eigenvector centrality" 29 (29): 555-564, 2007

      34 Elmacioglu, E., "On six degrees of separation in DBLP-DB and more" 34 (34): 33-40, 2005

      35 Garfield, E, "Is citation analysis a legitimate evaluation tool?" 1 (1): 359-375, 1979

      36 Blondel, V. D., "Fast unfolding of communities in large networks" 2008 (2008): P10008-, 2008

      37 Song, M., "Exploring author name disambiguation on PubMed-scale" 9 (9): 924-941, 2015

      38 Small, H, "Co‐citation in the scientific literature: A new measur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wo documents" 24 (24): 265-269, 1973

      39 White, H. D., "Author cocitation : A literature measure of intellectual structure" 32 (32): 163-171, 1981

      40 최기숙, "1950~1960년대 인문학 학회지에서의 한국학 연구 구성의 특징: 개념·범주·방법론" 열상고전연구회 (33) : 265-301,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11-1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KCI등재
      2014-10-2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12-29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도서관ㆍ정보학회 -> 한국도서관·정보학회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4 0.74 0.7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9 0.72 0.997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