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양해림, "현대인을 위한 서양철학사" 집문당 2020
2 제들마이어, 한스, "현대예술의 혁명" 한길사 2006
3 해리스, K., "현대미술, 그 철학적 의미" 서광사 1988
4 타타르키비츠, 브와디스와프, "타타르키비츠 미학사: 근대미학" 미술문화 2014
5 타타르키비츠, 브와디스와프, "타타르키비츠 미학사: 고대미학" 미술문화 2016
6 안나 모진스키, "추상미술의 역사" 2016
7 마순자, "추상미술, 그 의미의 다의성" 서양미술사학회 (24) : 129-151, 2005
8 빌헬름 보링거, "추상과 감통" 경기대학교 출판부 2006
9 빌헬름 보링거, "추상과 감정이입" 계명대학교 출판부 1982
10 김재희, "추상: 비가시적인 삶의 파토스-미셸 앙리의 칸딘스키론-" 철학사상연구소 (28) : 347-377, 2008
1 양해림, "현대인을 위한 서양철학사" 집문당 2020
2 제들마이어, 한스, "현대예술의 혁명" 한길사 2006
3 해리스, K., "현대미술, 그 철학적 의미" 서광사 1988
4 타타르키비츠, 브와디스와프, "타타르키비츠 미학사: 근대미학" 미술문화 2014
5 타타르키비츠, 브와디스와프, "타타르키비츠 미학사: 고대미학" 미술문화 2016
6 안나 모진스키, "추상미술의 역사" 2016
7 마순자, "추상미술, 그 의미의 다의성" 서양미술사학회 (24) : 129-151, 2005
8 빌헬름 보링거, "추상과 감통" 경기대학교 출판부 2006
9 빌헬름 보링거, "추상과 감정이입" 계명대학교 출판부 1982
10 김재희, "추상: 비가시적인 삶의 파토스-미셸 앙리의 칸딘스키론-" 철학사상연구소 (28) : 347-377, 2008
11 아르투어 쇼펜하우어, "의지와 표상으로서의 세계" 을유문화사 2019
12 시릴 모라나, "예술철학-플라톤에서 들뢰즈까지" 미술문화 2019
13 조요한, "예술철학" 미술문화 2015
14 수잔 K. 랭거, "예술이란 무엇인가" 문예출판사 2016
15 조창오, "예술의 종말과 현대미술" 상상창작소 2019
16 다네히사, 오타베, "예술의 조건" 한길사 2017
17 바실리 칸딘스키, "예술에 있어서 정신적인 것에 관하여" 열화당 1994
18 곰브리치, E. H., "예술과 환영-회화적 재현의 심리학적 연구" 열화당 2016
19 박정기, "알로이스 리글의 “양식사로서의 미술사”-방법론적 근본 문제를 중심으로" 한국미학예술학회 16 : 2002
20 만, 토마스, "쇼펜하우어, 니체, 프로이트" 새창미디어 2009
21 이서규, "쇼펜하우어 vs 니체" 세창출판사 2020
22 이윤희, "세계미술 용어사전" 월간미술 2017
23 김나영, "서양 현대미술의 기원" 시공사 1997
24 니체, 프리드리히, "비극의 탄생" 아카넷 2013
25 오종환, "미학의 문제와 방법-미학대계 제2권"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7
26 헤겔, 게오르크, "미학강의" 지식을만드는지식 2012
27 함머마이스터, 카이, "독일미학전통-바움가르텐부터 아도르노까지" 이학사 2020
28 박찬국, "니체와 쇼펜하우어의 비교고찰: 『비극의 탄생』을 중심으로" 한국하이데거학회 (57) : 1-38, 2020
29 양해림, "니체와 그리스 비극 : 「비극의 탄생」과 포스트 니체" 한국문화사 2017
30 이진우, "니체, 실험적 사유와 극단의 사상" 책세상 2010
31 백승영, "니체, 디오니소스적 긍정의 철학" 책세상 2011
32 고명섭, "니체 극장" 김영사 2012
33 화이트헤드, 알프레드. N., "과정과 실재" 민음사 2011
34 Hegel, G. W., "Ästhetik, 2vols" 1955
35 Kandinsky, Wassily, "Whither the ‘new’ art?" 1 : 1982
36 Read, Herbert, "The Philosopphy of Modern Art" Meridian Books 1955
37 Schopenhauer, Arthur, "Sämtliche Werke, 5Bde" 1986
38 Whitehead, A. N., "Symbolism: Its Meaning and Effect"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28
39 김주휘, "Reading The Birth of Tragedy -Nietzsche versus Schopenhauer-" Institute for Philosophy null (null): 75-105, 2008
40 Donahue, Neil H., "Invisible Cathedrals: The Expressionist Art History of Wilhelm Worringer" The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Press 1995
41 Perteck, David, "Idee und Wille" 2010
42 Ghiberti, Lorenzo, "I commentari, a cura di Ottavio Morisani" R. Ricciardi 1947
43 Rzepinska, M., "Estetyka, IV" Warszawa 1963
44 Seu-Kyou Lee, "Eine Untersuchung über den Kunstbegriff bei A. Schopenhauer" Korea Society for Philosophy East-West null (null): 125-149, 2009
45 Sedlmayr, Hans, "Die Revolution der modernen Kunst" Rowohlt 1955
46 Barr, Alfred H, "Cubism and Abstract Art"
47 Hyangsook Kim, "Abstraktion und Einfühlung von Wilhelm Worringer: Bedingungen der Stilpsychologie" Korean Society for Art History null (null): 39-66, 2010
48 Worringer, Wilhelm, "Abstraktion und Einfühlung" 2007
49 Worringer, Wilhelm, "Abstraction and Empathy- A Contribution to the Psychology of Style" Martino Publishing Mansfield Centre 2014
50 Nietzsche, Friedrich Wilhelm, "15 Banden, Giorio colli/Mazzino Montinari, Bd. 1" Walter de Druyter 19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