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어린이 기호식품의 당, 나트륨 및 지방류의 영양기준안 설정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Guideline Amounts of Sugar, Sodium and Fats in Processed Foods Met to Children’s Tast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57667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urrently, Korea is facing dramatic nutrition transition among children, which may increase risk of degenerative diseases due to excessive intakes of fats, sugars and sodium. Promotion of eating healthier foods among children is difficult because the present nutrition label is not easily understood. Therefore, to promote healthier foods this study was aimed at developing guidance of standard amounts of high, medium and low levels of sugars, sodium, fats and other components contained in foods or drinks that are promoted to or formulated for consumption by children. Multipronged approach was used to collecting information, including key word searches in Medline and other databases, internet searches, reports from world organization, and contact of key individuals who work in organizations. We reviewed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nutrient reference values, nutrient content claims of nutrition labeling, guideline daily amounts of United Kingdom, dietary guidelines and consumption data of nutrients, and selected components for labeling. And we decided goals of guideline daily amounts for children and nutrient criteria to underpin the high, medium and low content of each component. Then we collected data on processed foods sold at 12 middle schools and 11 high schools in Seoul, and classified processed foods into food category. Sales per one student per day were in the order of snacks, breads, and non-carbonated drinks. One hundred forty five mostly consumed products were selected and classified into criteria of high, medium and low total fat or sodium. Eighty five (58.6%) were classified into high fat food and only 11 (7.6%) into high sodium food, in case that the base is chosen per 100 g or 100 mL. In conclusion, the nutrient criteria and choice of 100 g base, which we suggest in this study, need to be tested by simulation with more processed foods and refined in view of the practical issues suggested by stakeholders in future. (Korean J Nutr 2008; 41(6): 561 ~ 572)
      번역하기

      Currently, Korea is facing dramatic nutrition transition among children, which may increase risk of degenerative diseases due to excessive intakes of fats, sugars and sodium. Promotion of eating healthier foods among children is difficult because the ...

      Currently, Korea is facing dramatic nutrition transition among children, which may increase risk of degenerative diseases due to excessive intakes of fats, sugars and sodium. Promotion of eating healthier foods among children is difficult because the present nutrition label is not easily understood. Therefore, to promote healthier foods this study was aimed at developing guidance of standard amounts of high, medium and low levels of sugars, sodium, fats and other components contained in foods or drinks that are promoted to or formulated for consumption by children. Multipronged approach was used to collecting information, including key word searches in Medline and other databases, internet searches, reports from world organization, and contact of key individuals who work in organizations. We reviewed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nutrient reference values, nutrient content claims of nutrition labeling, guideline daily amounts of United Kingdom, dietary guidelines and consumption data of nutrients, and selected components for labeling. And we decided goals of guideline daily amounts for children and nutrient criteria to underpin the high, medium and low content of each component. Then we collected data on processed foods sold at 12 middle schools and 11 high schools in Seoul, and classified processed foods into food category. Sales per one student per day were in the order of snacks, breads, and non-carbonated drinks. One hundred forty five mostly consumed products were selected and classified into criteria of high, medium and low total fat or sodium. Eighty five (58.6%) were classified into high fat food and only 11 (7.6%) into high sodium food, in case that the base is chosen per 100 g or 100 mL. In conclusion, the nutrient criteria and choice of 100 g base, which we suggest in this study, need to be tested by simulation with more processed foods and refined in view of the practical issues suggested by stakeholders in future. (Korean J Nutr 2008; 41(6): 561 ~ 572)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우리나라는 어린이를 중심으로 급격한 식생활 변화(nutrition transition)를 겪고 있으며, 이로 인해 나트륨, 당류, 지방 및 포화지방산의 섭취 증가로 인한 질병 발생위험이 높아질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현재의 영양표시가 어린이들이 이해하기에 어려운 측면이 있어 건강에 좋은 식품의 섭취를 진작시키기 어려운 상황이다. 본 연구는 어린이들이 보다 건강에 좋은 식품을 선택하는 정보를 쉽게 제공하기 위하여 어린이 기호식품의 영양위해성분 (당, 나트륨 및 지방류)의 함량에 따라 고, 중, 저로 표시하는 영양기준(안)을 설정하는데 목표를 두었다. 국내는 물론 제외국의 영양섭취기준, 영양표시를 위한 일일 영양소 기준치, 영양소함량강조 표시, 영국의 GDA (guideline daily amounts)와 신호등표시제, 식사지침 및 영양소섭취량 자료들을 검토 및 비교하였고, 제외국 어린이의 기호식품과 가공식품의 영양위해성분 영양기준 자료를 수집 및 평가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하여 어린이 기호식품과 가공식품 중의 영양위해성분을 선정하고 고, 중, 저로 표시하는 영양기준 근거를 마련하였다. 또한 서울지역 11개 중학교와 10개 고등학교 내 판매식품 · 가공식품에 대한 현황 조사와 1,812명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섭취실태 조사를 통해 다소비가공식품을 선정하였으며, 145개의 대표 가공식품을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영양기준안에 따라 분류하였다. 그 중 85개가 고지방식품으로 분류된 반면에 11개만이 고나트륨식품으로 분류되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제시한 영양기준안과 분량의 기준단위에 대한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더 많은 식품들에 대해 시뮬레이션 등의 검토가 필요하며, 산업체 등 이해당사자들의 의견 수렴 과정을 거쳐 현실적인 영양기준안으로 다듬어져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최근 우리나라는 어린이를 중심으로 급격한 식생활 변화(nutrition transition)를 겪고 있으며, 이로 인해 나트륨, 당류, 지방 및 포화지방산의 섭취 증가로 인한 질병 발생위험이 높아질 것으로 ...

