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조선시대 對馬島 연구의 현황과 과제 = A Historiography of Tsushima in the Joseon Perio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52844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examines the current status of historical research on Tsushima during the Joseon period through readings of relevant books and articles published between 1945 and September 2012.
      First, the study of Tsushima during the Joseon period was led by Japanese scholars, and their research has appeared continuously.
      Compared to the consistent publications by Japanese scholars, the study of Tsushima in the Republic of Korea began in the 1960s, but slowed in the 1970s and 1980s. In the 1990s, research became invigorated as studies focused on aspects of diplomatic systems and mutual recognition between Joseon and Japan. Since 2000, Korean scholars have moved beyond the earlier systematic studies and now approach this subject through various themes. The horizon of scholarship on Tsushima has thus expanded, and numerous studies of high quality have appeared.
      Second, looking at the periods examined by scholars in Korea and Japan, Japanese scholars have concentrated on the “medieval period,”or the early Joseon period, while most Korean scholars have paid attention to the late Joseon period or the modern era.
      Third, there is a great demand for the study of Tsushima in the Joseon period to be studied further. To conduct this research, not only the selection of research themes and trends but also uncovering and utilizing related historical data is important.
      Fourth, while studying the history of Korea and Japan’s relationship centering on Tsushima, scholars should keep in mind that there is always a possibility that the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Joseon and Japan could be understood as that between Joseon and Tsushima,which should be avoided. Thus, the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Joseon and Japan during the Joseon period should be conducted taking into account the different attitudes and positions of negotiation and the diplomatic negotiations of both countries in the context of their respective national systems and diplomatic relations. Therefore, studies should focus no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seon and Tsushima, but between Joseon and the shogunate (Tsushima).
      번역하기

      This article examines the current status of historical research on Tsushima during the Joseon period through readings of relevant books and articles published between 1945 and September 2012. First, the study of Tsushima during the Joseon period was l...

      This article examines the current status of historical research on Tsushima during the Joseon period through readings of relevant books and articles published between 1945 and September 2012.
      First, the study of Tsushima during the Joseon period was led by Japanese scholars, and their research has appeared continuously.
      Compared to the consistent publications by Japanese scholars, the study of Tsushima in the Republic of Korea began in the 1960s, but slowed in the 1970s and 1980s. In the 1990s, research became invigorated as studies focused on aspects of diplomatic systems and mutual recognition between Joseon and Japan. Since 2000, Korean scholars have moved beyond the earlier systematic studies and now approach this subject through various themes. The horizon of scholarship on Tsushima has thus expanded, and numerous studies of high quality have appeared.
      Second, looking at the periods examined by scholars in Korea and Japan, Japanese scholars have concentrated on the “medieval period,”or the early Joseon period, while most Korean scholars have paid attention to the late Joseon period or the modern era.
      Third, there is a great demand for the study of Tsushima in the Joseon period to be studied further. To conduct this research, not only the selection of research themes and trends but also uncovering and utilizing related historical data is important.
      Fourth, while studying the history of Korea and Japan’s relationship centering on Tsushima, scholars should keep in mind that there is always a possibility that the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Joseon and Japan could be understood as that between Joseon and Tsushima,which should be avoided. Thus, the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Joseon and Japan during the Joseon period should be conducted taking into account the different attitudes and positions of negotiation and the diplomatic negotiations of both countries in the context of their respective national systems and diplomatic relations. Therefore, studies should focus no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seon and Tsushima, but between Joseon and the shogunate (Tsushima).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1945년부터 2012년 9월까지 발표된 조선시대 대마도 관련 논저를 중심으로 조선시대 대마도 연구의 현황을 살펴보기 위한 목적으로 작성된 것이다. 그 결과를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선시대 대마도연구는 일본 연구자들에 의해 시작․주도되었으며 지속적인 연구 성과가 나왔다. 국내 연구는 1960년에 들어오면서 시작되었으며, 70년대와 80년대에는 소강상태에 접어들다가, 1990년대 일본에서 유학한 연구자들의 귀국과 함께 한일관계사학회 등 관련 학회들이 결성되고, 연구자층이 형성되면서 활성화 되었다. 연구 주제는 외교체제와 상호인식에 관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2000년에 들어오면서는 기존의 제도사적인 연구의 틀을 벗어나 다양한 주제로의 접근이 이루어지는 등 연구의 지평이 확대되었을 뿐 아니라, 양적․질적으로 괄목할 만한 발전을 이루었다.
      둘째, 시기적인 연구경향을 보면 일본 연구자들이 조선전기(일본사의 중세) 연구에 주목한 반면, 국내 학자들은, 소수의 연구자들을 제외하고, 조선후기(근세)에 주목한 경향이 있다.
      셋째, 조선시대 대마도 연구는 여전히 양적․질적으로 연구가 요구된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연구 주제의 설정이나 경향성 못지않게 사료의 발굴과 활용에 더욱 주목해야 할 것이다.
      넷째, 조선시대 조일관계는 양국의 국가체제의 차이, 대외관계에서의 교섭형태와 외교교섭 태도의 차이점을 고려한 전제 속에서 이해해야 할 것이다. 다시 말하면, 대마도를 중심으로 한일관계사의 고찰할 때, 잘못하면 조선↔일본이 아닌 조선(국가)↔대마도(지역)의 지엽적인 관계로 인식될 수 있는 여지가 상존한다는 점을 연구자들은 인식하고, 조선↔대마도가 아닌 조선↔幕府(대마도)의 관계로 이해하고 접근해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1945년부터 2012년 9월까지 발표된 조선시대 대마도 관련 논저를 중심으로 조선시대 대마도 연구의 현황을 살펴보기 위한 목적으로 작성된 것이다. 그 결과를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

