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니체와 매클루언에 있어서 디지털 망막 가상화 속 탈-대지화와 탈-신체화에 대한 비판적 담론 = A critical Discourse on De-earthzation and De-bodyization in digital retinal Virtualization in Nietzsche and McLuha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6549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rapid transition from offline to online due to the compulsory social distancing situation makes the status of deprivation of offline life clearer and faster, which may not have been self-aware in the existing flow. At this point, the task that digital culture should be pre-determined for healthy coexistence with analog culture should go beyond dystopian suspicions and ensure the feasibility of utopian prospects. To this end, above all, a critical analysis of the current state of our lives connected to the digital virtual world is required. Reflections on diagnostic problems through critical analysis of digital virtual worlds of digital humans connected by 5G highlight the importance of a concrete understanding of what is being lost in the digital world’s adverse functions of monitor-ization and human retinalization of the world.
      Against this backdrop, Chapter 2 of the article analyzed Plato’s dialogue, “Allory of the Cave,” which reveals the identity of humans and the world, in conjunction with the visualist trends of the digital virtual world in the 21st century. To this end, Plato’s visual interpretation of cave inmates and shadows in Cave Fables was examined, and furthermore, Plato’s conceptualization of human intelligence and the conceptualization of the world, resulting from the transition from shadow to idea, and the de-sensitization of human beings and the world. Chapter 3 focuses on the media theorist Marshall McLuhan’s Understanding Media: The Extension of Man and The Medium Is the Massage to examine the human intellectualization and the conceptualization of the world as a result of Plato’s descendants. Finally, in Chapter 4, we interpreted Nietzsche’s ontological reasons beyond extensions and amputations based on dichotomous divisio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thesis “Zwischensein”. To this end, the request for alternative reasons for the vicious relationship between expansion and amputation of existence was first presented, and furthermore, the tactile meaning of Nietzsche’s Overman (Übermensch) concept as a reality of this request was revealed through the interpretation of “Zwischenmensch”. As a result, we captured a Nietzsche-based healing human and world view that can make the digital virtual world more rich and healthy.
      번역하기

      The rapid transition from offline to online due to the compulsory social distancing situation makes the status of deprivation of offline life clearer and faster, which may not have been self-aware in the existing flow. At this point, the task that dig...

