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장애학생 보호자가 참여한 긍정적 행동중재 및 지원과 관련된 단일대상연구 분석 = Analysis of Single-Subject Studies on Positive Behavior Interventions and Supports Including Caregiver Particip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24849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is study analyzes single-subject studies on positive behavior interventions and supports(PBIS) including caregiver particip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Method: Twenty-one single-subject studies published from 2011 to 2022 were anal...

      Purpose: This study analyzes single-subject studies on positive behavior interventions and supports(PBIS) including caregiver particip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Method: Twenty-one single-subject studies published from 2011 to 2022 were analyzed by general characteristics, independent variables, intervention effects, and the quality indicators of evidence-based practices developed by the Council for Exceptional Children(2014) and Horner and his colleagues(2005). Result: First, the most widely selected study samples were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Students‘ homes and special schools were most widely used as places for intervention. Second, the most widely implemented interventions were caregiver participation in PBIS conferences and communication education, consequence-based interventions, and individualized PBIS interventions. Third, all 21 studies reported intervention effects on decreasing problem behaviors and/or increasing desirable behaviors. While 20 studies(95.7%) examined maintenance effects, only five studies(23.8%) examined generalization effects. Fourth, nine studies(42.9%) entirely fulfilled the quality indicators of evidence-based practices. Conclusion: Positive behavior interventions and supports including caregiver participation are effective in decreasing problems behaviors and increasing desirable behavior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quality indicators of evidence-based practices need to be entirely fulfilled by single subject studies on positive behavior interventions and support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학생 보호자가 참여한 긍정적 행동중재 및 지원과 관련된 단일대상연구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분석 대상 논문은 2011년부터 2022년까지 국내 장애학...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학생 보호자가 참여한 긍정적 행동중재 및 지원과 관련된 단일대상연구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분석 대상 논문은 2011년부터 2022년까지 국내 장애학생 보호자가 참여한 긍정적 행동중재 및 지원과 관련된 단일대상연구 논문 21편이었다. 각 논문의 일반적 특성, 중재변인 및 중재결과를 분석하고, CEC(2014)와 Horner 외(2005)가 제시한 증거기반 실제의 질적 평가 지표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연구 대상의 장애 유형은 지적장애학생이 연구 대상에 포함된 연구가 11편으로 가장 많았고, 학교급의 분석 결과 초등학생이 연구 대상에 포함된 연구가 13편(61.9%)으로 가장 많았으며, 가정과 특수학교가 중재 장소인 연구가 각각 7편으로 가장 많았다. 또한, 보호자인 중재자가 ‘부모’라고 명시된 연구가 17편이고 ‘모’라고 명시된 연구가 3편이었다. 둘째, 보호자 참여 유형은 PBIS팀 협의회와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교육인 연구가 각각 6편으로 가장 많았고, 보호자의 역할은 자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가정내 중재에 참여한 연구가 20편으로 가장 많았다. PBIS 전문가가 참여한 연구가 21편 중 13편이었다. 모든 분석대상 논문이 개별차원을 포함하였으며 3편은 학급차원의 중재도 포함하였다. 셋째, 중재결과에서는 학생의 도전적 행동이 종속변인인 연구가 12편으로 가장 많았고, 유지효과를 검증한 연구가 20편이었으며 일반화를 검증한 연구는 5편이었다. 넷째, 질적 분석 결과 모든 질적 지표를 충족한 연구는 9편(42.9%)이었다. 결론: 장애학생 보호자가 참여한 긍정적행동 중재 및 지원은 문제행동을 감소시키고 바람직한 행동을 증가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 이와 관련된 단일대상연구는 증거기반 실제의 질적 평가 지표를 충족시킬 필요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엄문영 ; 오범호 ; 유지성, "학부모 학교참여 영향요인 분석" 한국학부모학회 9 (9): 61-81, 2022

      2 박근필 ; 이영철, "학급 및 개별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문제행동, 활동참여행동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7 (57): 195-220, 2018

      3 박주연 ; 이희광, "학교, 방과후교육기관, 가정간 연계를 통한 긍정적 행동지원이 경도정신지체 학생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3 (13): 1-27, 2011

      4 최지연 ; 이병인, "특수교육대상아동 가족 참여 중재 관련 국내 단일대상연구 동향 및 질적 지표 분석" 특수교육연구소 36 (36): 19-51, 2020

      5 이예다나 ; Liang, Zhang ; Jiaxuan, Shi, "질적 지표에 근거한 경계선 지적 기능 학생의 교육에 관한 국내 중재 연구 동향 분석" 특수교육연구소 36 (36): 159-180, 2020

