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조선 후기 장동(壯洞) 김문(金門)의 부자간 수창시(酬唱詩) 연구 = A study on the poetry exchanged between father and son of Jangdong Kim's famil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26101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examined the meaning and significance of the poetry exchanged between father and sons of Jangdong Kim's family. The father and sons of Jangdong Kim's family enjoyed writing poems together. Kim Suhang wrote poems while traveling or living with his sons in Yeongam, Cheolwon, and Jindo, the exile sites. He also wrote poems while traveling or living with his sons in Baegunsan Mountain and Sambuyeon, where his sons stayed. Kim Suhang’s six sons also inherited his father's poetic tendencies. Kim Changjip exchanged poems with his son Kim Jekyum at exile Geoje Island, Kim Changhyeop exchanged poems with his son Kim Sungkyum at Baekunsan Mountain, and Kim Changhyup exchanged poems with his son Kim Yangkyum at Baekdam and other places. In these poems, the fathers and sons sometimes became comfortable and pleasant companions, sometimes consoling each other. First of all, they became friends who wrote poems together. They naturally embodied Jin󰠏shi(眞詩) in the process of writing poems in earnest about the emotions and the scenes they felt while traveling through the mountains and about the feelings they felt when they spent their daily lives with their family.
      번역하기

      This paper examined the meaning and significance of the poetry exchanged between father and sons of Jangdong Kim's family. The father and sons of Jangdong Kim's family enjoyed writing poems together. Kim Suhang wrote poems while traveling or living wi...

      This paper examined the meaning and significance of the poetry exchanged between father and sons of Jangdong Kim's family. The father and sons of Jangdong Kim's family enjoyed writing poems together. Kim Suhang wrote poems while traveling or living with his sons in Yeongam, Cheolwon, and Jindo, the exile sites. He also wrote poems while traveling or living with his sons in Baegunsan Mountain and Sambuyeon, where his sons stayed. Kim Suhang’s six sons also inherited his father's poetic tendencies. Kim Changjip exchanged poems with his son Kim Jekyum at exile Geoje Island, Kim Changhyeop exchanged poems with his son Kim Sungkyum at Baekunsan Mountain, and Kim Changhyup exchanged poems with his son Kim Yangkyum at Baekdam and other places. In these poems, the fathers and sons sometimes became comfortable and pleasant companions, sometimes consoling each other. First of all, they became friends who wrote poems together. They naturally embodied Jin󰠏shi(眞詩) in the process of writing poems in earnest about the emotions and the scenes they felt while traveling through the mountains and about the feelings they felt when they spent their daily lives with their famil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부자(父子) 사이의 한시 수창(酬唱)이 매우 활발하였던 조선 후기 장동(壯洞) 김문(金門)을 대상으로 부자간 수창시의 양상과 그 의미를 살펴보았다. 김수항(金壽恒)은 유배지 영암, 철원, 진도에서, 또 둘째 아들 김창협과 셋째 아들 김창흡의 은거지인 백운산, 삼부연 등에서 함께 생활하거나 여행하면서 여러 아들과 활발하게 한시를 수창 하였다. 이러한 양상은 다음 세대로 이어졌다. 첫째 아들 김창집(金昌集)은 유배지 거제도에서 김제겸(金濟謙)과, 김창협은 백운산, 미호 등에서 김숭겸(金崇謙)과, 김창흡은 백담 등에서 김양겸(金養謙)과 한시를 수창 하였다. 부자가 산수를 여행하며 주고받은 대량의 산수기행시들을 통해, 장동 김문의 아버지와 아들은 때로는 편안하고 즐거운, 때로는 위로가 되는 삶의 동반자가 되었으며, 무엇보다도 부자는 좋은 시우(詩友)가 되었다. 이들 문인은 가족과 함께 일상을 나누는 정감과 산수를 직접 밟으며 보고 느낀 정경을 진솔하게 한시로 써나가는 과정에서 진시를 자연스럽게 구현해 나갔다.
      번역하기

      본고는 부자(父子) 사이의 한시 수창(酬唱)이 매우 활발하였던 조선 후기 장동(壯洞) 김문(金門)을 대상으로 부자간 수창시의 양상과 그 의미를 살펴보았다. 김수항(金壽恒)은 유배지 영암, ...

