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단행본] 韓國古代 自然觀과 王道政治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73145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책은 <고려사> 오행지와 천문지를 분석 고찰하여 고려시대의 자연관과 왕도정치를 밝혀내고, 이것을 삼국 및 통일신라시대로까지 거슬러 올라갔다. 또한 삼국사기 각 본기에 수록되어 있는 천재지변기사를 분석 검토하고 그 의미를 추론해서, 동시대의 자연관과 정치사상의 새로운 면목을 밝힐 수 있다.
      번역하기

      이 책은 <고려사> 오행지와 천문지를 분석 고찰하여 고려시대의 자연관과 왕도정치를 밝혀내고, 이것을 삼국 및 통일신라시대로까지 거슬러 올라갔다. 또한 삼국사기 각 본기에 수록되...

      이 책은 <고려사> 오행지와 천문지를 분석 고찰하여 고려시대의 자연관과 왕도정치를 밝혀내고, 이것을 삼국 및 통일신라시대로까지 거슬러 올라갔다. 또한 삼국사기 각 본기에 수록되어 있는 천재지변기사를 분석 검토하고 그 의미를 추론해서, 동시대의 자연관과 정치사상의 새로운 면목을 밝힐 수 있다.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과제의 최종결과물인 결과보고서의 원자료이다. 백제의 정치 상황을 서술하기 위하여 연구자가 주로 참고한 자료이다.

      본 과제의 최종결과물인 결과보고서의 원자료이다.
      백제의 정치 상황을 서술하기 위하여 연구자가 주로 참고한 자료이다.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목차
      책머리에 = 5
      序言 = 13
      제1장 고대의 자연관과 유교정치사상 = 17
      1. 序言 = 17
      2. 자연관의 두 가지 측면 = 19
      3. 天變의 성격 = 26
      4. 地變의 성격 = 39
      5. 結言 = 50
      제2장 삼국의 地變과 정치 = 53
      1. 序言 = 53
      2. 고구려의 地變 = 54
      3. 백제의 地變 = 77
      4. 신라의 地變 = 97
      5. 結言 = 134
      제3장 삼국의 天災와 政治 = 137
      1. 日食 = 137
      2. 一變 = 153
      3. 星패(彗星) = 156
      4. 五星 = 172
      5. 기타 星變 = 182
      6. 天文現象과 天譴設 = 189
      7. 結言 = 197
      제4장 삼국시대의 瑞祥說 = 199
      1. 序言 = 199
      2. 瑞祥說의 전개 = 200
      3. 結言 = 225
      제5장 통일신라의 地變과 政治 = 229
      1. 序言 = 229
      2. 木不曲直 = 229
      3. 火不炎上 = 233
      4. 稼穡不成 = 241
      5. 金不從革 = 253
      6. 水不潤下 = 263
      7. 皇之不極 = 275
      8. 祥瑞 = 281
      9. 結言 = 289
      제6장 통일신라의 天災와 政治 = 293
      1. 日食 = 293
      2. 日變 = 293
      3. 彗星, 星패 = 305
      4. 星變 = 312
      5. 五星凌犯과 星變 = 321
      6. 結言 = 332
      제7장 고대의 天災地變과 王道政治 = 335
      (별장) 龍飛御天歌와 瑞祥說 = 345
      1. 序言 = 345
      2. 中國史上의 瑞祥 = 347
      3. 朝鮮朝 이전의 瑞祥 기록 = 349
      4. 龍飛御天歌에 보이는 瑞祥說 기사 = 351
      5. 結言 = 368
      영문요약 = 371
      찾아보기 = 379
      번역하기

      목차 책머리에 = 5 序言 = 13 제1장 고대의 자연관과 유교정치사상 = 17 1. 序言 = 17 2. 자연관의 두 가지 측면 = 19 3. 天變의 성격 = 26 4. 地變의 성격 = 39 5. 結言 = 50 제2장 삼국의 地變과 정...

      목차
      책머리에 = 5
      序言 = 13
      제1장 고대의 자연관과 유교정치사상 = 17
      1. 序言 = 17
      2. 자연관의 두 가지 측면 = 19
      3. 天變의 성격 = 26
      4. 地變의 성격 = 39
      5. 結言 = 50
      제2장 삼국의 地變과 정치 = 53
      1. 序言 = 53
      2. 고구려의 地變 = 54
      3. 백제의 地變 = 77
      4. 신라의 地變 = 97
      5. 結言 = 134
      제3장 삼국의 天災와 政治 = 137
      1. 日食 = 137
      2. 一變 = 153
      3. 星패(彗星) = 156
      4. 五星 = 172
      5. 기타 星變 = 182
      6. 天文現象과 天譴設 = 189
      7. 結言 = 197
      제4장 삼국시대의 瑞祥說 = 199
      1. 序言 = 199
      2. 瑞祥說의 전개 = 200
      3. 結言 = 225
      제5장 통일신라의 地變과 政治 = 229
      1. 序言 = 229
      2. 木不曲直 = 229
      3. 火不炎上 = 233
      4. 稼穡不成 = 241
      5. 金不從革 = 253
      6. 水不潤下 = 263
      7. 皇之不極 = 275
      8. 祥瑞 = 281
      9. 結言 = 289
      제6장 통일신라의 天災와 政治 = 293
      1. 日食 = 293
      2. 日變 = 293
      3. 彗星, 星패 = 305
      4. 星變 = 312
      5. 五星凌犯과 星變 = 321
      6. 結言 = 332
      제7장 고대의 天災地變과 王道政治 = 335
      (별장) 龍飛御天歌와 瑞祥說 = 345
      1. 序言 = 345
      2. 中國史上의 瑞祥 = 347
      3. 朝鮮朝 이전의 瑞祥 기록 = 349
      4. 龍飛御天歌에 보이는 瑞祥說 기사 = 351
      5. 結言 = 368
      영문요약 = 371
      찾아보기 = 37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