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유발 하라리, "호모 데우스 : 미래의 역사" 김영사 2017
2 김선희, "피로회복과 ‘사색적 삶, 활동적 삶 그리고 예술적 삶’의 치료적 관계" 한국니체학회 (35) : 141-170, 2019
3 강성훈, "플라톤의 『국가』에서 선분 비유와 동굴 비유" 철학사상연구소 (27) : 165-200, 2008
4 임성철, "플라톤 동굴 비유의 기원에 관하여" 새한철학회 4 (4): 2004
5 플라톤, "파이드로스" 숲 2013
6 메리 차이코, "초연결사회" 한울아카데미 2018
7 이유택, "철학의 학문성과 하이데거-플라톤의 ‘동굴의 비유’ 해석을 중심으로" 6 : 257-283, 2001
8 프리드리히 니체,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책세상 2018
9 이한석, "입체영상에서 시각적 촉각성에 관한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10 (10): 355-363, 2009
10 김선희, "염세주의와의 새로운 관계 방식으로서 니체의 아티케 비극 분석 - 강함의 염세주의와 약함의 염세주의" 한국니체학회 (39) : 7-40, 2021
1 유발 하라리, "호모 데우스 : 미래의 역사" 김영사 2017
2 김선희, "피로회복과 ‘사색적 삶, 활동적 삶 그리고 예술적 삶’의 치료적 관계" 한국니체학회 (35) : 141-170, 2019
3 강성훈, "플라톤의 『국가』에서 선분 비유와 동굴 비유" 철학사상연구소 (27) : 165-200, 2008
4 임성철, "플라톤 동굴 비유의 기원에 관하여" 새한철학회 4 (4): 2004
5 플라톤, "파이드로스" 숲 2013
6 메리 차이코, "초연결사회" 한울아카데미 2018
7 이유택, "철학의 학문성과 하이데거-플라톤의 ‘동굴의 비유’ 해석을 중심으로" 6 : 257-283, 2001
8 프리드리히 니체,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책세상 2018
9 이한석, "입체영상에서 시각적 촉각성에 관한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10 (10): 355-363, 2009
10 김선희, "염세주의와의 새로운 관계 방식으로서 니체의 아티케 비극 분석 - 강함의 염세주의와 약함의 염세주의" 한국니체학회 (39) : 7-40, 2021
11 주은우, "시각과 현대성" 한나래 2006
12 유발 하라리, "사피엔스 : 유인원에서 사이보그까지, 인간 역사의 대담하고 위대한 질문" 김영사 2015
13 프리드리히. 니체, "비극의 탄생" 책세상 2005
14 마셜 매클루언, "미디어의 이해: 인간의 확장" 커뮤니케이션북스 2020
15 마셜 매클루언, "미디어는 맛사지다" 커뮤니케이션북스 2012
16 최은, "마셜 맥루언과 텔레비전 - “Understanding Television" through Mcluhan" 영상예술학회 (6) : 281-309, 2005
17 김선희, "디지털 인류 포노 사피엔스와 생각하는 인류 호모 사피엔스 사이 인간의 정체성에 대한 니체적 분석 - 플라톤의 슈퍼-도펠갱어로서 인공지능의 난점" 한국니체학회 (38) : 200-225, 2020
18 신상희, "동굴의 비유 속에 결박된 철학자, 플라톤 - 하이데거가 바라보는 플라톤의 좋음의 이데아 성격과 진리경험의 변화에 관하여 -" 철학연구회 (84) : 171-196, 2009
19 프리드리히 니체, "도덕의 계보" 책세상 2002
20 이선, "니체의 여성적 진리와 수치심" 한국니체학회 (39) : 143-172, 2021
21 플라톤, "국가" 도서출판 숲 2013
22 주영민, "가상은 현실이다" 어크로스 2019
23 Marshall McLuhan, "Understanding Media: The Extension of Man" Gingko Press 2003
24 Marshall McLuhan, "The Medium Is the Massage: An Inventory of Effects" Jerome Agel Random House 1967
25 F. Nietzsche, "Sämtliche Werke, Kritische Studienausgabe (KSA) Band1" Deutsche Taschenbuch Verlag de Gruyter 1980
26 Platon, "PLATON WERKE IN ACHT BÄNDEN(GRIECHISCHE UND DEUTSCHE), VIERTER BAND" Druckhaus Darmstadt GmbH 1971
27 F. Nietzsche, "KSA Band 4"
28 F. Nietzsche, "KSA Band 1"
29 Byung-Chul Han, "Die Errettung des Schönen" S. Fischer Verlag GmbH 2015
30 Byung-Chul Han, "Die Austreibung des Anderen: Gesellschaft, Wahrnehmung und Kommunikation heute" S. Fischer Verlag GmbH 2016
31 이혁재, "A Study of Visual Tactility in Digital Magazine to Improve Usability" Korea Digital Design Council 15 (15): 585-596, 2015
32 고삼석, "5G 초연결사회 : 완전히 새로운 미래가 온다" 메디치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