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이 예견되는 현재, 인간의 노동가치가 인공지능으로 대체되고 안정된 고용 기회가 축소되는 과도기적 시점에 제시하는 본인의 대안적 가상현실 작업에 관한 것이다.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286547
김원화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2019
Korean
예술적 가상현실 ; 현실과 게임의 중간지대 ; 노동 ; 여가 ; 원룸 ; artistic virtual reality ; mid-ground between reality and game ; labor ; leisure ; one-room
KCI등재
학술저널
75-89(15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이 예견되는 현재, 인간의 노동가치가 인공지능으로 대체되고 안정된 고용 기회가 축소되는 과도기적 시점에 제시하는 본인의 대안적 가상현실 작업에 관한 것이다. ...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이 예견되는 현재, 인간의 노동가치가 인공지능으로 대체되고 안정된 고용 기회가 축소되는 과도기적 시점에 제시하는 본인의 대안적 가상현실 작업에 관한 것이다. 4차 산업으로의 변화양상은 개인의 소득을 감소시키고 점유할 수 있는 공간마저도 작은 원룸으로 축소시킨다. 이 변화를 반기술적 태도로 받아들이지 않고 인공지능에 의한 노동으로부터의 해방이라는 기술 유토피아적 관점에서 본다면 자신의 작은 공간에서 노동과 여가를 통합하고 예술적 자유를 누릴 수 있는 새로운 차원의 주체적 삶을 기대해 볼 수 있다. 그러나 전통적 관점에 따라 노동과 여가의 시공간은 명확하게 분리되어있고 여전히 미래에 대한 불안과 경제적 결핍이 공존한다. 이러한 불안을 예술적으로 해소하기 위해 현실과 게임의 중간지대를 대안적 가상현실로 제시한다. 우선 이 글에서는 3D 게임의 예술적 가능성과 한계를 밝히고 그 대안인 예술적 가상현실의 필요성에 대해 다룬다. 그리고 이러한 관점에서 만들어진 작품인 “원룸어드벤처: 세운”을 제작하게 된 동기와 80년대 전자제품시대의 유물로 남아있는 세운상가 영일전자의 상황을 관찰하여 작가의 경험과 개인 공간의 역사가 뒤섞인 가상공간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이 작업을 관객의 자율적 참여로 확장하기 위한 기술적 개발 요소들을 제시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my work on alternative virtual reality in the forthcoming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movement towards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has led to a decline instable employment opportunities and the replacement of human labor...
This study analyzes my work on alternative virtual reality in the forthcoming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movement towards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has led to a decline instable employment opportunities and the replacement of human labor by artificial intelligence (AI). During this transition period, individuals have witnessed are duction in their incomes and in the spaces they occupy. A techno-utopian view would envision such changes as the liberation from labor through AI, a new level of subjectivity that allows individuals to combine labor and leisure and enjoy artistic freedom, even in a small one-room dwelling. Yet the tempo-spatial distinction between labor and leisure remains clearly demarcated, and anxiety about the future and economic shortcomings persist as well. This paper proposes a middle ground between reality and gaming as an alternative virtual reality and suggests its use as an artistic means of resolving such anxiety. First, this paper addresses the artistic possibilities and limits of3D games, revealing the significance of having an artistic virtual reality as an alternative. Analyses of how historic places and my personal experience are synthesized in the work “Studio Adventure: Sewoon” then follows. “Studio Adventure: Sewoon” is based on careful observations of the situation around Young-Il Electronics in the Sewoon building, which remains as an artifact of the Electronics Age of the 1980s. Lastly, this paper presents factors for technological development that could promote audience participation in this work.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박미연, "‘상황주의자 인터내셔널’의 복원: I.S.의 ‘예술정치’와 아방가르드의 의미" 현대미술사학회 (35) : 117-148, 2014
2 Morrison A., "Pacific Rim Jaeger recreated in Besiege" PC Gamer
3 "One-room system" Wikipedia
4 International Situationist, "International Situationist"
5 De Lappe, J., "Elegy: GTA USA Gun Homicides"
6 Schiller F., "Aesthetic Letter" Humanist Publishers 129-, 2012
7 Korea Creative Content Agency, "2018 White Paper on Korean Games"
1 박미연, "‘상황주의자 인터내셔널’의 복원: I.S.의 ‘예술정치’와 아방가르드의 의미" 현대미술사학회 (35) : 117-148, 2014
2 Morrison A., "Pacific Rim Jaeger recreated in Besiege" PC Gamer
3 "One-room system" Wikipedia
4 International Situationist, "International Situationist"
5 De Lappe, J., "Elegy: GTA USA Gun Homicides"
6 Schiller F., "Aesthetic Letter" Humanist Publishers 129-, 2012
7 Korea Creative Content Agency, "2018 White Paper on Korean Games"
사회적 가면의 이탈-회귀를 위한 디지털설계와 제어- “Mirror Mask : 나는 지금 여기에 있다”를 중심으로
3D 드로잉과 빛으로 소환된 원초적 풍경 - < Beyond 2017-19 > 작품을 중심으로
매체의 확장을 통한 일상성의 탐구 - 본인의 회화, 디지털 프린트, 영상작업을 중심으로
가상현실 기반 예술작품의 존재론적 고찰 - 하이데거의 세계-내-존재를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4-01-08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Korea Society Of Image Art And Media -> The Korean Society Of Media & Arts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5 | 0.35 | 0.3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3 | 0.32 | 0.515 | 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