      최근 우리나라는 어린이를 중심으로 급격한 식생활 변화(nutrition transition)를 겪고 있으며, 이로 인해 나트륨, 당류, 지방 및 포화지방산의 섭취 증가로 인한 질병 발생위험이 높아질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현재의 영양표시가 어린이들이 이해하기에 어려운 측면이 있어 건강에 좋은 식품의 섭취를 진작시키기 어려운 상황이다. 본 연구는 어린이들이 보다 건강에 좋은 식품을 선택하는 정보를 쉽게 제공하기 위하여 어린이 기호식품의 영양위해성분 (당, 나트륨 및 지방류)의 함량에 따라 고, 중, 저로 표시하는 영양기준(안)을 설정하는데 목표를 두었다. 국내는 물론 제외국의 영양섭취기준, 영양표시를 위한 일일 영양소 기준치, 영양소함량강조 표시, 영국의 GDA (guideline daily amounts)와 신호등표시제, 식사지침 및 영양소섭취량 자료들을 검토 및 비교하였고, 제외국 어린이의 기호식품과 가공식품의 영양위해성분 영양기준 자료를 수집 및 평가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하여 어린이 기호식품과 가공식품 중의 영양위해성분을 선정하고 고, 중, 저로 표시하는 영양기준 근거를 마련하였다. 또한 서울지역 11개 중학교와 10개 고등학교 내 판매식품 · 가공식품에 대한 현황 조사와 1,812명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섭취실태 조사를 통해 다소비가공식품을 선정하였으며, 145개의 대표 가공식품을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영양기준안에 따라 분류하였다. 그 중 85개가 고지방식품으로 분류된 반면에 11개만이 고나트륨식품으로 분류되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제시한 영양기준안과 분량의 기준단위에 대한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더 많은 식품들에 대해 시뮬레이션 등의 검토가 필요하며, 산업체 등 이해당사자들의 의견 수렴 과정을 거쳐 현실적인 영양기준안으로 다듬어져야 할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서론
      • 연구방법
      • ABSTRACT
      • 서론
      • 연구방법
      • 결과
      • 고찰
      • 요약
      • Literature cit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손지은, "한국청소년의 체격, 체력 및 비만도의 변화: 1956년에서 2004년까지"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 6 (6): 213-221, 2006

      2 박선성, "중학생의 가공식품에 대한 선호도와 식품·영양표시에 대한 인식도"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4 (24): 164-173, 2008

      3 현선미, "영양표시읽기 교육을 통한 초등학생의 식생활 태도 개선"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12 (12): 168-177, 2007

      4 조수희, "여고생의 영양지식,식태도,식습관 및 식품영양표시에 대한 인식"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12 (12): 519-533, 2007

      5 권광일, "시판 가공식품의 영양표시 실태 조사"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12 (12): 206-213, 2007

      6 심재은, "서울 및 근교에 거주하는 한국인의 연령별 식생활 비교 및 평가: (3) 만성퇴행성질환의 위험요인" 한국영양학회 35 (35): 78-89, 2002

      7 Boulton TJ, "Tracking of serum lipids and dietary energy, fat and calcium intake from 1 to 15 years" 84 : 1050-1055, 1995

      8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 Third Korea National Health &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III), 2005" Health Examination 2006

      9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 Third Korea National Health &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III), 2005" Nutrition Survey 2006

      10 Rayner M, "The Origin of guideline daily amounts and the food standards agency's guidance on what counts as ‘a lot’ and ‘a little’" 7 (7): 549-556, 2003