      본고는 부자(父子) 사이의 한시 수창(酬唱)이 매우 활발하였던 조선 후기 장동(壯洞) 김문(金門)을 대상으로 부자간 수창시의 양상과 그 의미를 살펴보았다. 김수항(金壽恒)은 유배지 영암, 철원, 진도에서, 또 둘째 아들 김창협과 셋째 아들 김창흡의 은거지인 백운산, 삼부연 등에서 함께 생활하거나 여행하면서 여러 아들과 활발하게 한시를 수창 하였다. 이러한 양상은 다음 세대로 이어졌다. 첫째 아들 김창집(金昌集)은 유배지 거제도에서 김제겸(金濟謙)과, 김창협은 백운산, 미호 등에서 김숭겸(金崇謙)과, 김창흡은 백담 등에서 김양겸(金養謙)과 한시를 수창 하였다. 부자가 산수를 여행하며 주고받은 대량의 산수기행시들을 통해, 장동 김문의 아버지와 아들은 때로는 편안하고 즐거운, 때로는 위로가 되는 삶의 동반자가 되었으며, 무엇보다도 부자는 좋은 시우(詩友)가 되었다. 이들 문인은 가족과 함께 일상을 나누는 정감과 산수를 직접 밟으며 보고 느낀 정경을 진솔하게 한시로 써나가는 과정에서 진시를 자연스럽게 구현해 나갔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창립, "택재유타(澤齋遺唾)"

      2 김신겸, "증소집(橧巢集)"

      3 강혜선, "조선후기 윤증(尹拯) 가문의 부의식(父意識)과 아버지 상(像)" 돈암어문학회 32 : 75-105, 2017

      4 김창흡, "삼연집(三淵集)"

      5 유영봉, "문곡집 해제 : 조선의 한복판을 걸어간 김수항의 발자취 - 조선의 한복판을 걸어간 김수항의 발자취, 《문곡집(文谷集)》(고전번역서 해제)"

      6 유영봉, "문곡집"

      7 김창집, "몽와집(夢窩集)"

      8 송기채, "농암집"

      9 김창업, "노가재집(老稼齋集)"

      10 김숭겸, "관복암시고(觀復菴詩稿)"

      1 김창립, "택재유타(澤齋遺唾)"

      2 김신겸, "증소집(橧巢集)"

      3 강혜선, "조선후기 윤증(尹拯) 가문의 부의식(父意識)과 아버지 상(像)" 돈암어문학회 32 : 75-105, 2017

      4 김창흡, "삼연집(三淵集)"

      5 유영봉, "문곡집 해제 : 조선의 한복판을 걸어간 김수항의 발자취 - 조선의 한복판을 걸어간 김수항의 발자취, 《문곡집(文谷集)》(고전번역서 해제)"

      6 유영봉, "문곡집"

      7 김창집, "몽와집(夢窩集)"

      8 송기채, "농암집"

      9 김창업, "노가재집(老稼齋集)"

      10 김숭겸, "관복암시고(觀復菴詩稿)"

      11 김경희, "관복암시고 해제"

      12 김남기, "金昌集의 삶과 시 세계" 태학사 12 : 347-371, 2008

      13 박명희, "文谷 金壽恒의 시문에 구현된 靈巖 유배지에서의 생활" 호남학연구원 1 (1): 35-70, 2008

      14 김세호, "17-18세기 壯洞金氏 淸陰派의 園林 文化 硏究" 성균관대학교 201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7-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등재후보1차)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 0.8 0.7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4 0.6 1.448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