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연 생리활성 물질 탐색 연구의 일환으로 삼백초로부터 위염 억제 물질을 추출하여 효능을 검정하였다. 삼백초 추출물0.25~2 g/kg B.W.를 마우스에 경구 투여한 결과 1.5 g/kg B.W. 미만 투여량의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541483
2015
Korean
KCI등재,SCOPUS
학술저널
800-808(9쪽)
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천연 생리활성 물질 탐색 연구의 일환으로 삼백초로부터 위염 억제 물질을 추출하여 효능을 검정하였다. 삼백초 추출물0.25~2 g/kg B.W.를 마우스에 경구 투여한 결과 1.5 g/kg B.W. 미만 투여량의 ...
천연 생리활성 물질 탐색 연구의 일환으로 삼백초로부터 위염 억제 물질을 추출하여 효능을 검정하였다. 삼백초 추출물0.25~2 g/kg B.W.를 마우스에 경구 투여한 결과 1.5 g/kg B.W. 미만 투여량의 급성독성 실험에서 안정성을 나타내었으며 LD50은 1.81 g/kg B.W.였다. 삼백초 추출물 0.5 g/kg B.W.를 마우스에 경구 투여한 만성독성 실험에서는 13주간의 투여기간 동안 독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염을 유발시키기 전에 삼백초 추출물을 250 및 500 mg/kg B.W. 농도로 미리 섭취시킨 결과 위출혈 및 위부종과 세포손상이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였다. 또한 사이토카인의 발현도 억제되었다. 따라서 삼백초 추출물은 스트레스성 위염에 의한 출혈 및 세포손상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는 효과가 있으며, 그 mechanism은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 억제에 의한 것이라 생각되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gastritis inhibitory substance was ethanol-extracted from Saururus chinensis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 as a part of natural bioactive substance research. In an oral administration experiment, S. chinensis was administered at doses ...
In this study, gastritis inhibitory substance was ethanol-extracted from Saururus chinensis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 as a part of natural bioactive substance research. In an oral administration experiment, S. chinensis was administered at doses of 0.25 g/kg B.W. to 2 g/kg B.W., resulting in stabilization at 1.5 g/kg B.W. and an LD50 of 1.81 g/kg B.W. In a chronic toxicity experiment, 0.5 g/kg B.W. of S. chinensis was administered for 13 weeks, but toxicity was not observed. S. chinensis ethanol-extracts were administered at a concentration of 250 or 500 mg/kg B.W. before induction of gastritis. Gastrorrhagia, stomach edema, cytokine production, and cell damage were reduced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Therefore, S. chinensis ethanol extracts inhibit cell damage by stress-induced hemorrhagic gastritis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via inhibition of cytokine expression.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상찬, "현삼메탄올 추출물이 LPS로 유도된Raw 264.7 cell에서의 TNF-α, IL-1β, IL-6 및 nitric oxide 생성에 미치는 영향" 대한본초학회 20 (20): 7-16, 2005
2 이성태, "퇴비 시용량과 재배방법에 따른 삼백초의 수량 및 약리성분 함량 차이" 한국약용작물학회 9 (9): 220-224, 2001
3 김숙경, "추출조건에 따른 삼백초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성분의 변화" 한국응용생명화학회 48 (48): 89-92, 2005
4 조영제, "청목노상(Morus alba L.)추출물에 의한 Lipopolysaccharide로유도된 Raw 246.7 cell에서 염증 억제효과" 한국응용생명화학회 51 (51): 44-48, 2008
5 소미선, "대식세포에서 산더덕에 의한 NO 생성 및 싸이토카인 유도효과" 한국식품과학회 36 (36): 986-990, 2004
6 Kwak I, "The relationship of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and upper gastrointestinal diseases in Korean adults" 7 : 59-67, 1997
7 Kwon SH, "The isolation of anti-hepatotoxic constituents from Saururus chinen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1996
8 Park JH, "The encyclopedia of medicinal plants" Shinil Books 202-203, 2000
9 Park JH, "The encyclopedia of medicinal plants" Shinil Books 202-203, 2000
10 Kim BH, "The dyeability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Saururus chinensis(Ⅰ)" 38 : 1-9, 2000
