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먼지 문제의 해결을 위한 정부의 미세먼지 저감대책 이행을 위해 모든 분야에서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노력이 경주되고 있다. 특히 미세먼지의 주요 배출원으로 지목되고 있는 화력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540929
2019
-
500
학술저널
123-123(1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미세먼지 문제의 해결을 위한 정부의 미세먼지 저감대책 이행을 위해 모든 분야에서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노력이 경주되고 있다. 특히 미세먼지의 주요 배출원으로 지목되고 있는 화력발...
미세먼지 문제의 해결을 위한 정부의 미세먼지 저감대책 이행을 위해 모든 분야에서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노력이 경주되고 있다. 특히 미세먼지의 주요 배출원으로 지목되고 있는 화력발전소들에 대한 미세먼지 배출저감 요구가 이어지고 있고 발전분야에서는 이런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발전효율 향상 및 환경설비 개선과 같은 다양한 미세먼지 저감 대책을 수립하고 시행 중에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전력분야 미세먼지 배출 현황 및 저감 대책 그리고 화력발전소 오염제어설비의 미세먼지 저감효과 평가결과 등을 정리하였다. 또한 발전소 주변지역에서 미세먼지 측정 및 성분 분석결과, 2차 미세먼지 전구물질의 대기 중에서의 전환 평가와 우리나라 미세먼지 농도에 미치는 주요 배출원에 의한 영향을 평가하였다. 우리나라 화력발전소에는 탈질설비, 전기집진기, 탈황설비와 같은 오염제어설비가 설비되어 있어 배가스 중 질소산화물, 먼지 및 황산화물을 고효율로 제거하고 있으며 특히 미세먼지를 포함한 먼지는 습식탈황설비에서 추가적으로 제거되므로 3mg/㎥수준의 저농도로 배출되고 있다. 본 결과는 화력발전소 미세먼지 제어 대책수립에 활용될 수 있다.
Liver cancer diagnosis based on total serum protein fingerprinting using MALDI-TOF-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