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문수조릿대 개체군의 식생 = Vegetation of Arundinaria munsuensis Population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rundinaria munsuensis population were classified into Lespedeza maximowiczii dominant population and Spiraea prunifolia for. simpliciflora dominant population in the habitat of Jiri Mt. In the study sites, soil organic matter, total nitrogen, availab...

      Arundinaria munsuensis population were classified into Lespedeza maximowiczii dominant population and Spiraea prunifolia for. simpliciflora dominant population in the habitat of Jiri Mt. In the study sites, soil organic matter, total nitrogen, available phosphorous, exchangeable K, exchangeable Ca, exchangeable Mg contained, cation exchange capacity, and soil pH were ranged from 14.52~16.13%, 0.57~0.59%, 5.57∼10.24 (㎎/㎏), 0.44∼0.49 (cmol+/kg), 0.62∼0.92 (cmol+/kg), 0.31∼0.32 (cmol+/kg), 28.26∼32.44 (cmol+/kg) and 4.33~4.48 respectively. DCCA ordination analysis showed that Lespedeza maximowiczii dominant population dwells where pH, exchangeable Ca and exchangeable Mg content are high and Spiraea prunifolia for. simpliciflora dominant population is placed where CEC, total nitrogen and organic matter content are high.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은식, "환경변화와 고산지대 수목생장 쇠퇴현상과의 상관성 해석" 한국과학재단 1994

      2 이우철, "한반도 관속식물의 분포에 관한 연구" 8 : 1-33, 1978

      3 김윤식, "한국식물의 분포도에 관한 연구(Ⅴ). 참나무과의 분포도" 93-133, 1981

      4 정태현, "한국 삼림식물대 및 적지적수론" 10 : 329-435, 1965

      5 김정언, "청량산 도립공원의 현존식생" 68 : 32-48, 1989

      6 임양재, "지리산의 식생" 중앙대학교 출판부 467-, 1992

      7 김군보, "지리산 반야봉의 구상나무림에서 타감작용에 의한 치수형성 저해"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7

      8 김지홍, "조릿대 밀생 천연활엽수림의 임분 구조에 관한 연구" 16 : 26-41, 1996

      9 차윤정, "전남 백운산 지역 낙엽활엽수에서 벌채후 서로 다른 임분 유형에서 자라는 조릿대 (Sasa borealis)의 형태 및 생리적 특성" 한국임학회 91 (91): 396-404, 2002

      10 우보명, "임도비탈면의 자연식생 침입과 효과적인 비탈면 녹화공법 개발에 관한 연구" 85 (85): 347-359, 1993

      1 김은식, "환경변화와 고산지대 수목생장 쇠퇴현상과의 상관성 해석" 한국과학재단 1994

      2 이우철, "한반도 관속식물의 분포에 관한 연구" 8 : 1-33, 1978

      3 김윤식, "한국식물의 분포도에 관한 연구(Ⅴ). 참나무과의 분포도" 93-133, 1981

      4 정태현, "한국 삼림식물대 및 적지적수론" 10 : 329-435, 1965

      5 김정언, "청량산 도립공원의 현존식생" 68 : 32-48, 1989

      6 임양재, "지리산의 식생" 중앙대학교 출판부 467-, 1992

      7 김군보, "지리산 반야봉의 구상나무림에서 타감작용에 의한 치수형성 저해"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7

      8 김지홍, "조릿대 밀생 천연활엽수림의 임분 구조에 관한 연구" 16 : 26-41, 1996

      9 차윤정, "전남 백운산 지역 낙엽활엽수에서 벌채후 서로 다른 임분 유형에서 자라는 조릿대 (Sasa borealis)의 형태 및 생리적 특성" 한국임학회 91 (91): 396-404, 2002

      10 우보명, "임도비탈면의 자연식생 침입과 효과적인 비탈면 녹화공법 개발에 관한 연구" 85 (85): 347-359, 1993

      11 吉田 寬, "일본에 있어서 파종공에 의한 법면녹화와 자연회복녹화" 8 (8): 76-89, 2005

      12 이종석, "유망자생화훼 및 관상수목의 개발과 상업화연구" 서울여자대학교 교육과학기술부 24-, 2010

      13 이미정, "우리나라 주요 참나무림의 군락구조분석 및 생태적 식재모델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7