1 김상찬, "현삼메탄올 추출물이 LPS로 유도된Raw 264.7 cell에서의 TNF-α, IL-1β, IL-6 및 nitric oxide 생성에 미치는 영향" 대한본초학회 20 (20): 7-16, 2005
2 이성태, "퇴비 시용량과 재배방법에 따른 삼백초의 수량 및 약리성분 함량 차이" 한국약용작물학회 9 (9): 220-224, 2001
3 김숙경, "추출조건에 따른 삼백초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성분의 변화" 한국응용생명화학회 48 (48): 89-92, 2005
4 조영제, "청목노상(Morus alba L.)추출물에 의한 Lipopolysaccharide로유도된 Raw 246.7 cell에서 염증 억제효과" 한국응용생명화학회 51 (51): 44-48, 2008
5 소미선, "대식세포에서 산더덕에 의한 NO 생성 및 싸이토카인 유도효과" 한국식품과학회 36 (36): 986-990, 2004
6 Kwak I, "The relationship of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and upper gastrointestinal diseases in Korean adults" 7 : 59-67, 1997
7 Kwon SH, "The isolation of anti-hepatotoxic constituents from Saururus chinen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1996
8 Park JH, "The encyclopedia of medicinal plants" Shinil Books 202-203, 2000
9 Park JH, "The encyclopedia of medicinal plants" Shinil Books 202-203, 2000
10 Kim BH, "The dyeability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Saururus chinensis(Ⅰ)" 38 : 1-9, 2000
11 Min YI, "Remedy of gastritis" 35 : 895-901, 1992
12 Kwak JW, "Pharmacological studies on Saururus chinensis Baill" Kyung Hee University 1988
13 A Society for Korea Medicinal Botany, "Medicinal botany" Hakchang Publishing Co. 176-, 2001
14 Ding SZ,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oncogenic pathways and epigenetic mechanisms in gastric carcinogenesis" 6 : 851-862, 2010
15 de Foneska A, "Gastroduodenal mucosal defense" 26 : 604-610, 2010
16 Ham JS, "Gastritis, peptic ulcer, functional gastroenteric trouble" 39 : 630-632, 1996
17 Chao C, "Gastrin, inflammation, and carcinogenesis" 17 : 33-39, 2010
18 Lee YN, "Flora of Korea" Kyo-Hak Publishing Co., Ltd. 218-219, 2002
19 Lee ST, "Component comparison in different growth stages and organs of Saururus chinensis Baill" 8 : 312-318, 2000
20 Sheeba MS, "Cardiospermum halicacabum ethanol extract inhibits LPS induced COX-2, TNF-α and iNOS expression, which is mediated by NF-κB regulation, in RAW 264. 7 cells" 124 : 39-44, 2009
21 Nakada SL, "Apical vacuole formation by gastric parietal cells in primart culture : effect of low extracellular Ca2+" 12 : 1301-1311, 2012
22 Choe KH, "A study on chemical composition of Saururaceac growing in Korean on flavonoid constituents of Saururus chinensis" 7 : 11-15, 1994
23 Choe KH, "A study on chemical composition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Saururaceae growing in Korea" Kyung Hee University 1999
24 Kwon JA, "A second series about Saururus chinensis and Houttuynia cordata Thunberg" 2 : 28-32, 1999
25 Ock CY, "A novel approach for stress-induced gastritis based on paradoxical anti-oxidative and anti-inflammatory action of exogenous 8-hydroxydeoxyguanosine" 81 : 111-122, 2011
찔레꽃 및 찔레꽃 복합물 추출물이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 흰쥐의 지질 함량 개선에 미치는 영향
국내산 법제 하수오의 라디칼 소거능 및 산화적 스트레스 개선 효과
감마선 조사된 Apigenin의 H1975 인체 비소폐암세포에서의 Apoptosis 유발 효과
뽕나무(Morus alba L.) 부위별 생리활성 측정 및 기능성 물질 분석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 ![]() |
2014-06-24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영문명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2014-04-02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영문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2-07-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03 | 1.03 | 1.1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18 | 1.2 | 1.993 | 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