      The rapid transition from offline to online due to the compulsory social distancing situation makes the status of deprivation of offline life clearer and faster, which may not have been self-aware in the existing flow. At this point, the task that digital culture should be pre-determined for healthy coexistence with analog culture should go beyond dystopian suspicions and ensure the feasibility of utopian prospects. To this end, above all, a critical analysis of the current state of our lives connected to the digital virtual world is required. Reflections on diagnostic problems through critical analysis of digital virtual worlds of digital humans connected by 5G highlight the importance of a concrete understanding of what is being lost in the digital world’s adverse functions of monitor-ization and human retinalization of the world.
      Against this backdrop, Chapter 2 of the article analyzed Plato’s dialogue, “Allory of the Cave,” which reveals the identity of humans and the world, in conjunction with the visualist trends of the digital virtual world in the 21st century. To this end, Plato’s visual interpretation of cave inmates and shadows in Cave Fables was examined, and furthermore, Plato’s conceptualization of human intelligence and the conceptualization of the world, resulting from the transition from shadow to idea, and the de-sensitization of human beings and the world. Chapter 3 focuses on the media theorist Marshall McLuhan’s Understanding Media: The Extension of Man and The Medium Is the Massage to examine the human intellectualization and the conceptualization of the world as a result of Plato’s descendants. Finally, in Chapter 4, we interpreted Nietzsche’s ontological reasons beyond extensions and amputations based on dichotomous divisio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thesis “Zwischensein”. To this end, the request for alternative reasons for the vicious relationship between expansion and amputation of existence was first presented, and furthermore, the tactile meaning of Nietzsche’s Overman (Übermensch) concept as a reality of this request was revealed through the interpretation of “Zwischenmensch”. As a result, we captured a Nietzsche-based healing human and world view that can make the digital virtual world more rich and health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사회적 거리두기의 장기화로 인한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의 급격한 전환 은 오프라인의 삶에 대한 박탈감의 위상을 좀 더 분명하고 빠르게 환기시킨다. 이러한 시점에서 디지털 문화가 아날로그 문화와 건강하게 공존하기 위해서 선 결되어야 할 과제는 디스토피아적 의혹을 넘어서는 유토피아적 전망의 실현 가 능성의 담보이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디지털 가상 세계와 접속된 우리 삶의 현주소에 대한 비판적 분석이 요청된다. 5G로 초연결되어 있는 디지털 인 류의 디지털 가상세계에 대한 비판적 분석은 진단적 문제에 대한 성찰을 경유한 다. 이때 주목해야 할 것은 세계의 모니터화와 인간의 망막화 현상이다. 즉 디지 털 세계의 역기능에 의해서 상실되고 있는 것에 대한 구체적인 파악이다.
      이와 같은 맥락을 배경으로 이 글의 2장에서는 플라톤의 인간과 세계의 정체 를 우화적으로 드러내는 그의 대화편 국가의 ‘동굴의 우화(Allegory of the Cave)’를 21세기 디지털 가상 세계의 시각주의적 경향과 접목하여 분석해 보았 다. 이를 위해 우선 ‘동굴의 우화’의 동굴의 수감자들과 그림자에 대한 플라톤의 시각적 해석을 살펴보고, 나아가 그림자에서 이데아로의 초월로 인한 인간의 지 성화와 세계의 개념화 그리고 이로 인한 인간의 탈-감각화와 세계의 탈-대지화 현상을 드러내 보았다. 3장에서는 디지털 가상적 망막 세계의 탈-감각화, 탈-대 지화 현상을 알아보기 위하여 미디어 이론가 매클루언(Marshall McLuhan)의 미디어의 이해: 인간의 확장과 미디어는 마사지다를 중심으로 우선 감각의 확 장으로서의 지성의 출현으로 인한 인간의 지성화와 세계의 개념화를 살펴보고, 나아가 이것의 결과로서 인간의 탈-신체화, 세계의 탈-대지화로 인한 신체의 역- 확장과 절단 그리고 나르시스의 죽음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4장에서는 이분 법적 분열을 기반으로 하는 양자택일적 확장과 절단을 넘어서는 니체의 존재론 적 사유를 ‘사이존재(Zwischensein)’라는 논자의 관점에서 해석해 보았다. 이를 위해 우선 존재의 확장과 절단의 악순환적 관계에 대한 대안적 사유의 요청을 제시하고, 여기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이 요청의 현실화로서 니체의 위버멘쉬 (Übermensch) 개념의 촉각적 의미를 사이인간이라는 해석을 통해 드러내보았 다. 이로써 단지 양자택일적으로 이분화되는 디지털 가상세계를 좀 더 풍요롭고 건강하게 할 수 있는 니체 기반의 치유적 인간관과 세계관을 포착해보았다. 그 럼으로써 논자는 자기 확장이자 자기 단절의 자기 동일성의 반영물에 갇힐 수 있는 비대면 시대의 디지털 나르시스의 염세적 세계에서 빚어지는 시각의 과도 한 확장과 촉각의 과도한 절단에 대한 물음을 니체의 21세기적 재해석 통해 답변해보았다.
      번역하기

      사회적 거리두기의 장기화로 인한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의 급격한 전환 은 오프라인의 삶에 대한 박탈감의 위상을 좀 더 분명하고 빠르게 환기시킨다. 이러한 시점에서 디지털 문화가 ...

