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팔공산 관봉 석조여래좌상의 양식 특징과 조성 배경 - 통일신라기 五岳信仰과 관련하여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머리말
      • Ⅱ. 형식 및 양식, 조성시기
      • Ⅲ. 조성배경 -통일신라기 五岳信仰과 관련하여-
      • Ⅳ. 산정에 위치한 불상들
      • Ⅴ. 맺음말
      • Ⅰ. 머리말
      • Ⅱ. 형식 및 양식, 조성시기
      • Ⅲ. 조성배경 -통일신라기 五岳信仰과 관련하여-
      • Ⅳ. 산정에 위치한 불상들
      • Ⅴ. 맺음말
      • 참고문헌
      • 국문초록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목포대학교 박물관, "靈巖 月出山 祭祀遺蹟" 1996

      2 최성은, "해남 대흥사 북미륵암 마애여래좌상에 대한 고찰" 한국고대학회 (37) : 249-272, 2012

      3 김리나, "항마촉지인불좌상연구, In 한국불교미술사론" 민족사 1987

      4 권규식, "한국인의 종교의식 -갓바위 부처 참배자들의 종교의식을 중심으로-" 효성여자대학교 5 : 1989

      5 허흥식, "한국 신령의 고향을 찾아서" 집문당 2006

      6 김춘실, "한국 如來像의 着衣 形式 변천" 충북대학교 중원문화연구소 18․19 : 2012

      7 김춘실, "통일신라말~고려전기 전법륜인 석불임상의 고찰" 충북대학교 중원문화연구소 15 : 2010

      8 문명대, "토함산석굴" 한․언 2000

      9 최성은, "창녕 관룡사 용선대 석불좌상 小考-造像銘文과 중대신라 불교조각" 신라사학회 (16) : 225-260, 2009

      10 문경현, "신라인의 산앙숭배와 산신" 12 : 1991

      1 목포대학교 박물관, "靈巖 月出山 祭祀遺蹟" 1996

      2 최성은, "해남 대흥사 북미륵암 마애여래좌상에 대한 고찰" 한국고대학회 (37) : 249-272, 2012

      3 김리나, "항마촉지인불좌상연구, In 한국불교미술사론" 민족사 1987

      4 권규식, "한국인의 종교의식 -갓바위 부처 참배자들의 종교의식을 중심으로-" 효성여자대학교 5 : 1989

      5 허흥식, "한국 신령의 고향을 찾아서" 집문당 2006

      6 김춘실, "한국 如來像의 着衣 形式 변천" 충북대학교 중원문화연구소 18․19 : 2012

      7 김춘실, "통일신라말~고려전기 전법륜인 석불임상의 고찰" 충북대학교 중원문화연구소 15 : 2010

      8 문명대, "토함산석굴" 한․언 2000

      9 최성은, "창녕 관룡사 용선대 석불좌상 小考-造像銘文과 중대신라 불교조각" 신라사학회 (16) : 225-260, 2009

      10 문경현, "신라인의 산앙숭배와 산신" 12 : 1991

      11 홍순창, "신라의 삼산 오악에 대하여" 4 : 1983

      12 나희라, "신라의 국가제사" 지식산업사 2003

      13 황수영, "석굴암의 창건과 연혁" 8 : 1964

      14 황수영, "석굴암본존 아미타여래좌상 소고" 136․137 : 1978

      15 민영규, "석굴암 조상의 교리배경(1)" 13 : 1961

      16 강우방, "석굴암 불교조각의 도상해석" 57 : 1996

      17 강우방, "석굴암 불교조각의 도상" 56 : 1995

      18 한국불교연구원, "석굴암" 일지사 1974

      19 김상현, "석굴사 및 불국사의 연구 -그 창건과 사상적 배경-" 한국불교연구원 2 : 1985

      20 김춘실, "대흥사 북미륵암 마애여래좌상의 도상과 양식, In 대흥사 북미륵암마애여래좌상 -조사보고서-" 대흥사, 동국대학교 박물관 2005

      21 최광식, "고대 한국의 국가와 제사" 한길사 1994

      22 이필영, "계룡산 중악단의 역사, In 계룡산 산신제 복원 조사보고서" 공주시, 공주민속극박물관 1997

      23 김종국, "경산지역 전설의 현장적 연구" 대구대학교 2007

      24 "高麗史"

      25 심봉근, "陜川 청량사지와 석조물" 동아대학교 박물관 9 : 1993

      26 주진령, "統一新羅 下代 불상의 二重着衣法 硏究" 233․234 : 2002

      27 사찰문화연구원, "禪本寺 寺誌, 갓바위 부처님" 1996

      28 金相鉉, "新羅華嚴思想史硏究" 民族社 1991

      29 李基白, "新羅 五岳의 成立과 그 意義, In 新羅政治社會史硏究" 一潮閣 1980

      30 정성권, "寶蓋 착용 석불 연구-寶蓋를 중심으로-" 한국문화사학회 (21) : 719-740, 2004

      31 김도현, "史料로 읽는 太白山과 天祭" 강원도민일보,태백시 2009

      32 정영호, "八公山頂의 石佛 兩軀" 2 (2): 1961

      33 강우방, "仙桃山阿彌陀三尊大佛論" 21 : 1977

      34 "三國遺事"

      35 "三國史記"

      36 "『宋高僧傳』卷4 新羅國義湘傳"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5 0.95 1.0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4 0.78 1.654 0.3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