      14 정진현, "우리나라 산림토양의 지역별 이화학적 특성" 한국임학회 91 (91): 694-700, 2002

      15 김정언, "소백산 국립공원 남동사면의 현존식생" 3 : 101-114, 1989

      16 임양재, "설악산의 식생" 중앙대학교 출판부 200-, 1985

      17 이우철, "설악산 신갈나무림의 식물사회학적 연구. 한국생태학회지" 17 : 319-331, 1994

      18 송종석, "서열법과 분류법에 의한 소백산 신갈나무림에 대한 식물사회학적 연구" 18 : 63-87, 1995

      19 박관수, "삼림토양내의 유기물함량이 토양 입단화에 미치는 영향" 79 (79): 367-375, 1990

      20 차윤정, "벌채적지에서 조릿대 임분의 식생 구조 및 산림식생 발달에 미치는 조릿대의 영향" 한국환경생태학회 16 (16): 149-159, 2002

      21 송호경, "백두대간 도로 절토비탈면의 녹화수종 선정"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10 (10): 52-59, 2007

      22 장형태, "문수조릿대(Arundinaria munsuensis Y. Lee)의 보존생물학적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1

      23 이창복,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1980

      24 龜山 章, "生態工學" Soft Science사 2003

      25 김창환, "德裕山 國立公園 森林植生의 構造와 2次遷移에 관한 연구" 圓光大學校 大學院 1992

      26 Binkley, D, "The influence of tree species on forest soils-processes and patterns" 1994

      27 Miller H. G., "Soil. An introduction to soils and plant growth" Prentice-Hall 1990

      28 Nakashizuka, T, "Regeneration of beech (Fagus crenata) after simultaneous death of under growing dwarf bamboo (Sasa kurilensis)" 3 : 21-35, 1998

      29 Peters, R, "Regeneration and development in beech-dwarf bamboo forest in Japan-" 55 : 35-50, 1992

      30 Braun-Blanquet, J, "Pflanzensozioloe. 3. Auflage" Wien 865-, 1964

      31 Lee, Yong No, "New taxa Korean flora (6)" 28 (28): 25-39, 1988

      32 Black, C. A, "Methods of Soil Analysis. Part Ⅰ:Physical and Miner- alogical Properties, Including Statistics of Measurement and Sampling" Am. Soc. Agr., Madison, Wl 770-, 1965

      33 Bicklhaupt, D. H, "Labo-ratory manual for soil and plant tissue analysis. SUNY Coll. Envir. Sci. and For., Syracuse, N. Y. pp. 67" SUNY Coll. Envir. Sci. and For., Syracuse 67-, 1982

      34 Starr, J. L, "Influence of sample size in chemical and physical soil measurements" 59 : 713-719, 1995

      35 Sanborn, P, "Influence of broadleaf trees on soil chemical properties:A retrospective study in the sub-boreal spruce zone, British Columbia, Canada" 236 : 75-82, 2001

      36 Dierssen, K, "Einführung in die Pflanzensoziologie" Akademie-Verlag Berlin 1990

      37 Hill, M. O, "DECORANA A FORTRAN Program for Detrended Correspondence Anal- ysis and Reciprocal Averaging" Ithaca, N.Y. Cornell Univ. Press 1979

      38 Ter Braak, C. J. F, "CANOCO a FORTRAN program for canonical community ordination by [partial] [detrended] [canonical] correspon- dence analysis, principal components analysis and redundancy analysis (version 2.1)" TNO Institute of Applied Computer Science, Sta- tistics Department 1987

      39 Muller-Dombois, D., "Aims and methods of vegetation ecology" John Wiley and Sons 547-, 1974

      40 Hiura, T., J. Sano, "Age structure and response to fine-scale disturbance of Abies sachalinensis, Picea jezoensis, Picea glehnii, and Betula ermanii growing under the influence of a dwarf bamboo under story in northern Japan. Can. J. For. Res. 26:589-597" 26 : 589-597, 1996

      41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1971-2001. Meteorological an annual report"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0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6-09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영문명 : The Korea Society For Environmental Restoration And Revegetation Technology ->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3-2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Environmental Restoration and Revegetation Technology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5 0.35 0.3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1 0.42 0.458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