      사회적 거리두기의 장기화로 인한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의 급격한 전환 은 오프라인의 삶에 대한 박탈감의 위상을 좀 더 분명하고 빠르게 환기시킨다. 이러한 시점에서 디지털 문화가 아날로그 문화와 건강하게 공존하기 위해서 선 결되어야 할 과제는 디스토피아적 의혹을 넘어서는 유토피아적 전망의 실현 가 능성의 담보이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디지털 가상 세계와 접속된 우리 삶의 현주소에 대한 비판적 분석이 요청된다. 5G로 초연결되어 있는 디지털 인 류의 디지털 가상세계에 대한 비판적 분석은 진단적 문제에 대한 성찰을 경유한 다. 이때 주목해야 할 것은 세계의 모니터화와 인간의 망막화 현상이다. 즉 디지 털 세계의 역기능에 의해서 상실되고 있는 것에 대한 구체적인 파악이다.
      이와 같은 맥락을 배경으로 이 글의 2장에서는 플라톤의 인간과 세계의 정체 를 우화적으로 드러내는 그의 대화편 국가의 ‘동굴의 우화(Allegory of the Cave)’를 21세기 디지털 가상 세계의 시각주의적 경향과 접목하여 분석해 보았 다. 이를 위해 우선 ‘동굴의 우화’의 동굴의 수감자들과 그림자에 대한 플라톤의 시각적 해석을 살펴보고, 나아가 그림자에서 이데아로의 초월로 인한 인간의 지 성화와 세계의 개념화 그리고 이로 인한 인간의 탈-감각화와 세계의 탈-대지화 현상을 드러내 보았다. 3장에서는 디지털 가상적 망막 세계의 탈-감각화, 탈-대 지화 현상을 알아보기 위하여 미디어 이론가 매클루언(Marshall McLuhan)의 미디어의 이해: 인간의 확장과 미디어는 마사지다를 중심으로 우선 감각의 확 장으로서의 지성의 출현으로 인한 인간의 지성화와 세계의 개념화를 살펴보고, 나아가 이것의 결과로서 인간의 탈-신체화, 세계의 탈-대지화로 인한 신체의 역- 확장과 절단 그리고 나르시스의 죽음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4장에서는 이분 법적 분열을 기반으로 하는 양자택일적 확장과 절단을 넘어서는 니체의 존재론 적 사유를 ‘사이존재(Zwischensein)’라는 논자의 관점에서 해석해 보았다. 이를 위해 우선 존재의 확장과 절단의 악순환적 관계에 대한 대안적 사유의 요청을 제시하고, 여기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이 요청의 현실화로서 니체의 위버멘쉬 (Übermensch) 개념의 촉각적 의미를 사이인간이라는 해석을 통해 드러내보았 다. 이로써 단지 양자택일적으로 이분화되는 디지털 가상세계를 좀 더 풍요롭고 건강하게 할 수 있는 니체 기반의 치유적 인간관과 세계관을 포착해보았다. 그 럼으로써 논자는 자기 확장이자 자기 단절의 자기 동일성의 반영물에 갇힐 수 있는 비대면 시대의 디지털 나르시스의 염세적 세계에서 빚어지는 시각의 과도 한 확장과 촉각의 과도한 절단에 대한 물음을 니체의 21세기적 재해석 통해 답변해보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유발 하라리, "호모 데우스 : 미래의 역사" 김영사 2017

      2 김선희, "피로회복과 ‘사색적 삶, 활동적 삶 그리고 예술적 삶’의 치료적 관계" 한국니체학회 (35) : 141-170, 2019

      3 강성훈, "플라톤의 『국가』에서 선분 비유와 동굴 비유" 철학사상연구소 (27) : 165-200, 2008

      4 임성철, "플라톤 동굴 비유의 기원에 관하여" 새한철학회 4 (4): 2004

      5 플라톤, "파이드로스" 숲 2013

      6 메리 차이코, "초연결사회" 한울아카데미 2018

      7 이유택, "철학의 학문성과 하이데거-플라톤의 ‘동굴의 비유’ 해석을 중심으로" 6 : 257-283, 2001

      8 프리드리히 니체,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책세상 2018

      9 이한석, "입체영상에서 시각적 촉각성에 관한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10 (10): 355-363, 2009

      10 김선희, "염세주의와의 새로운 관계 방식으로서 니체의 아티케 비극 분석 - 강함의 염세주의와 약함의 염세주의" 한국니체학회 (39) : 7-40, 2021

