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1995년 11월 결성된 서울미디어 연구회 모임 기록과 연구 내용 등의 활동과, 서울미디어 연구회를 기반으로 1998년 창립된 한국영상학회의 초기 활동 기록과 발간물에서 발췌한 주요...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1995년 11월 결성된 서울미디어 연구회 모임 기록과 연구 내용 등의 활동과, 서울미디어 연구회를 기반으로 1998년 창립된 한국영상학회의 초기 활동 기록과 발간물에서 발췌한 주요...
본 논문은 1995년 11월 결성된 서울미디어 연구회 모임 기록과 연구 내용 등의 활동과, 서울미디어 연구회를 기반으로 1998년 창립된 한국영상학회의 초기 활동 기록과 발간물에서 발췌한 주요 내용을 고찰한 글이다. 서울미디어 연구회는 당시 미디어 매체를 다양한 작업으로 활용한 작가들과 연구자,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그룹으로서 정규적으로 모여 서로의 작품을 발표하고, 우리나라 미술계 및 미디어 시각문화 산업계에서 발돋움하기 시작한 미디어 아트 영역에 대한 다각적인 시각을 교류하였던 모임이다. 이 모임은 몇 해 후에는 한국영상학회의 창립으로 이어지게 된다. 우리나라 미디어 아트와 시각문화예술 전반에 걸친 급격한 변화와 확장에 요구되는 시각미술 담론과 비평적 시각에 대한 보다 깊은 연구와 논의의 장의 설립이 절심함을 인지하였기 때문이다. 초기 한국영상학회의 활동은 서울미디어 연구회에서 제기되었던 미디어 아트 담론과 기술적인 확장에 따른 형식과 변화 및 관련된 미적 가치 등에 대한 연구를 추진하고, 당시 활발한 미디어 아트 작가들의 작품 전시를 기획하는 일로 이루어지게 된다. 본 글은 서울미디어 연구회 회장직을 수행하고 2,3대 한국영상학회 회장이었던 심철웅의 기록물과 소장 서류 및 발간물 등에서 발췌한 사실들을 모아 정리한 것으로서, 20여 년 전 우리나라 미디어 아트 역사의 한 활동들을 조망하여, 오늘날 급진적으로 더욱 확장되고 있는 뉴미디어 아트의 제반 담론과 작품들의 현상들을 보다 새로운 관점과 미래에 대한 현안으로 고찰할 수 있기를 바라는 목적을 가진 논문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concerns the activity of the Seoul Media Research Group (SMRG), which lasted from November of 1995 to 1998 and the Korean Society of Image Arts & Media (KOSIAM), which was in existence from1998 to 2005. The resources informing this writing...
This paper concerns the activity of the Seoul Media Research Group (SMRG), which lasted from November of 1995 to 1998 and the Korean Society of Image Arts & Media (KOSIAM), which was in existence from1998 to 2005. The resources informing this writing are the selective written records on the activities of SMRG and KOSIAM by Cheol-Woong Sim, the president of SMRG and KOSIAM (2000-2004). SMRG consisted of artists, professors, instructors and professionals in various areas of media arts in Korea at that time. They gathered regularly for discussions and exchanged their perspectives on the aspects of media arts, visual culture and the media industry which had emerged as new futuristic phenomena. Several years later the activities of SMRG moved to KOSIAM after members realized the need to form an organization to deal with many drastic changes, the expansions of areas of media arts, and critical perspectives and discourse on visual arts, especially in relation to new media art areas. The early activities of KOSIAM included research that started in SMRG, focusing on discourse, aesthetic value and the phenomenon of new media technologies that appeared to influence heavily the formation of media and visual arts. This writing was facilitated given the vast, varied, and precious rare records of Cheol-Woong Sim kept during those periods, written in his personal calendar notes, paper handouts, in KOSIAM journals and in an exhibition catalogue at that time. The purpose of this writing is to review the accomplishments of SMRG and the early activities of KOSIAM, which presented important perspectives on and provided critics of the new media arts of the time. These critical views and the related discourse are applicable to the phenomenon of media arts in their new and current form. I hope this work becomes meaningful text capable of generating new viewpoints on the current issues of media art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Korean Broadcasting System, "‘95 Seoul Media Software Show, 30 Years of World Videography" Korea Exhibition Center 1995
