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날 영상매체들에서 현실과 가상에서의 시․공간이 끊임없이 복잡하게 혼재되는 양상을 보인다. 대중들에게 큰 사랑을 받으며 동명의 애니메이션 개봉을 앞두고 있는 웹툰 <타이밍>...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오늘날 영상매체들에서 현실과 가상에서의 시․공간이 끊임없이 복잡하게 혼재되는 양상을 보인다. 대중들에게 큰 사랑을 받으며 동명의 애니메이션 개봉을 앞두고 있는 웹툰 <타이밍>...
오늘날 영상매체들에서 현실과 가상에서의 시․공간이 끊임없이 복잡하게 혼재되는 양상을 보인다. 대중들에게 큰 사랑을 받으며 동명의 애니메이션 개봉을 앞두고 있는 웹툰 <타이밍>에서도 현실과 가상의 시․공간 혼재양상이 등장한다. 이에 본고에서는 웹툰 <타이밍>의 주인공 박자기의 ‘꿈’과 ‘기억’이라는 키워드를 중심으로 한 텍스트 분석을 통해 작품에서 보여지는 독특한 시․공간 재현방식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우선 <타이밍>에서는 ‘꿈’이라는 장치를 활용해 현실과 꿈을 오가는 환몽구조 플롯을 형성하며, 현실과 가상의 시․공간을 치환시키고 있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주인공의 자아성찰과 성장을 그리고 있다. 작품 속 ‘꿈’이 가지는 함의는 시간과 공간으로 이루어진 세계가 객관적인 실체가 아닌 우리의 마음과 연계되어 인간이 세계를 바라보는 형식이라는 동양의 불교사상, 서양의 칸트이론과 연계되는 지점이 있다.
또한 작품에서 ‘기억’이라는 장치는 꿈이 또 다른 현실의 양태로서 존재하고, 현실과 가상의 시․공간이 치환되는 전제조건으로서 작용한다. 박자기가 자신의 꿈을 기억해내는 순간에야 비로소, 그녀의 끔찍했던 꿈은 가상으로 존재할 수 있는 것이다. 작품 속 기억의 의미는 삶의 지속 관점에서 과거와 현재를 연속시키는 매개로서 기억에 대해 연구한 베르그송의 이론과 연계되는 지점이 있다.
결과적으로 <타이밍>에서는 또 다른 가능성을 가진 현실을 경험하는 통로로 꿈이, 그 꿈을 현실과 연속시키는 매개로 기억이 설정된다. 작품에서 보여주는 현실과 가상의 시․공간 혼재양상은 가상의 개념이 현실에 내포된 또 다른 현실로서의 잠재성일 수 있다는 인식에서 비롯되는 것이다. 그리고 작품에서 그려지는 현실과 가상의 복잡한 관계는 결국 우리가 살아가는 현재에 대한 관심을 반영이라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Reference)
1 한자경, "칸트와 초월철학" 서광사 1992
2 김재호, "칸트 ‘초월적 관념론’(Transzendentaler Idealismus)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 철학사상연구소 (39) : 101-128, 2011
3 앙리 베르그송, "의식에 직접 주어진 것들에 관한 시론" 아카넷 2001
4 소광희, "시간의 철학적 성찰" 문예출판사 2001
5 칸트, "순수이성 비판" 홍신문화사 2006
6 한자경, "불교의 무아론"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6
7 앙리 베르그송, "물질과 기억" 아카넷 2005
8 변학수, "문학적 기억의 탄생" 열린책들 2008
9 유종국, "몽유록소설 연구" 아세아문화사 1987
10 "만화 속 세상"
1 한자경, "칸트와 초월철학" 서광사 1992
2 김재호, "칸트 ‘초월적 관념론’(Transzendentaler Idealismus)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 철학사상연구소 (39) : 101-128, 2011
3 앙리 베르그송, "의식에 직접 주어진 것들에 관한 시론" 아카넷 2001
4 소광희, "시간의 철학적 성찰" 문예출판사 2001
5 칸트, "순수이성 비판" 홍신문화사 2006
6 한자경, "불교의 무아론"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6
7 앙리 베르그송, "물질과 기억" 아카넷 2005
8 변학수, "문학적 기억의 탄생" 열린책들 2008
9 유종국, "몽유록소설 연구" 아세아문화사 1987
10 "만화 속 세상"
11 두산동아백과사전연구소 편집부, "두산세계대백과사전" 두산동아 1996
12 김도현, "꿈 소설의 전개양상과 작가의식 연구 -원생몽유록과 옥루몽을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13 최문규, "기억과 망각" 책세상 2003
14 강상순, "고소설에서 환상성의 몇 유형과 환몽소설의 환상성" 한국고소설학회 (15) : 2-54, 2003
15 한자경, "경험세계의 가상성(假象性) - 세친과 칸트의 비교 -" 한국칸트학회 (23) : 143-168, 2009
16 강현구, "강풀 장편만화 스토리텔링의 경쟁력" 인문콘텐츠학회 (10) : 235-262, 2007
17 남정희, "『삼국유사』 소재 설화 「조신調信」이 현대 매체로 수용된 양상과 그 의미 ─이광수의 소설과 신상옥·배창호의 영화를 중심으로" 국제어문학회 (57) : 199-223, 2013
18 최종운, "<구운몽>과 <옥루몽>의 구조적 특징과 이념세계 연구 - 환몽구조 초기 형태의 원리를 바탕으로 -" 한국어문학회 (89) : 211-232, 2005
‘영화도시’에서 ‘유네스코 영화창조도시’로: 부산의 여정과 과제
세계-몸을 쓰는 영상-증언으로서의 다큐-매체성:<쓰나미 후에 오는 것들>과 '겨울의 눈빛': 장 뤽 낭시 '영화의 증거'의 관점에서
실험영화 <안더스, 몰루시아>(2001)의 반미적 표상: 무리수적 몽타주와 알레고리의 해체주의적 관점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18 | 평가예정 |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후보1차) | |
201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 탈락 (기타)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05-05-02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Visual Art Society -> Association of Image & Film Studies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6 | 0.46 | 0.3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4 | 0.29 | 0.852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