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근 콘크리트 교량 바닥판은 시공초기부터 균열이 발생되기 쉬우며, 차량하중 및 환경에 직접 노출되어 있는 부재이다. 이로 인해 바닥판에 격자상 균열이 발생하고, 콘크리트의 부분적인...
철근 콘크리트 교량 바닥판은 시공초기부터 균열이 발생되기 쉬우며, 차량하중 및 환경에 직접 노출되어 있는 부재이다. 이로 인해 바닥판에 격자상 균열이 발생하고, 콘크리트의 부분적인 탈락 및 포장면의 함몰 등의 손상사례가 고속도로상에서 수차례에 걸쳐서 보고되어 왔으며, 지금까지도 교량관리자에게 있어서는 철근 콘크리트 바닥판의 유지관리문제가 가장 큰 현안이 되고 있다. 특히, 30여년이 경과한 고속도로상의 교량 바닥판은 많은 손상을 가지고 있으며, 문제 구조물중 대부분이 바닥판에 결함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바닥판에 대해 보수 · 보강이 실시된 경우가 많으나, 외국기술을 단순 모방하여 실시하므로서 적용된 공법에 대한 효과가 검증되어 오지 못하였다. 그로 인해 현재까지 보수 · 보강공법에 대한 시행착오 및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따라서, 바닥판 보수 · 보강공법의 효과를 분석하고 및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지침을 수립하고자, 철근 콘크리트 바닥판의 손상과정 및 손상원인 분석, 바닥판의 피로메커니즘 검토, 기존 바닥판에 대한 보수 · 보강실적 검토 등을 수행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