      1 손지은, "한국청소년의 체격, 체력 및 비만도의 변화: 1956년에서 2004년까지"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 6 (6): 213-221, 2006

      2 박선성, "중학생의 가공식품에 대한 선호도와 식품·영양표시에 대한 인식도"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4 (24): 164-173, 2008

      3 현선미, "영양표시읽기 교육을 통한 초등학생의 식생활 태도 개선"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12 (12): 168-177, 2007

      4 조수희, "여고생의 영양지식,식태도,식습관 및 식품영양표시에 대한 인식"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12 (12): 519-533, 2007

      5 권광일, "시판 가공식품의 영양표시 실태 조사"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12 (12): 206-213, 2007

      6 심재은, "서울 및 근교에 거주하는 한국인의 연령별 식생활 비교 및 평가: (3) 만성퇴행성질환의 위험요인" 한국영양학회 35 (35): 78-89, 2002

      7 Boulton TJ, "Tracking of serum lipids and dietary energy, fat and calcium intake from 1 to 15 years" 84 : 1050-1055, 1995

      8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 Third Korea National Health &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III), 2005" Health Examination 2006

      9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 Third Korea National Health &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III), 2005" Nutrition Survey 2006

      10 Rayner M, "The Origin of guideline daily amounts and the food standards agency's guidance on what counts as ‘a lot’ and ‘a little’" 7 (7): 549-556, 2003

      11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Dietary References Intakes for Koreans; 2005"

      12 Kim SH, "Sugar supply and intake of Koreans" 40 : 22-28, 2007

      1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Report on 2001 National Health & Nutrition Survey" Nutrition Survey 2002

      14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Report on 1998 National Health & Nutrition Survey" Nutrition Survey 1999

      15 Working Group Report, "Report of the IGD/PIC Industry Nutrition Strategy Group Technical Working Group on Guideline Daily Amounts (GDAs)" IGD 2005

      16 Davis MM, "Recommendations for prevention of childhood obesity" 120 : 229-253, 2007

      17 Food Standard Australia New Zealand, "Preliminary Final Assessment Report P293 Nutrition, Health and Related Claims" Draft Standard 2007

      18 Park HK, "Policy for reducing trans fat contents in processed foods" 40 (40): 2-5, 2007

      19 Azaïs-Braesco V, "Nutrient profiling: comparison and critical analysis of existing systems" 9 (9): 613-622, 2006

      20 Rayner M, "Nutrient profiles: Options for definitions for use in relation to food promotion and children’s diets" Department of Public Health, University of Oxford 2004

      21 Rayner M, "Nutrient pro files: Development of final model" Department of Public Health, University of Oxford 2005

      22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Study on Determination of Reference Amounts of Food and Serving Size; 2004"

      23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ood labeling"

      24 "Institute of Medicine,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energy, carbohydrate, fiber, fat, fatty acids, cholesterol, protein, and amino acids"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2002

      25 Øverby NC, "High intakes of added sugar among Norwegian children and adolescents" 7 (7): 285-293, 2003

      26 "Health Canada"

      27 Food Standards Agency, "Front-of-pack Traffic Light Signpost Labelling Technical Guidance" Issue 2007

      28 US FDA, "Food Labeling, Code of Federal Regulations" 101 : 1-, 2004

      29 Steyn NP, "Evidence to support a foodbased dietary guideline on sugar consumption in South Africa" 81 (81): 599-608, 2002

      30 Cho SH, "Establishment of total sugar reference value for Koreans" 40 : 3-8, 2007

      31 World Heath Organization, "Diet, Nutrition and the Prevention of Chronic Diseases"

      32 "Codex Alimentarius Commission (CAC). Guidelines for Use of Nutrition Claims. CAC/GL 23-1997, Rome, CAC;"

      33 Frary CD, "Children and adolescents’ choices of foods and beverages high in added sugars are associated with intakes of key nutrients and food groups" 34 : 56-63, 2004

      34 Ernst ND, "Child health and nutrition: Obesity and high blood cholesterol" 23 : 427-436, 1994

      35 COI Communications & The Food Standards Agency, "COI Communications & The Food Standards Agency. Investigation of consumer understanding of sugars labelling on front of pack nutritional signposts, with specific reference to breakfast cereals. Final Report, May 2007"

      36 "CFSAN Office of Nutritional Products, Labeling and Dietary Supplements. Questions and Answers about Trans Fat Nutrition Labeling. Jan. 1,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3-07-2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영양학회지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외국어명 : The Korean Journal of Nutrition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6 0.86 1.0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8 1.11 1.778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