      1 유발 하라리, "호모 데우스 : 미래의 역사" 김영사 2017

      2 김선희, "피로회복과 ‘사색적 삶, 활동적 삶 그리고 예술적 삶’의 치료적 관계" 한국니체학회 (35) : 141-170, 2019

      3 강성훈, "플라톤의 『국가』에서 선분 비유와 동굴 비유" 철학사상연구소 (27) : 165-200, 2008

      4 임성철, "플라톤 동굴 비유의 기원에 관하여" 새한철학회 4 (4): 2004

      5 플라톤, "파이드로스" 숲 2013

      6 메리 차이코, "초연결사회" 한울아카데미 2018

      7 이유택, "철학의 학문성과 하이데거-플라톤의 ‘동굴의 비유’ 해석을 중심으로" 6 : 257-283, 2001

      8 프리드리히 니체,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책세상 2018

      9 이한석, "입체영상에서 시각적 촉각성에 관한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10 (10): 355-363, 2009

      10 김선희, "염세주의와의 새로운 관계 방식으로서 니체의 아티케 비극 분석 - 강함의 염세주의와 약함의 염세주의" 한국니체학회 (39) : 7-40, 2021

      11 주은우, "시각과 현대성" 한나래 2006

      12 유발 하라리, "사피엔스 : 유인원에서 사이보그까지, 인간 역사의 대담하고 위대한 질문" 김영사 2015

      13 프리드리히. 니체, "비극의 탄생" 책세상 2005

      14 마셜 매클루언, "미디어의 이해: 인간의 확장" 커뮤니케이션북스 2020

      15 마셜 매클루언, "미디어는 맛사지다" 커뮤니케이션북스 2012

      16 최은, "마셜 맥루언과 텔레비전 - “Understanding Television" through Mcluhan" 영상예술학회 (6) : 281-309, 2005

      17 김선희, "디지털 인류 포노 사피엔스와 생각하는 인류 호모 사피엔스 사이 인간의 정체성에 대한 니체적 분석 - 플라톤의 슈퍼-도펠갱어로서 인공지능의 난점" 한국니체학회 (38) : 200-225, 2020

      18 신상희, "동굴의 비유 속에 결박된 철학자, 플라톤 - 하이데거가 바라보는 플라톤의 좋음의 이데아 성격과 진리경험의 변화에 관하여 -" 철학연구회 (84) : 171-196, 2009

      19 프리드리히 니체, "도덕의 계보" 책세상 2002

      20 이선, "니체의 여성적 진리와 수치심" 한국니체학회 (39) : 143-172, 2021

      21 플라톤, "국가" 도서출판 숲 2013

      22 주영민, "가상은 현실이다" 어크로스 2019

      23 Marshall McLuhan, "Understanding Media: The Extension of Man" Gingko Press 2003

      24 Marshall McLuhan, "The Medium Is the Massage: An Inventory of Effects" Jerome Agel Random House 1967

      25 F. Nietzsche, "Sämtliche Werke, Kritische Studienausgabe (KSA) Band1" Deutsche Taschenbuch Verlag de Gruyter 1980

      26 Platon, "PLATON WERKE IN ACHT BÄNDEN(GRIECHISCHE UND DEUTSCHE), VIERTER BAND" Druckhaus Darmstadt GmbH 1971

      27 F. Nietzsche, "KSA Band 4"

      28 F. Nietzsche, "KSA Band 1"

      29 Byung-Chul Han, "Die Errettung des Schönen" S. Fischer Verlag GmbH 2015

      30 Byung-Chul Han, "Die Austreibung des Anderen: Gesellschaft, Wahrnehmung und Kommunikation heute" S. Fischer Verlag GmbH 2016

      31 이혁재, "A Study of Visual Tactility in Digital Magazine to Improve Usability" Korea Digital Design Council 15 (15): 585-596, 2015

      32 고삼석, "5G 초연결사회 : 완전히 새로운 미래가 온다" 메디치 201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14 학술지등록 한글명 : 니체연구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Korean Nietzsche-Society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1 0.91 0.8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6 0.74 1.844 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