      6 박혜영 ; 방명애 ; 박상희, "직업동화를 활용한 진로교육프로그램이 발달장애 고등학생의 진로성숙도와 수업참여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14 (14): 77-98, 2021

      7 오경화 ; 방명애, "지적장애학생을 위한 과학교육 관련 집단 중재연구 분석"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22 (22): 221-244, 2020

      8 성경선 ; 방명애, "증거기반 실제의 질적 지표에 근거한 초등 장애학생 통합교육 관련 단일대상 연구 분석"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8 (18): 171-198, 2017

      9 황순영 ; 강승희 ; 김정은 ; 정은영 ; 차세진, "장애학생 학부모 상담 지원 방안 탐색"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38 (38): 173-197, 2022

      10 조재규, "장애학생 대상 긍정적 행동지원 실험연구 동향 및 내용 분석"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37 (37): 265-291, 2021

      1 엄문영 ; 오범호 ; 유지성, "학부모 학교참여 영향요인 분석" 한국학부모학회 9 (9): 61-81, 2022

      2 박근필 ; 이영철, "학급 및 개별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문제행동, 활동참여행동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7 (57): 195-220, 2018

      3 박주연 ; 이희광, "학교, 방과후교육기관, 가정간 연계를 통한 긍정적 행동지원이 경도정신지체 학생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3 (13): 1-27, 2011

      4 최지연 ; 이병인, "특수교육대상아동 가족 참여 중재 관련 국내 단일대상연구 동향 및 질적 지표 분석" 특수교육연구소 36 (36): 19-51, 2020

      5 이예다나 ; Liang, Zhang ; Jiaxuan, Shi, "질적 지표에 근거한 경계선 지적 기능 학생의 교육에 관한 국내 중재 연구 동향 분석" 특수교육연구소 36 (36): 159-180, 2020

      6 박혜영 ; 방명애 ; 박상희, "직업동화를 활용한 진로교육프로그램이 발달장애 고등학생의 진로성숙도와 수업참여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14 (14): 77-98, 2021

      7 오경화 ; 방명애, "지적장애학생을 위한 과학교육 관련 집단 중재연구 분석"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22 (22): 221-244, 2020

      8 성경선 ; 방명애, "증거기반 실제의 질적 지표에 근거한 초등 장애학생 통합교육 관련 단일대상 연구 분석"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8 (18): 171-198, 2017

      9 황순영 ; 강승희 ; 김정은 ; 정은영 ; 차세진, "장애학생 학부모 상담 지원 방안 탐색"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38 (38): 173-197, 2022

      10 조재규, "장애학생 대상 긍정적 행동지원 실험연구 동향 및 내용 분석"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37 (37): 265-291, 2021

      11 김은경 ; 방명애 ; 박현옥, "자폐성장애 교육 관련 연구의 동향 분석: 국내 특수교육 분야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한국특수교육학회 49 (49): 167-193, 2014

      12 조수현 ; 방명애 ; 홍점숙, "자폐성 장애학생을 위한 긍정적 행동지원과 관련된 국외 실험연구 분석"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34 (34): 584-604, 2018

      13 박다해, "어머니-교사와의 협력을 통한 개별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ADHD 성향 유아의유치원에서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36 (36): 111-137, 2017

      14 문소희 ; 유순화, "어머니 코칭을 활용한 긍정적행동지원 적용이 다문화 가정 ADHD 아동의 어머니에 대한 폭력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36 (36): 1-22, 2020

      15 조정연 ; 신윤희, "어머니 코칭을 통한 긍정적행동지원이 자폐스펙트럼장애 자녀의 이식행동과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효능감에 미치는 변화"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35 (35): 367-386, 2019

      16 조정연, "생태학적 접근을 통한 긍정적 행동지원: 공격행동을 나타내는 남자 중학생 사례중심으로"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8 (28): 173-192, 2012

      17 박혜영 ; 방명애, "발달장애 학생을 위한 교과교육 관련 단일대상 연구 분석" 한국자폐학회 20 (20): 141-166, 2020

      18 김윤숙, "발달장애 아동 부모를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목포대학교 대학원 2021

      19 소명희 ; 김윤희, "긍정적 행동지원이 ADHD 아동의 가정 내 자율학습시간 문제행동과 과제참여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9 (29): 165-193, 2016

      20 김창호 ; 이미애 ; 이근매, "긍정적 행동지원(PBS)이 중증 자폐성장애 학생의 자해 행동, 자리이탈 행동, 자위 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아동학회 16 (16): 287-306, 2014

