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교량 바닥판 보수, 보강 공법의 효과 및 개선 연구  :  (A Study on the Repair and Rehabilitation Method of Bridge Deck Slabs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62470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ged reinforced concrete bridge deck slabs have many damages such as spalling or grid crack, etc. And the maintenance of RC deck is a major problem for highway agency. Many retrofit and rehabilitation methods have been applied to these decks but they are simply followed foreign techniques without convicting tests or any certification. Moreover the condition assessment for retrofitted and rehabilitated decks had not been done systematical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at an establishment of the retrofit and rehabilitation practice and the improvement for the underlying problem of current retrofitted and rehabilitation methods. Therefore, the deterioration process, the damage cause, the condition classification, the fatigue mechanism and th~ applied quantity of strengthening methods for RC deck slabs were analyzed.
      번역하기

      The aged reinforced concrete bridge deck slabs have many damages such as spalling or grid crack, etc. And the maintenance of RC deck is a major problem for highway agency. Many retrofit and rehabilitation methods have been applied to these decks but t...

      The aged reinforced concrete bridge deck slabs have many damages such as spalling or grid crack, etc. And the maintenance of RC deck is a major problem for highway agency. Many retrofit and rehabilitation methods have been applied to these decks but they are simply followed foreign techniques without convicting tests or any certification. Moreover the condition assessment for retrofitted and rehabilitated decks had not been done systematical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at an establishment of the retrofit and rehabilitation practice and the improvement for the underlying problem of current retrofitted and rehabilitation methods. Therefore, the deterioration process, the damage cause, the condition classification, the fatigue mechanism and th~ applied quantity of strengthening methods for RC deck slabs were analyz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철근 콘크리트 교량 바닥판은 시공초기부터 균열이 발생되기 쉬우며, 차량하중 및 환경에 직접 노출되어 있는 부재이다. 이로 인해 바닥판에 격자상 균열이 발생하고, 콘크리트의 부분적인 탈락 및 포장면의 함몰 등의 손상사례가 고속도로상에서 수차례에 걸쳐서 보고되어 왔으며, 지금까지도 교량관리자에게 있어서는 철근 콘크리트 바닥판의 유지관리문제가 가장 큰 현안이 되고 있다. 특히, 30여년이 경과한 고속도로상의 교량 바닥판은 많은 손상을 가지고 있으며, 문제 구조물중 대부분이 바닥판에 결함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바닥판에 대해 보수 · 보강이 실시된 경우가 많으나, 외국기술을 단순 모방하여 실시하므로서 적용된 공법에 대한 효과가 검증되어 오지 못하였다. 그로 인해 현재까지 보수 · 보강공법에 대한 시행착오 및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따라서, 바닥판 보수 · 보강공법의 효과를 분석하고 및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지침을 수립하고자, 철근 콘크리트 바닥판의 손상과정 및 손상원인 분석, 바닥판의 피로메커니즘 검토, 기존 바닥판에 대한 보수 · 보강실적 검토 등을 수행하였다.
      번역하기

      철근 콘크리트 교량 바닥판은 시공초기부터 균열이 발생되기 쉬우며, 차량하중 및 환경에 직접 노출되어 있는 부재이다. 이로 인해 바닥판에 격자상 균열이 발생하고, 콘크리트의 부분적인...

      철근 콘크리트 교량 바닥판은 시공초기부터 균열이 발생되기 쉬우며, 차량하중 및 환경에 직접 노출되어 있는 부재이다. 이로 인해 바닥판에 격자상 균열이 발생하고, 콘크리트의 부분적인 탈락 및 포장면의 함몰 등의 손상사례가 고속도로상에서 수차례에 걸쳐서 보고되어 왔으며, 지금까지도 교량관리자에게 있어서는 철근 콘크리트 바닥판의 유지관리문제가 가장 큰 현안이 되고 있다. 특히, 30여년이 경과한 고속도로상의 교량 바닥판은 많은 손상을 가지고 있으며, 문제 구조물중 대부분이 바닥판에 결함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바닥판에 대해 보수 · 보강이 실시된 경우가 많으나, 외국기술을 단순 모방하여 실시하므로서 적용된 공법에 대한 효과가 검증되어 오지 못하였다. 그로 인해 현재까지 보수 · 보강공법에 대한 시행착오 및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따라서, 바닥판 보수 · 보강공법의 효과를 분석하고 및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지침을 수립하고자, 철근 콘크리트 바닥판의 손상과정 및 손상원인 분석, 바닥판의 피로메커니즘 검토, 기존 바닥판에 대한 보수 · 보강실적 검토 등을 수행하였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표목차
      • 그림목차
      • 사진목차
      • 요약문
      • 목차
      • 표목차
      • 그림목차
      • 사진목차
      • 요약문
      • ABSTRACT
      • 제 1 장 서 론
      • 1.1 연구 배경
      • 1.2 연구 내용 및 범위
      • 제 2 장 철근 콘크리트 바닥판의 손상과 상태판정
      • 2.1 철근콘크리트 바닥판의 손상과정
      • 2.2 손상의 주요인
      • 2.3 바닥판 손상도 판정기준
      • 제 3 장 RC 바닥판의 피로손상 메커니즘
      • 3.1 균열손상과정
      • 3.2 바닥판의 피로수명 평가
      • 3.3 내구성 향상 대책
      • 제 4 장 바닥판 보수 ·보강공법
      • 4.1 개요
      • 4.2 보수
      • 4.3 하면에서의 보강공법
      • 4.4 상면에서의 보강
      • 4.5 강재와의 합성에 의한 보강
      • 4.6 외부 프리스트레스 도입에 의한 보강
      • 4.7 교체
      • 4.8 바닥판 보강공법의 장단점 비교
      • 4.9 바닥판 보수 -보강공법의 적용 현황
      • 제 5 장 강판접착공법의 보강효과 시험 및 해석
      • 5.1 개요
      • 5.2 접착성능 확인 시험
      • 5.3보강효과에 대한 기본적 시험
      • 5.4 접착 강판 단부의 해석과 처리
      • 5.5 강판두께 및 수지두께와 수지주입암력과의 관계
      • 5.6 안전성의 검토
      • 5.7 보강시기가 보강효과에 미치는 영향
      • 제 6 장 보강 바닥판에 대한 현장조사
      • 6.1 개요
      • 6.2 재하시혐을 통한 바닥판의 보강효과 분석
      • 6.3 보강 바닥판의 현장점검조사
      • 제 7 장 바닥판 보강공법의 정적성능 비교
      • 7.1 개요
      • 7.2 시험체 제작 및 실험변수
      • 7.3 재하 및 측정방법
      • 7.4 정적구조시험 결과
      • 7.5 시험결과 비교,분석
      • 제 8 장 국내 사용 에폭시 수지에 대한 물성시험
      • 8.1 개요
      • 8.2 에폭시 수지의 일반특성
      • 8.4 국내에 사용되는 애폭시 수지에 대한 실내시혐
      • 8.5 에폭시 수지에 대한 실내시혐 결과 요약
      • 제 9 장 결 론
      • 참고문헌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