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창립, "택재유타(澤齋遺唾)"
2 김신겸, "증소집(橧巢集)"
3 강혜선, "조선후기 윤증(尹拯) 가문의 부의식(父意識)과 아버지 상(像)" 돈암어문학회 32 : 75-105, 2017
4 김창흡, "삼연집(三淵集)"
5 유영봉, "문곡집 해제 : 조선의 한복판을 걸어간 김수항의 발자취 - 조선의 한복판을 걸어간 김수항의 발자취, 《문곡집(文谷集)》(고전번역서 해제)"
6 유영봉, "문곡집"
7 김창집, "몽와집(夢窩集)"
8 송기채, "농암집"
9 김창업, "노가재집(老稼齋集)"
10 김숭겸, "관복암시고(觀復菴詩稿)"
1 김창립, "택재유타(澤齋遺唾)"
2 김신겸, "증소집(橧巢集)"
3 강혜선, "조선후기 윤증(尹拯) 가문의 부의식(父意識)과 아버지 상(像)" 돈암어문학회 32 : 75-105, 2017
4 김창흡, "삼연집(三淵集)"
5 유영봉, "문곡집 해제 : 조선의 한복판을 걸어간 김수항의 발자취 - 조선의 한복판을 걸어간 김수항의 발자취, 《문곡집(文谷集)》(고전번역서 해제)"
6 유영봉, "문곡집"
7 김창집, "몽와집(夢窩集)"
8 송기채, "농암집"
9 김창업, "노가재집(老稼齋集)"
10 김숭겸, "관복암시고(觀復菴詩稿)"
11 김경희, "관복암시고 해제"
12 김남기, "金昌集의 삶과 시 세계" 태학사 12 : 347-371, 2008
13 박명희, "文谷 金壽恒의 시문에 구현된 靈巖 유배지에서의 생활" 호남학연구원 1 (1): 35-70, 2008
14 김세호, "17-18세기 壯洞金氏 淸陰派의 園林 文化 硏究" 성균관대학교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