      21 한은선 ; 김은경, "그림교환의사소통체계(PECS)를 활용한 긍정적 행동지원이 자폐성장애 초등학생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행동분석학회 3 (3): 17-41, 2016

      22 부현숙 ; 백은희, "개별화된 긍정적 행동지원이 초등학교 통합학급 정신지체 아동의 수업 참여와 수업 방해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7 (17): 49-71, 2015

      23 김대용 ; 백은희, "개별화된 긍정적 행동지원이 자폐성장애학생의 공격행동과 수업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교육학회 50 (50): 177-197, 2016

      24 이선희 ; 이광림 ; 서영희 ; 백은희, "개별화된 긍정적 행동지원이 자폐성 장애 초등학생의 수업 방해 행동 및 요구하기 기술 교수에 미치는 영향" 한국행동분석학회 7 (7): 1-21, 2020

      25 김형준 ; 전민정 ; 김정민 ; 백은희 ; 곽승철, "개별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중증 지적장애학생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5 (15): 129-150, 2013

      26 임해주 ; 김정민 ; 백은희 ; 전혜영, "개별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중증 정신지체학생의 수업 방해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교육학회 48 (48): 49-69, 2013

      27 김정민 ; 전병운 ; 임해주, "개별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중증 자폐성 장애중학생의 특수학급에서의 수업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교육학회 49 (49): 45-67, 2014

      28 정환별 ; 백은희 ; 김정민, "개별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정신지체 초등학생의 자리이탈 행동과 과제수행 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아동학회 13 (13): 193-217, 2011

      29 송민영 ; 이윤석 ; 서영희 ; 도경만 ; 백은희, "개별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일반학교 통합환경의 지적장애 초등학생의 수업 방해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행동분석학회 5 (5): 159-179, 2018

      30 김창호 ; 최미점, "개별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PBS)이 지적장애 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행동분석학회 5 (5): 21-43, 2018

      31 권회연 ; 김미선, "가족이 중재자로 참여한 긍정적 행동지원 연구 특성 고찰"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8 (18): 23-44, 2016

      32 이종희, "가정에서 실시한 개별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아스퍼거 증후군 초등학생의 문제행동과 과제수행에 미치는 효과" 한국행동분석학회 3 (3): 65-84, 2016

      33 박소현 ; 황순영 ; 장우영, "가정과 연계한 긍정적 행동지원 프로그램이 발달장애아동의 식사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5 (55): 179-198, 2012

      34 이민정 ; 이효신, "가정 내 개별적 PBS를 통한 발달장애 아동의 문제행동 개선"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34 (34): 177-194, 2018

      35 Brookman-Frazee, L., "Using parent/clinician partnerships in parent education programs for children with autism" 6 (6): 195-213, 2004

      36 Horner, R. H., "The use of single­subject research to identify evidence­based practice in special education" 71 (71): 165-179, 2005

      37 Dunlap, G., "Research synthesis on effective intervention procedures: Executive summary" Center for Evidence Based Practices: Young Children with Challenging Behavior

      38 Moher, D.,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protocols(PRISMA-P)2015 statement" 4 (4): 1-9, 2015

      39 Wehman, P., "Predictors of successful transition from school to employment for youth with disabilities" 25 (25): 323-334, 2015

      40 Sugai, G, "Positive behavioral interventions and supports: History, defining features, and misconceptions"

      41 Hieneman, M., "Positive behavior support for individuals with behavior challenges" 8 (8): 101-108, 2015

      42 Beaudoin, A. J., "Parent training interventions for toddler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Hindawi Publishing Corporation Autism Research and Treatment 1-15, 2014

      43 Bambara, L. M., "Individualized supports for students with problem behaviors: Designing positive behavior plans" Guilford Press 2021

      44 Dunlap, G., "Function­based interventions for children with challenging behavior" 33 (33): 333-343, 2011

      45 Minke, K. M., "Family­School collaboration and positive behavior support" 7 (7): 181-185, 2005

      46 Fox, L., "Early intervention, positive behavior support, and transition to school" 10 (10): 149-157, 2002

      47 Council for Exceptional Children, "Council for Exceptional Children : standards for evidence­based practices in special education" 80 (80): 504-511, 2014

      48 Carter, D. R., "Class­wide positive behavior support in preschool : Improving teacher implementation through consultation" 38 (38): 279-288, 2010

      49 McIntyre, L. L., "Best practices in systems­level organization and support for effective family­school partnerships" 31 : 455-465, 2014

      50 장성은, "ADHD 아동의 긍정적 행동지원을 통한 문제행동 단일사례연구" 13 (13): 1-15, 201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