2 Sim, C. W, "Unpublished raw data"
3 Sim, C. W, "Unpublished raw data"
4 Sim, C. W, "Unpublished raw data"
5 Sim, C. W, "Unpublished raw data"
6 Seoul Media Research Group, "Unpublished raw data"
7 Seoul Media Research Group, "Unpublished raw data"
8 Seoul Media Research Group, "Unpublished raw data"
9 Seoul Media Research Group, "Unpublished raw data"
10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The Visual Extension of Photographic Imag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1998
1 Korean Broadcasting System, "‘95 Seoul Media Software Show, 30 Years of World Videography" Korea Exhibition Center 1995
2 Sim, C. W, "Unpublished raw data"
3 Sim, C. W, "Unpublished raw data"
4 Sim, C. W, "Unpublished raw data"
5 Sim, C. W, "Unpublished raw data"
6 Seoul Media Research Group, "Unpublished raw data"
7 Seoul Media Research Group, "Unpublished raw data"
8 Seoul Media Research Group, "Unpublished raw data"
9 Seoul Media Research Group, "Unpublished raw data"
10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The Visual Extension of Photographic Imag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1998
11 Korea Science Foundation, "The Sixth Science & Art Exhibition ‘96. Interactive Gallery" Korea Exhibition Center 1996
12 Korea Society of Image Arts and Media, "The Concept of Dual Space of Media Arts and Shamanism" Korea Society of Image Arts and Media 2000
13 Gallery Grace, "Technology Art, A Quest for the 21 Century" Gallery Grace 1992
14 Seoul Metropolitan Museum of Art, "Seoul in Media" Art Project Seoul 1995
15 Korea Society of Image Arts and Media, "Re-reading Image" Korea Society of Image Arts and Media 2003
16 Korea Society of Image Arts and Media, "Post VR: Virtuality as the new ideology" Korea Society of Image Arts and Media 2005
17 Sungok Art Museum, "Mobile Aesthetics, International Symposium Journal" Sungok Art Museum 1996
18 Korea Society of Image Arts and Media, "Media Art/Single Channel Video Art Presentation" Korea Society of Image Arts and Media 2004
19 Korea Society of Image Arts and Media, "Mapping Korea" Korea Society of Image Arts and Media 2002
20 Korea Society of Image Arts and Media,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mage Arts and Media, vol 4" Korea Society of Image Arts and Media 2004
21 Korea Society of Image Arts and Media,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mage Arts and Media, vol 3" Korea Society of Image Arts and Media 2002
22 Korea Society of Image Arts and Media,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mage Arts and Media, vol 2" Korea Society of Image Arts and Media 2001
23 Korea Society of Image Arts and Media,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mage Arts and Media(Video Study) vol 1" Korea Society of Image Arts and Media 1999
24 Korea Society of Image Arts and Media, "Gametopia" Korea Society of Image Arts and Media 2001
사회적 가면의 이탈-회귀를 위한 디지털설계와 제어- “Mirror Mask : 나는 지금 여기에 있다”를 중심으로
노동과 여가의 경계공간으로서 예술적 가상현실 - 본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3D 드로잉과 빛으로 소환된 원초적 풍경 - < Beyond 2017-19 > 작품을 중심으로
매체의 확장을 통한 일상성의 탐구 - 본인의 회화, 디지털 프린트, 영상작업을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4-01-08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Korea Society Of Image Art And Media -> The Korean Society Of Media & Arts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5 | 0.35 | 0.3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3 | 0.32 | 0.515 | 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