      본 논문은 1945년부터 2012년 9월까지 발표된 조선시대 대마도 관련 논저를 중심으로 조선시대 대마도 연구의 현황을 살펴보기 위한 목적으로 작성된 것이다. 그 결과를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선시대 대마도연구는 일본 연구자들에 의해 시작․주도되었으며 지속적인 연구 성과가 나왔다. 국내 연구는 1960년에 들어오면서 시작되었으며, 70년대와 80년대에는 소강상태에 접어들다가, 1990년대 일본에서 유학한 연구자들의 귀국과 함께 한일관계사학회 등 관련 학회들이 결성되고, 연구자층이 형성되면서 활성화 되었다. 연구 주제는 외교체제와 상호인식에 관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2000년에 들어오면서는 기존의 제도사적인 연구의 틀을 벗어나 다양한 주제로의 접근이 이루어지는 등 연구의 지평이 확대되었을 뿐 아니라, 양적․질적으로 괄목할 만한 발전을 이루었다.
      둘째, 시기적인 연구경향을 보면 일본 연구자들이 조선전기(일본사의 중세) 연구에 주목한 반면, 국내 학자들은, 소수의 연구자들을 제외하고, 조선후기(근세)에 주목한 경향이 있다.
      셋째, 조선시대 대마도 연구는 여전히 양적․질적으로 연구가 요구된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연구 주제의 설정이나 경향성 못지않게 사료의 발굴과 활용에 더욱 주목해야 할 것이다.
      넷째, 조선시대 조일관계는 양국의 국가체제의 차이, 대외관계에서의 교섭형태와 외교교섭 태도의 차이점을 고려한 전제 속에서 이해해야 할 것이다. 다시 말하면, 대마도를 중심으로 한일관계사의 고찰할 때, 잘못하면 조선↔일본이 아닌 조선(국가)↔대마도(지역)의 지엽적인 관계로 인식될 수 있는 여지가 상존한다는 점을 연구자들은 인식하고, 조선↔대마도가 아닌 조선↔幕府(대마도)의 관계로 이해하고 접근해야 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민덕기, "한국에서의 한일관계사연구의 회고와 전망-조선시대를 중심으로, In 한일교류사와 상극의 역사" 경인문화사 2010

      2 한문종, "조선전기 한일관계사 연구의 회고와 전망, In 한일관계사연구의 회고와 전망" 국학자료원 2002

      3 한문종, "조선전기 한일관계사 연구의 학설사적 검토" 전북사학회 (38) : 23-46, 2011

      4 佐伯弘次, "戰後における中世日朝關係史硏究-1980年代以後を中心に, In 韓日關係史硏究の回顧と展望" 國學資料院 2002

      5 박재광, "壬辰倭亂 硏究의 現況과 課題, In 임진왜란과 한일관계" 경인문화사 2005

      6 김태훈, "17~18세기 한일관계사 연구의 학설사적 검토, In 중근세 동아시아 해역과 한일관계" 경인문화사 2010

      1 민덕기, "한국에서의 한일관계사연구의 회고와 전망-조선시대를 중심으로, In 한일교류사와 상극의 역사" 경인문화사 2010

      2 한문종, "조선전기 한일관계사 연구의 회고와 전망, In 한일관계사연구의 회고와 전망" 국학자료원 2002

      3 한문종, "조선전기 한일관계사 연구의 학설사적 검토" 전북사학회 (38) : 23-46, 2011

      4 佐伯弘次, "戰後における中世日朝關係史硏究-1980年代以後を中心に, In 韓日關係史硏究の回顧と展望" 國學資料院 2002

      5 박재광, "壬辰倭亂 硏究의 現況과 課題, In 임진왜란과 한일관계" 경인문화사 2005

      6 김태훈, "17~18세기 한일관계사 연구의 학설사적 검토, In 중근세 동아시아 해역과 한일관계" 경인문화사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8 1.18 1.1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6 0.98 2.155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